2006년 9월호

읽다보면 쓰기가, 쓰다보면 읽기가…

  • 김현미 동아일보 출판팀 차장 khmzip@donga.com

    입력2006-09-14 16:0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읽다보면 쓰기가, 쓰다보면 읽기가…

    읽다보면 책읽기와 글쓰기의 묘한 관계가 느껴지는 두 권의 책.

    ‘오래전 나는 쇼핑몰에 있는 카트를 끌고 서점의 책들을 쓸어 담는 것이 꿈이었다. 그러나 덤벙덤벙 아무거나 닥치는 대로 담는 것은 곤란하다. 처음에는 양손에 하나씩 들고 제목 정도는 확인하면서 어떤 작가의 것은 모조리, 생소한 작가의 것은 잠시 멈추어 책 표지를 바라보고 느낌에 따라 선별하기도 하면서, 그러나 끝내는 재빠르게, 한 시간 남짓 카트 하나를 책으로 가득 채워 계산을 하고 차 트렁크를 책으로 꽈악 채우고서 예정된 곳으로 떠나는 일을 꼭 한 번 해보고 싶었다.’(‘백수생활백서’ 박주영 지음, 민음사 펴냄)

    책만 읽는 ‘빌어먹을’ 그녀

    책사냥꾼인 ‘나’는 이 소설의 주인공이다. ‘백수생활백서’는 민음사가 주관하는 ‘2006 오늘의 작가상’을 수상했다. 만화책 같은 제목이지만 ‘책이 나를 계속 살아갈 수 있게 하고 살고 싶게 만든다’는 주인공의 독백이 긴장을 자아낸다. 주인공이 작가인가, 지레 짐작하지 말라. ‘나’는 책을 읽고 또 읽을 뿐 쓰지 않는다. 쉽게 말해 백수다.

    ‘나’에 대해 좀더 알아보자. 지금 스물여덟 살이고 어머니는 아주 어릴 때 세상을 떠나 기억에 없다. 식당을 하는 아버지와 줄곧 단둘이 살았다. 일도 취미도 없는 ‘나’에게 아버지는 가끔 “빌어먹을…”이라고 한다. 맞는 말이다. 성심성의껏 하는 일이라곤 책 읽기가 유일하다. 지난 10년간 매년 평균 500권을 읽었다. 아니 하루에 한 권 이상의 책을 비타민처럼 복용한다는 말이 더 어울린다. 그래봤자 평생 5만권도 읽기 어렵다는 사실에 마음이 바쁘다.

    ‘나’에게 어떤 책은 읽는 것만으로 부족하다. 1992년 출간된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연인’, 1990년에 나온 레몽 장의 ‘책 읽어주는 여자’ 같은 책이 그렇다. 이미 절판된 책에 대한 소유욕은 참기 어렵다. 인터넷 게시판에 그 책을 팔겠다는 사람이 나타나자 행여 놓칠세라 연락을 한다. 이렇게 ‘그’와 만났다.



    재건축하기 위해 곧 비워야 할 남자의 아파트에는 책이 너무 많다. ‘나’는 그 방의 책을 쓰다듬는다. 이미 읽은 책들에서는 추억이, 읽지 않은 미지의 책에서는 호기심이 불길처럼 일어난다. 책을 갖고 싶다는 욕망은 낯선 남자에 대한 두려움을 앞선다.

    ‘백수생활백서’는 줄거리가 빈약한 소설이다. 책을 사랑하는 여자와 책을 주려는 남자의 로맨스는 긴장이 떨어지고 그 남자의 ‘했소’체 말투는 무성영화 자막을 보는 것처럼 어색하다. ‘나’를 둘러싼 인물들-아버지, 여자친구 채린과 유희, 남자친구 경-은 어쩐지 현실성과 생동감이 부족하다.

    유일하게 흥미를 끄는 것은 ‘나’와 유희의 관계다. ‘나’는 책 읽기를 좋아했지만 글을 써볼 생각을 하지 않는다. 그런데 평소 책과 거리가 먼 유희가 어느 날 회사를 그만두더니 소설가가 되겠다고 선언한다. “소설도 안 읽는 애가 어떻게 소설을 쓰려고” 하며 핀잔을 주는 ‘나’에게 유희는 “그럼, 소설 많이 읽는 너는 왜 소설 안 쓰냐?”고 대꾸한다.

    “하긴 그러네.”

    그 뒤로도 줄곧 ‘나’는 읽기만 하고, 유희는 뭔가를 계속 쓴다.

    책벌레를 위한 환상곡

    이런 약점에 눈감으면 이 소설은 ‘책벌레’에게 꽤나 흥미로운 설정이 많다. 주인공이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는 곳은 2층 전체를 아우르는 서재다. 시대를 앞서 간 에세이스트였던 외할머니의 아버지, 대학교수였던 외할머니의 두 번째 남편(‘나’의 외할아버지), 딱 한 권의 베스트셀러를 내고 절필한 소설가인 ‘젊고 아름다운’ 외할머니, 이렇게 세 사람의 컬렉션으로 꽉 찬 서재는 상상만 해도 매력적이다. 문학의 고전부터 시집, 철학서, 자연과학서적, SF소설과 탐정물, 화집, 사진집…. 그곳에서 ‘나’는 얼굴도 기억하지 못하는 엄마의 흔적을 찾는다.

    책만 읽으며 노닥노닥 잘 사는 ‘나’에게 사람들은 묻는다. “책 읽어서 뭐 할 거냐?” ‘나’는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라고 고백한다. 어떤 사람은 책 읽는 것이 그리 좋으면 그걸 직업으로 삼으면 되지 않느냐고 충고하기도 한다. 아무나 다 하는 책 읽기를 직업으로 삼을 수 있을까?

    ‘나’는 주로 소설을 읽는다. 남들은 책을 통해 연애하는 법, 돈 버는 법, 여행하는 법까지 배운다지만 ‘나’는 그런 것들과 거리가 멀다. ‘나’에겐 꼭 이뤄야 할 인생의 목표라는 게 없다. 그래서 소설을 읽는다. 소설에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한 가지 고민은 책만 읽고 싶어서 일을 하지 않는데, 일을 안 하니 책을 살 돈이 없는 것이다. 그래서 짬짬이 편의점 야간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심야 주유원으로 일한다. 그 정도면 책을 사서 읽는 데 충분한 벌이가 된다.

    ‘나’의 독서법은 이런 식이다. 무라카미 하루키를 좋아하면 그의 책을 모두 읽는다. 그러기까지 한 달이 채 걸리지 않는다. 그 다음에는 하루키가 좋아한다는 레이먼드 카버를 읽는다. 그리고 카버가 극찬한 안톤 체호프로 넘어간다. 카버도 체호프도 죽은 작가여서 더 이상 나올 새 책이 없는 게 안타까울 뿐이다.

    평생 읽고 또 읽어도 좋을 만한 멋진 책 한 권을 만나는 일도 어렵지만, 살아갈 나머지 시간에 새로운 이야기를 선사해줄 한 사람의 작가를 만나는 일도 아주 어렵다. 폴 오스터는 ‘나’에게 오래된 연인과 같다. 혹시라도 그가 ‘나’보다 먼저 죽어서 언젠가는 읽어야 할 그의 새 책이 없어질까봐 폴 오스터의 책 중 몇 권은 일부러 읽지 않고 모셔둔다. 그러면서도 단번에 폴 오스터를 배신할 수 있는 새로운 작가의 출현을 기다린다.

    “내가 읽은 책들에는 내가 그들과 함께 보낸 시간이 남아 있다. 내가 그 책을 선택한 이유, 그 책을 읽는 동안 혹은 그 책을 읽었을 즈음 내게 일어난 일까지. 어떤 책은 다만 기억으로, 어떤 책에는 밑줄로, 어떤 책에는 낙서와 메모로.”

    읽고픈 욕망 자극하는 글쓰기 수업

    주인공이 “그냥 좋아하는 책을 읽을 뿐”이라고 한 말이 어쩐지 사치스럽게 느껴진다. 솔직히 부럽기도 하다. 책 읽는 일이 정말 직업이 되어 보라. 읽고 싶은 대로 읽어지는지. 필요에 따라 읽어야 한다.

    ‘백수생활백서’의 독백을 따라가다 보면 아이러니하게도 쓰고 싶어진다. 책 읽는 이야기만 가지고도 이렇게 한없이 수다를 떨 수 있구나 싶고, 작가에게는 미안한 말이지만 글을 쓴다는 게 대수롭지 않게 느껴진다. 그럼, 이런 책은 어떤가. ‘안정효의 글쓰기 만보’(모멘토 펴냄)다.

    이 책은 ‘단어에서 단락까지’ ‘이름 짓기에서 인물 만들기까지’ ‘줄거리 짜기에서 초벌 끝내기까지’ ‘시작에서 퇴고까지’ ‘글쓰기 인생의 만보’ 등 크게 5장으로 구성돼 있다. 한마디로 ‘소설 창작교실’ 같은 책이다.

    “소설 쓰기는 지극히 정밀한 노동이어서, 단어 하나하나에 신경 쓰기를 게을리 하면 안 된다. 낱단어 하나하나가 벽을 올리고 담을 쌓는 데 필요한 벽돌이다. 몇 장의 벽돌을 빼놓으면 담이 무너진다. 마찬가지로, 단어 하나를 소홀히 하면 담 전체를 소홀히 하는 셈이다. 하나의 낱단어를 소홀히 하면, 그래서 모든 단어를 소홀히 하는 셈이 된다.”

    소설이라는 집을 짓는 사람은 단어 하나하나를 무서워해야 한다는 저자의 경고 앞에서 내가 소설 쓰는 사람이 아닌 게 다행이다 싶다. ‘있다’ ‘~것’ ‘~수’가 글쓰기 3적(三敵)이라는 데는 공감한다. 긴장하지 않으면 한 문장 안에서도 수없이 ‘것, 수, 있다’가 반복되게 마련이다. 그밖에도 ‘던져진 주사위’ 같은 수동태 표현, 그리고 그래서 그러므로 따위의 접속사 남발 등이 세련된 글쓰기를 가로막는다.

    이 책은 읽으면 읽을수록 글쓰기를 두렵게 한다. ‘소설가가 될 것도 아닌데 내가 왜 이런 잔소리를 들어야 하나?’ 하는 생각마저 든다. 하지만 조금만 참고 진도를 나가보라. 읽는 일이라면 환장하지만 한 줄도 쓸 생각이 없는 ‘백수생활백서’의 주인공 같은 책벌레에게 ‘안정효의 글쓰기 만보’는 별미를 제공한다. 이 책에 수없이 인용되는 문학작품이 바로 그 특별한 맛을 낸다.

    ‘남자가 웃었다’라는 단문으로 시작되는 존 오하라의 장편소설 ‘웃음소리(The Big Laugh)’, 저자의 표현대로라면 단 두 단어로 이뤄진 이 문장에서 어떤 남자가 환하게 웃어대는 모습이 눈에 선하고, 웃는 소리까지 귓전에 들려오는 듯하단다. 정말 그런가?

    그밖에도 애거사 크리스티의 추리소설부터 O. 헨리의 단편집, 브라질 작가 조르지 아마두의 ‘가브리엘라’, 노먼 매클린의 ‘흐르는 강물처럼’ 같은 에세이, 저자가 전형적인 수필체 문장이라며 추천한 앤 모로우 린드버그의 ‘바다의 선물’…. 저자가 감질나게 보여주는 맛보기 문장만으로는 갈증이 난다. 이 책에서 뽑아낸 필독서 목록만 해도 몇 달치 읽을거리로 충분하다. ‘안정효의 글쓰기 만보’는 읽고 싶은 욕망을 더 자극하는 책이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