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2월호

사막에 핀 하얀 장미

조지아 오키프 미술관

  • 최정표 |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 jpchoi@konkuk.ac.kr

    입력2015-11-20 14:2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조지아 오키프는 세계적 명성의 미국 여성 화가다.
    • 20세기 중반 뉴욕을 거점으로 활발하게 활동했지만, 정작 그를 기념하는 미술관은 ‘미국 속 스페인’이라 불리는 뉴멕시코 주에 있다. 말년의 오키프는 뉴멕시코의 이국적인 풍경에서 안식과 영감을 얻었다.
    사막에 핀 하얀 장미

    조지아 오키프 미술관.

    미국 서남부에 자리한 뉴멕시코 주는 황량한 사막이다. 비옥한 농토는 찾아보기 어렵고, 가도가도 관목 덤불과 돌밭 천지다. 간혹 보이는 작은 시냇물이 ‘이런 땅에서도 사람이 살 수는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들게 한다. 원래 멕시코 땅이었다가 1912년 미국의 47번째 주로 편입됐다. 이름 그대로 미국 속에서 새로 탄생한 멕시코(New Mexico)인 셈이다.

    뉴멕시코 북부에는 미국의 여느 도시와는 전혀 다른 도시, 샌타페이(Santa Fe)가 있다. ‘어도비(Adobe)’라고 하는 스페인식 황토 흙집이 가득한 아름다운 멕시코 마을이다. 조지아 오키프 미술관(Georgia O’Keeffe Museum)은 샌타페이 한복판에 자리한다. 역시 아담하고 소박한 어도비 건물로, 미국의 여성 현대화가 조지아 오키프(1887~1986)를 기념하는 개인 미술관이다.

    오키프와 뉴멕시코

    오키프 미술관은 1995년 설립되기 시작해 그의 사후 11년이 지난 1997년에 개관했다. 140점의 오키프 작품으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3000여 점으로 늘었다. 전 세계에서 오키프 작품을 가장 많이 소장하고 가장 많이 전시하는 미술관이다.

    미술관은 그의 그림뿐만 아니라 유산과 작품 세계를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기념관 성격이 강하다. 2001년 미술관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연구센터(Georgia O’Keeffe Museum Research Center)를 열어 미국 모더니즘 미술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미국 모더니즘 미술을 연구하는 유일한 연구시설이다.



    샌타페이에서 북쪽으로 1시간 정도 달려가면 오키프가 말년에 살던 시골 마을 아비키우(Abiquiu)가 나오고, 거기서 또 북쪽으로 20분을 더 가면 그가 작업장으로 쓴 농장 고스트랜치(Ghost Ranch)를 만날 수 있다. 아비키우와 고스트랜치 모두 아름다운 캐년으로 둘러싸인 사막 마을이다. 오키프는 1940년 고스트랜치에, 1945년엔 아비키우에 집을 마련했다.

    오키프의 재산은 조지아 오키프 재단(Georgia O’Keeffe Foundation)이 소유했는데, 재단은 2006년 재산을 모두 오키프 미술관에 넘기고 해산했다. 재단이 소장한 800여 점의 오키프 작품도 미술관이 맡았다. 아비키우와 고스트랜치도 미술관이 인수했다. 이러한 작업을 거쳐 미술관이 명실공히 오키프를 기념하는 심장이 된 것이다.

    그런데 왜 오키프 미술관은 그가 주로 활동한 뉴욕과 한참 떨어진 샌타페이에 있는 걸까. 그는 마흔두 살이던 1929년부터 20년간 거의 매년 뉴멕시코를 찾았고, 1949년 이후에는 아예 뉴멕시코에 눌러앉았다. 아비키우와 고스트랜치에 거주하며 그린 작품도 많다. 이러한 연고로 뉴멕시코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예술도시를 자처하는 샌타페이에 오키프 미술관을 만들게 된 것이다.

    샌타페이는 미국 속 스페인 도시다. 크기는 뉴멕시코에서 4번째이지만 인구 70만 명의 어엿한 주도(州都)다. 본래는 인디언들이 살던 곳으로, 1100년경에는 이 지역에 푸에블로족 인디언 마을이 많았다고 한다. 샌타페이에 백인이 진출한 것은 1598년으로 기록된다. 물론 멕시코에서 온 스페인 사람들이었다. 1810년 멕시코가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할 때까지 스페인 땅이었다가 멕시코에 귀속됐고, 이후 미국에 편입됐다.

    샌타페이는 예술가가 많이 살고, 관광객도 많이 놀러 온다. 기후가 따뜻하고 여느 미국 도시와는 다른 풍경이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집도, 건물도, 거리도 모두 예술작품처럼 느껴진다. 도시 전체가 미술관이라 할 만큼 갤러리가 도처에 널려 있다. 갈색의 어도비 흙집으로 가득한 풍경은 한국의 옛 시골 정취와도 흡사해 정겹다. 맑은 하늘을 상징하는 코발트색 창틀은 어도비와 산뜻하게 어우러진다.

    스티글리츠를 만나다

    사막에 핀 하얀 장미

    산타페는 스페인식 황토 흙집들이 이국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미국 속 스페인 도시다.

    조지아 오키프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미국의 여성 화가다. 40대에 미국 최고의 화가에 등극했고, 100세까지 살며 부와 명예를 함께 누렸다. 개인적 삶도 드라마틱하고 격정적이었다고 알려진다.

    1930~40년대에 오키프의 명성과 인기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다. 작품 의뢰가 쇄도했고, 뉴욕과 그 근방에서 전시회도 수차례 열렸다. 최고 전성기는 50대 때 찾아왔다. 1943년 시카고 미술관(Art Institute of Chicago), 1946년 뉴욕 현대미술관(Museum of Modern Art)에서 단독 회고전을 열었다. MoMA의 첫 여성작가 회고전 주인공이 바로 오키프였다.

    여러 대학에서 명예학위도 받았다. 1976년에는 자서전을 썼고, 이듬해 그를 주제로 한 영화가 제작됐다. 1977년에는 제럴드 포드 당시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미국 시민에게 주어지는 최고 영예인 대통령 자유메달(Presidential Medal of Freedom)을, 1985년에는 국가 문화메달(National Medal of Arts)을 받았다.

    오키프는 위스콘신 주의 시골 마을에서 목장을 운영하는 아일랜드계 아버지와 헝가리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미술가가 되기를 원했던 그는 18살 때 시카고 예술학교(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에 진학하며 본격적으로 미술 공부를 시작했다. 그 시절 예술가 대부분이 그랬듯 오키프도 뉴욕으로 옮겨와 미술 공부를 계속했다.

    그는 뉴욕에서 운명의 남자 앨프리드 스티글리츠(Alfred Stieglitz·1864~1946)를 만난다. 스티글리츠는 당시 세상에 갓 출현한 사진을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린 유명 사진작가이자 뉴욕 예술계의 거물이었다. 그는 ‘291’이라는 갤러리를 운영하며 유럽의 많은 아방가르드 작가를 미국에 소개하고 있었다.

    오키프는 스물한 살 때 처음 291 갤러리를 방문했다. 하지만 당시엔 ‘거장’ 스티글리츠에게 말조차 건넬 수 없는 애송이에 불과했다. 8년이 지난 1916년에야 오키프는 스티글리츠와 가까운 사이가 됐고, 291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이는 예술가로서 자신감을 갖게 된 중요한 계기가 됐다.

    사막에서 얻은 영감

    오키프는 한때 순수예술을 포기하고 시카고에서 상업예술가로 일했지만, 1918년 스티글리츠의 요청에 따라 아예 뉴욕으로 이사 와 작품 활동에만 몰두했다. 그해 스티글리츠는 뉴욕 주 북부의 아름다운 호수 지역 레이크조지(Lake George)에 있는 별장에 오키프를 초대한다. 레이크조지는 나도 한 번 가본 적이 있는데, 울창한 삼림 속에 크고 아름다운 호수가 펼쳐진 곳이다. 미국인들이 최고로 꼽는 여름 휴양지 중 하나라고 한다.

    두 사람은 이때부터 1929년까지 매년 여름을 레이크 조지에서 함께 보냈다. 1923년부터는 스티글리츠가 매년 오키프의 개인전을 열어줬다. 스티글리츠의 후원에 힘입어 그는 1920년대 중반 이후부터 화가로서 명성을 날리기 시작했다.

    오키프는 스티글리츠와 관계가 소원해진 1929년 기차여행을 하던 중 우연히 들른 뉴멕시코에 완전히 매료됐다. 당시 교통 사정으로는 뉴욕에서 뉴멕시코까지 여러 날이 걸렸음에도 이후 거의 매년 뉴멕시코를 방문했다. 그는 뉴멕시코 사막 이곳저곳을 여행하며 휴식을 취했고, 사막에서 주워 모은 돌과 동물 뼈 조각 등으로부터 작품의 영감을 얻었다(사막 풍경과 동물 머리뼈는 오키프 그림의 중요 소재다). 나중에는 유타 주 콜로라도 강까지 여행의 반경을 넓혔다.

    오키프는 40대 중반에 이르자 신경쇠약으로 더는 작업할 수 없는 지경이 됐다. 1934년 고스트랜치를 방문하고는 아예 여기 눌러앉기로 맘먹었다. 고스트 랜치는 빨간 절벽이 병풍처럼 주위를 빙 둘러싼 사막의 요새 같은 곳이다. 붉은 암석 사이로 간간이 초록 식물이 머리를 내민다. 황량함 속에서도 생명력을 느낄 수 있는 묘한 매력을 발산한다. 내가 방문한 때는 초가을이었는데, 맑고 푸른 하늘 아래 내리쬐는 사막의 햇빛이 하나의 조명처럼 고스트랜치를 감싸고 있었다.

    오키프는 1945년에 아비키우에도 집을 마련했다. 1949년에는 뉴멕시코로 아예 이사를 왔다. 1950년대 후반에는 그간 꿈꿔오던 세계 여행에도 나섰다. 여행 중에도 많은 작품을 그렸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시력이 급속히 나빠져 85세가 되는 1972년부터는 유화보다는 드로잉에 몰두했다. 1984년에는 아비키우에서 샌타페이로 옮겨왔고, 1986년에 99세로 생을 마감했다. 한국 나이로는 100세였다.

    오키프의 작품은 매우 큰 특색이 있어서 쉽게 구분해낼 수 있다. 한국 최고의 여성 화가인 천경자의 작품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것처럼. 오키프와 천경자의 작품엔 이상하게도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는 게 내 생각이다.

    사막에 핀 하얀 장미

    Pedernal, 1941~42



    사막에 핀 하얀 장미

    Abstraction White Rose, 1927(왼쪽), Banana Flower No.2, 1934

    캔버스 가득한 꽃 한 송이

    미술관에 전시된 그림 중 가장 인상적인 것은 ‘페더널(Pedernal)’이라는 이름이 붙은 풍경화였다. 사막의 산과 꽃을 수채화처럼 그린 유화다. 사막의 황량함이 화려한 꽃과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하얀 장미 추상화(Abstraction White Rose)’도 오키프의 전형적인 꽃 그림으로 눈길을 끌었다. 꽃은 오키프 그림의 주요 주제였다. 곡선의 흐름이 매우 부드럽고 탐미적이다. 오키프의 꽃 그림에서 꽃잎과 꽃술 등은 여성의 생식기를 상징하는데, 이는 남성적 시선의 미의식에 도전장을 던진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꽃 한 송이를 캔버스 가득 확대해 아주 크게 그리면서 이러한 상징성을 최대화했다.

    오키프의 꽃 그림은 처음엔 별로 주목받지 못했다. 그는 사람들이 당시 우후죽순처럼 솟아오르는 맨해튼 고층빌딩에 환호하자, 자신도 꽃을 크게 확대해 그리면 대중의 관심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예상은 적중해 꽃 한 송이가 화폭을 가득 채운 그의 독특한 스타일은 이내 주목받기 시작했다.

    오키프와 스티글리츠는 1924년에 정식 부부가 됐다. 이때 오키프는 37세, 스티글리츠는 60세로 무려 23세 차이였다. 스티글리츠가 사망한 1946년까지 둘은 22년간 서류상 부부 사이를 유지하며 상대방의 예술 세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스티글리츠는 뉴저지 주의 독일계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비교적 여유 있는 집안이라 스티글리츠는 일곱 살에 뉴욕에서 가장 좋은 사립학교에 다녔다. 아들의 재능을 알아챈 아버지는 아들의 대학 교육을 위해 가족을 모두 데리고 독일로 이주했다. 스티글리츠는 독일에서 대학에 다니며 유럽 여행을 많이 했다. 1890년 서른여섯의 나이로 뉴욕으로 돌아와 본격적으로 사진작가의 길에 들어섰다.

    스티글리츠는 1893년 9세 연하의 오버마이어와 결혼했다. 하지만 결혼생활은 원만하지 못했다. 그는 훗날 ‘돈 때문에’ 첫 결혼을 했다고 고백한 바 있다. 신부는 맥주회사를 운영하는 사업가의 상속녀였고, 당시 스티글리츠의 아버지는 주식 투자가 망해 쪽박 신세였다.

    사막에 핀 하얀 장미

    오키프가 스티글리츠에게 보낸 편지(왼쪽), 스티글리츠가 촬영한 30대 시절의 조지아 오키프(1920~22).

    오키프 예술의 聖地

    스티글리츠는 여성 취향이 독특한 남자로 한평생 젊은 여자에 탐닉하며 살았다. 그래도 첫 아내는 남편이 언젠가는 자신에게 돌아올 것이라 생각하며 경제적 지원을 계속했고, 덕분에 그는 재정적 어려움 없이 작품활동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1924년 스티글리츠 부부는 정식으로 이혼했고, 이혼 도장을 찍은 지 채 4개월도 지나지 않아 오키프와 결혼했다. 결혼 후에도 둘은 독자적으로 작품활동을 계속해나갔다. 상대방의 고유 영역은 침범하지 않는다는 합의가 이뤄진 셈이다.

    그러나 재혼 3년 만에 스티글리츠는 22세의 젊은 여성과 사랑에 빠졌다. 이 여성은 아이가 하나 있는 유부녀인데도 거의 매일 스티글리츠를 찾았다. 오키프도 곧 이 사실을 알게 됐고, 두 사람 사이에 거리가 생기기 시작했다. 1946년 스티글리츠가 쓰러졌다. 오키프가 병원에 도착하자 젊은 애인이 그를 지키고 있었다. 애인이 나간 사이 오키프가 남편의 임종을 지켜봤다. 오키프는 스티글리츠의 유해를 화장해 레이크조지에 뿌렸는데, 정확한 장소는 밝히지 않았다. 그는 남편이 남긴 작품들을 정리해 미국의 주요 미술관에 기증했다.

    스티글리츠는 1917년 자신의 갤러리에 오키프가 방문했을 때부터 오랜 기간 그를 모델로 사진 작업을 했다. 1937년 은퇴할 때까지 오키프가 모델이 된 사진 작품이 350점이 넘는다. 그중에는 누드 작품도 있다. 스티글리츠 회고전에서 이 작품들이 공개됐을 때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화가는 대개 가난하다. 고흐는 그 대명사다. 가난이 작가정신을 키운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부자 화가도 있다. 화가가 부자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부모가 부자이거나 생전에 유명해져서 큰돈을 벌었기 때문이다. 은행가 아버지를 둔 세잔이 전자라면 피카소와 오키프는 후자다. 오키프는 일찍이 명성을 얻어 여유롭게 작품활동을 할 수 있었고, 개인 미술관도 만들 수 있었다.

    사막에 핀 하얀 장미
    최정표

    1953년 경남 하동 출생

    미국 뉴욕주립대 박사(경제학)

    공정거래위원회 비상임위원, 건국대 상경대학장

    저서 : ‘경제민주화, 정치인에게 맡길 수 있을까’ ‘재벌들의 특별한 외도’ ‘한국재벌사연구’ ‘공정거래정책 허와 실’ ‘한국의 그림가격지수’ 등

    現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 경실련 공동대표


    하지만 유명 화가의 개인 미술관에는 대표작이 거의 없는 경우가 많다. 생전에 유명해진 작가일수록 작품이 남김없이 팔려나가기 때문이다. 피카소의 대표작은 세계 유명 미술관에 흩어져 있어 정작 파리의 피카소 미술관에서는 그의 대표작을 구경할 수 없다. 암스테르담에 있는 고흐 미술관은 예외다. 생전에 빛을 보지 못해서 팔린 그림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오키프는 생전에 유명해진 화가지만, 산타페의 개인 미술관에는 그의 많은 작품이 소장돼 있고 대표작도 더러 있다. 그가 경제적으로 여유 있었고, 직접 작품을 관리했기 때문이다. 미국 유명 미술관도 빠짐없이 오키프 작품을 소장하고 있지만, 샌타페이의 오키프 미술관이야말로 그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최고의 장소라 하겠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