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5월호

불같은 40년 사랑 저 동백처럼 붉었다

가왕(歌王) 조용필 ‘돌아와요 부산항에’

  • 글·김동률 | 서강대 MOT대학원 교수 yule@empas.com 사진·故 권태균 | 前 신구대 교수

    입력2015-04-23 10:1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단합대회 끝자리에서, 대학 MT에서, 직장 회식에서 흥이 최고조에 달할 때면 어김없이 등장한 노래. 수많은 아줌마 부대를 공연장에 불러내 ‘오빠!’를 외치게 한 노래. 한국 대중음악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린 ‘한국인의 생필품’ 같은 노래….
    불같은 40년 사랑 저 동백처럼 붉었다

    ‘가왕(歌王)’ 조용필의 공연 광경.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아마 1970년대 끝자락, 지금은 전설 속 과거가 된 그레이하운드 고속버스 안이었을 게다. TV를 켜주는 요즘과 달리 그때 고속버스는 음악을 나지막하게 들려주곤 했다. 선잠에 떨어진 내 귓가에 빠빠빠빰 빠빠빰 빠빠빰 빠 빠빠밤… 기타음이 들려왔다.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 전주 부분이었다. 형, 누나들이 즐겨 듣던, 이른바 ‘세시봉 세대’들의 감미로운 통기타 음악에 길들어 있던 나는 전혀 새로운 느낌의 강렬한 비트 사운드에 놀랐다. 도대체 이 가수가 누굴까.

    그것이 ‘가왕(歌王)’ 조용필의 등장을 알리는 전주였음을 눈치챈 것은 시간이 한참 흐른 뒤였다. 지금은 장년 세대를 ‘한 큐’에 이어주는 만인의 노래가 됐지만 ‘돌아와요 부산항에’는 개개인에겐 그렇게 소리 없이 다가왔다. 지금이야 장르를 규정하기 어려울 만큼 다양한 히트곡을 만들어내는, 자타가 공인하는 ‘단군 이래 최고 가수’지만 오랜 무명 시절을 보내던 조용필에게 ‘돌아와요 부산항에’는 그를 한국인에게 각인 시킨 노래다.

    한국인 인기가요 압도적 1위

    이 노래는 1970년대 말 대중에게 알려지며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발표된 해는 1972년이다. 황선우가 작사, 작곡했다. 그러나 작곡 부분은 원곡 가수 김해일의 ‘돌아와요 충무항에’를 일부 수정한 것으로, 1990년 저작권 소송에 휘말려 일부 금액을 배상하고 마무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탄생 과정이 어찌됐건 이 노래는 지난 세월 ‘한국인이 좋아하는 가요’ 설문에서 압도적 1위에 올랐다. 그래서 평론가들은 ‘한국인의 생필품 같은 노래’라 일컫는다.

    이 노래는 한국인에게 부산의 ‘지리 정보’를 확실하게 각인하는 기능도 했다. 이 노래 덕분에 동백섬도 알았고, 오륙도라는 바위섬이 시각에 따라 5개 또는 6개 섬으로 보여 그런 이름이 붙었다는 것도 알게 됐다. 더 나아가 노래를 들으면 누구나 남녘 항구도시로의 여행을 꿈꾸게 된다. 시대적 의미를 부여하는 시각도 있다. 1974년 남북공동성명으로 조성된 남북 화해 무드를 타고 1976년에 러시를 이룬 조총련 재일동포 모국 방문 시점과 묘하게 맞물렸다는 등의 정치적 해석이다.



    단합대회 끝자리 합창 단골곡이 되면서 대학 MT에서도, 졸업 후 직장 회식에서도 흥이 최고조에 달할 때쯤이면 등장하는 노래가 ‘돌아와요 부산항에’였다. 처음 알려지기 시작한 1970년대 말부터 어느덧 40년 가까운 세월의 이끼가 끼었지만 그 위력은 절대지존. ‘불후의 명곡’을 단 한 곡만 꼽는다면 바로 이 노래가 아닐까. 또한 이 땅의 수많은 ‘아줌마 부대’를 공연장에 불러내 ‘오빠!’라고 고함치게 한 최초의 노래였다. 그래서 1970년대, 지금 기성세대의 감성을 지배하던 폴 모리아 악단은 내한공연에서 이 곡을 앙코르 곡으로 연주하기도했다. 당시 타이틀은 ‘Please Return To Pusan Port’였다.

    음악평론가 임진모는 “재일동포 귀국 행렬, ‘동백섬’ ‘부산항’ ‘오륙도’와 같은 토속 지명으로 대중의 감정을 사로잡기도 했지만, 당시 수준으로는 음의 전개가 혁신적인 트로트였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고 평가했다. 이 노래는 가수 조용필을 국가적인 인물로 자리매김시켰다. ‘국가 기간 통신사’인 연합통신이 1995년 광복 50년을 맞아 ‘반세기 한국 사회를 움직인 대표인물 50명’을 선정했는데, 가수로는 유일하게 그가 포함됐다. 1975년 ‘돌아와요 부산항에’로 등장해 한국 대중음악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는 게 선정 이유다.

    불같은 40년 사랑 저 동백처럼 붉었다

    여행객들이 카메라에 풍경을 담기 바쁘다. 유람선에선 ‘돌아와요 부산항에’ 딱 한 곡만 반복해서 들려줬다.

    情恨의 꽃, 동백

    노래를 관통하는 단어는 첫머리에 등장하는 ‘꽃피는 동백섬’이다. 노래가 원인을 제공했는지 분명치는 않지만, 공교롭게도 부산의 상징 꽃은 동백꽃, 상징나무는 동백나무다. 그래서 부산에 가면 동백꽃 상호가 곧잘 눈에 띈다. 해운대 바닷가에 우뚝 선 웨스틴 조선호텔의 커피숍도 동백이라는 뜻의 ‘카멜리아(Camellia)’다. 1980년대 초까지는 ‘동백’이었는데 촌스럽다고 생각했는지 어느 틈에 영어 이름으로 갈아치웠다. 부산과 일본 시모노세키를 오가는 부관페리 이름도 ‘카멜리아호’이고, 카멜리아 아파트도 있다.

    요즘에야 대접을 제법 받지만 동백꽃은 오랫동안 억울한 시절을 겪었다. 동백은 울릉도, 제주도 등 남부지방, 서해 대청도에 걸쳐 자생하는데, 한때 왜색(倭色)이 짙다는 등 일본을 상징하는 식물로 오해받기도 했다. 1964년 무려 35주 동안 가요순위 1위를 차지하던 이미자의 ‘동백아가씨’가 오래도록 금지곡이 된 데는 동백나무 자생지가 일본이라는 무지(無知)가 톡톡히 한몫했다고 전한다.

    그러나 비단 이미자와 조용필의 노래가 아니더라도 동백꽃은 한국인의 꽃이다. 시간을 거슬러 봐도 한국인의 동백꽃 사랑은 흘러넘친다. “아우라지 뱃사공이 오기도 전에 싸리골 동백이 다 떨어진다”는 ‘정선아리랑’도 있고, “동백꽃 쓸어안고 울던 옛날”이 그립다는 이난영의 ‘목포는 항구다’도 있다. 동백은 한국인에게 더없이 애틋한 꽃이지만, 꽃 중에서는 구석에 있는 변두리 꽃이나 다름없다. 그래서 더욱 많은 한국인이 이 꽃을 주인공으로 기쁨보다는 슬픔과 비련의 노래와 시를 읊었다. 그래서 호사가들은 동백꽃을 두고 “한국인의 삶 속에 녹아 있는 정한(情恨)의 꽃”이라고 한다.

    불같은 40년 사랑 저 동백처럼 붉었다

    부산 해운대구 동백섬 조선비치호텔 앞 화단에 동백꽃 수천 송이가 피었다.

    불같은 40년 사랑 저 동백처럼 붉었다

    ‘돌아와요 부산항에’ 악보.

    동백꽃은 한국인에게 슬픔의 역사다. 빈한하고 억눌려온 한국인을 위로하는 매개체가 된다. 동동구리무와 함께 1960~70년대 가난한 이 땅의 여인들이 숨겨두고 아끼며 바르던 머릿기름이 바로 동백기름이고, 사람 키 높이의 동백 숲은 가난한 남녀가 몸을 숨기고 사랑을 나누기에 딱 좋은 공간이다.

    서양에서도 장미만큼이나 사연이 많은 꽃이 동백이다. 그래서 뒤마는 일찍이 1848년에 ‘춘희(椿姬)’ 즉 ‘동백아가씨’라는 사회 고발 성격의 소설을 발표했고, 베르디는 이를 토대로 비운의 여주인공 비올레타의 가슴에 동백꽃을 다는 것으로 시작하는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를 작곡했다. 미당 서정주는 ‘선운사’라는 짤막한 시에서 “동백꽃은 아직 일러 피지 않았고 막걸리집 여자의 육자배기 가락만 목이 쉬어 남았다”고 하지 않았나.

    색감이 워낙 눈부셔서 ‘빨갛게 멍이 들었다’는 표현까지 등장하는 동백꽃이 만발한 동백섬도 한때는 그림의 떡이었다. 동백섬은 섬이 아니다. 오랜 세월 모래가 쌓여 해운대 백사장과 연결돼 있다.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간첩 침투를 핑계로 웨스틴 조선호텔 뒤편을 시작으로 섬 전체를 군사지역으로 묶어놓아 부산시민들조차 동백섬의 실체를 모르고 지냈다. 권위주의 시절, 서울에서 온 고급 관리나 장성들이 조선비치에 묵으며 동백섬에서 낚시를 즐기는데, 수확이 엄청나다는 소식을 간혹 풍문으로 들을 정도였다. 그래서 해운대 청사포 쪽에서 출발하는 관광유람선을 타고 먼 발치서 바라보던 동경의 섬이었다.

    가장 눈부신 순간 스스로 목을 꺾다

    민주화 이후 섬은 완전히 개방됐고, 둘레길까지 조성돼 여행객들의 단골 산책로로 자리를 굳히게 된다. 실제로 3, 4월 동백섬에서 보는 꽃의 위력은 대단하다. ‘아주까리 동백이 제아무리 예뻐도 내 사랑만 못하다’는 말에서 외려 동백꽃의 고혹적인 색감을 짐작할 수 있겠다.

    동백꽃은 과거 조선의 사대부들에게 천대를 받았다. 동백은 질 때 꽃봉오리 전체가 몽땅 떨어지는 묘한 특징이 있다. 그 떨어지는 모습이 마치 사람 목이 단칼에 떨어지는 것과 같다고 해서 사대부 가문에선 아예 집 안에 들여놓지 않았다. 가장 눈부신 순간에/ 스스로 목을 꺾는/ 동백꽃을 보라…. 문정희의 시 ‘동백꽃’의 첫 구절처럼 그 뇌쇄적인 아름다움에 비해 어느 날 순식간에 후드득 떨어지는 모습이 허탈하다 못해 너무 허망스러워 지배계층의 외면을 받아온 비운의 꽃이다. 그래서 조선의 기득권 세력은 예상치 못한 불길한 일들이 갑자기 생기는 것을 ‘동백꽃 춘(椿)’자와 ‘일 사(事)’자를 조합해 ‘춘사(椿事)’라고 표현했다.

    일본의 지배계급도 극히 꺼리는 꽃이 동백이다. ‘라 트라비아타’가 일본에서 가장 인기 있는 오페라로 입지를 굳힌 것도 동백의 그런 숙명이 그네들의 할복 정서와 근접해 있어서가 아닐까 한다.

    동백섬과 이어 있는 해운대 백사장 입구에 들어서면 ‘돌아와요 부산항에’ 노래비가 반긴다. 노래의 배경이 해운대이기 때문이다. ‘부산을 가꾸는 모임’이 1994년 자체 기금으로 해운대 송림공원에 ‘돌아와요 부산항에’ 노래비를 세웠다. 높이 2.6m의 노래비 상부는 청동판에 부산을 상징하는 파도와 갈매기, 오륙도를 형상화했고, 하부 대리석에는 노래 가사를 2절까지 새겼다. 이 일대 투숙객들이 새벽 산책길에 가장 많이 찾는 곳이 이 노래비다.

    백화제방의 계절

    부산은 한국의 대중가요, 나아가 대중문화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골 배경이다. 광복, 6·25전쟁, 1·4후퇴 등 한국 현대사의 굴곡 속에 온갖 애환을 간직한 추억의 도시이기 때문이다. 미군 구호물자로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고, 이북 피난민들이 대거 내려오면서 갖가지 상처와 슬픔을 담아낸 사연 많은 도시다.

    영화 ‘친구’까지 멀리 갈 것도 없이 1000만 관객 영화 10편 중 3편이 부산에서 나왔다. ‘해운대’ ‘변호인’ ‘국제시장’이다. 해운대의 마천루 신시가지는 이미 서울 강남을 능가하지만, 달동네 감촌동 비석마을은 여전히 1960년대 모습이다. 바다를 가르는 광안대교의 불빛, 초대형 크레인이 즐비한 하역항부터 서울사람들이 고개를 설레설레 흔드는 독특한 냄새의 돼지국밥까지 부산은 한국의 대중가요, 대중문화가 좋아할 요소를 골고루 지녔다.

    ‘돌아와요 부산항에’는 사실 특별한 계절감이 없다. 단지 첫 구절이 “꽃피는 동백섬에”로 시작되기에 봄에 좀 더 자주 등장할 뿐이다. 가사의 서정성이 빼어난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기억하기 쉬운 곡조와 향토적인 노랫말 덕분에 반주나 마이크 없이도 누구나 쉽게 시작하고 따라 부를 수 있다.

    짬뽕 국물에 숟가락 서너 개를 걸쳐놓고 부르던 이 노래는 이제 세월을 이어, 세대를 넘어 불린다. 나이테 많은 거목처럼 오히려 세월이 흐를수록 명작의 위엄을 더해간다. 빨갛게 멍든 동백꽃이 가장 화려한 순간 몸통째 뚝뚝 떨어지며 여기저기 순간 소멸하고 있다. 동백꽃이 다 떨어지면 봄도 절정을 넘기게 된다. 열어놓은 창틈으로 스며드는 온갖 꽃향기에 정신이 아찔하다. 절정의 봄 속에 내가 있고 네가 있고 우리가 있다. 백화제방(百花齊放)의 계절이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