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4월호

평양, 3세대 휴대전화 이어 인터넷까지?

  • 류현정 / IT칼럼니스트 dreamshot007@gmail.com

    입력2009-04-01 15:4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평양, 3세대 휴대전화 이어 인터넷까지?
    최근의 심상찮은 정치적 움직임과는 반대로 북한 정보기술(IT) 개방 기류는 가파르기 이를 데 없다. 먼저 휴대전화다. 지난해 12월 북한은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개통했다. 북한 주민들도 휴대전화를 쓸 수 있게 됐다. 개인 간 자유로운 통신을 억제해온 그간의 분위기를 감안하면 의미 있는 변화다.

    북한 이동통신 서비스는 독점권을 딴 이집트의 통신회사 오라스콤이 맡고 있는데, 북한 내 반응은 괜찮다는 평가가 많다. 북한 국민소득 수준으로는 600달러짜리 휴대전화를 구매하기 쉽지 않을 텐데도 개통 2주 만에 가입자 6000명을 모았다.

    더 주목해야 할 것은 인터넷이다. 개방, 공유, 참여라는 폭발력을 갖고 있는 인터넷에 대한 태도도 변화의 조짐이 보이는 것이다. 최근 방북한 인사나 조선족 학자들을 만나보면 북한이 체제 붕괴를 두려워해 인터넷을 개방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은 완전히 잘못됐다고 입을 모아 말한다. 2월 말 평양과학기술대 설립과 관련해 방북한 IT 전문가들은 김책공대 교수 등 북한 과학자들이 대형 컴퓨터 등 인터넷 개방을 위한 각종 정보통신 설비에 대해 적극적이고도 구체적인 관심과 남북 간 협력의사를 표명한 사실에 크게 고무됐다. 실제 북한에선 인터넷 개방 로드맵과 인터넷 통제방법에 대한 연구를 꽤 진척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지난해 초 2012년을 강성대국의 문을 활짝 여는 해로 만들겠다는 ‘비전 2012’를 발표했다. 적어도 IT 분야에선 이 목표대로 흘러가고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국가발전 전략으로 IT를 지목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오히려 북한의 개방, 구체적으로는 북한의 인터넷 개방을 위한 우리 정부의 대응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진용옥 경희대 명예교수는 북한이 기술표준 미비 등 호환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데 남한 정부가 적극 나선다면 북한의 인터넷 개방 시점을 크게 앞당길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를테면 북한이 쓰는 독자적 완성형 부호는 국제기구에 등록조차 돼 있지 않다. 북한 지역 언어 식별자는 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지 않는다.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즉 IT는 말 그대로 개방과 소통의 속성을 본질적으로 품고 있다. 북한의 인터넷 개방이 언제 어떤 형식으로 이뤄질지 ‘북핵 이슈’ 다음으로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2008년 12월 북한 당국이 ‘3세대 이동통신 봉사 선포식(서비스 개통식)’소식을 보도하면서 공개한 평양 휴대폰 소비자 서비스센터.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