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호

“무장 독립투쟁 불사” “외세 업고 反中행위”

‘원수지간’ 치닫는 홍콩인-중국인

  • 홍순도 | 아시아투데이 베이징 특파원 mhhong1@daum.net

    입력2016-06-08 15:59:46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港, “홍콩 억압하고 민폐만 끼쳐”
    • 港, “영국령 민주주의에 향수”
    • 中, “홍콩 독립주의자 배후는 美 CIA”
    • 中, 허울뿐인 홍콩 자치권도 회수?
    1984년 12월 19일. 당시 중국 개혁·개방의 총사령탑인 덩샤오핑(鄧小平)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마거릿 대처 영국 총리와 마주 앉았다. 1997년 7월 1월 홍콩 주권을 중국으로 반환하는 연합성명 서명식 개최 전, 양국이 타결하지 못한 부분을 조율하기 위해서였다. 최근 비밀이 해제된 영국 외무부의 회담 기록을 보면, 덩은 이 자리에서 “홍콩을 돌려받은 후 50년 동안 홍콩의 자치를 보장하겠다. 이는 중국의 현대화를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른바 항인항치(港人港治. 홍콩인이 홍콩을 다스림) 원칙을 분명히 한 것이다.

    덩샤오핑의 이 약속이 지켜졌다면, 지금 홍콩은 고도의 자치를 누리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굳이 길게 설명할 필요도 없다. 홍콩 시민들은 홍콩 최고책임자인 행정장관을 자기 손으로 뽑지 못한다. 행정장관은 간접선거에 의해 베이징의 입맛에 맞는 사람만 선출되는 경향이다. 초대 둥젠화(董建華)에서부터 현재의 량전잉(梁振英)에 이르기까지 역대 행정장관은 한 사람도 예외 없이 친중국 인사다.

    내년에 행정장관 직선제를 실시한다지만, 베이징 당국은 친중국 인사만 후보자로 나와야 한다고 제한한다. 항인항치 약속은 부도수표가 된 듯하다. 덩샤오핑이 약속한 50년 자치는 무늬만 자치일 가능성이 높다.

    상황이 이러니 700만 홍콩인 중 상당수가 베이징에 반발한다. 일부는 노골적으로 반중(反中 )감정을 드러낸다. 그러자 베이징은 ‘어, 그래? 그럼 자치권 부여 약속, 없던 일로 할까?’라는 속내를 은근히 드러낸다.  



    “애국자가 홍콩 다스려야”

    지난 4~5년에 걸쳐 홍콩인들은 중국 본토에 맞서 줄기차게 저항해왔다. 2012년 9월 신학기를 앞두고 홍콩 정부는 ‘중국식 국민교육’을 도입하기로 했다. 결정 주체는 홍콩 정부지만, 중국의 강한 압박이 작용했다고 판단한 학생, 시민들은 이 조치에 즉각 반발했다. 10만여 명이 거리로 나와 강하게 항의했다. 전체주의 교육으로 자신들을 옥죄려는 것으로 본 것이다. 당황한 홍콩 정부는 중국의 현재 상황과 역사, 문화를 알리기 위한 과정이라고 해명했지만 별무효과였다. 시민들은 “사회주의를 찬양하고 민족주의를 부추기는 편향된 정치 세뇌교육”이라고 반박했다. 결국 홍콩 정부는 국민교육 도입을 철회해야 했다.

    2014년 10월을 전후해 절정을 이룬 ‘우산혁명’도 베이징에 대한 홍콩인들의 불신을 극명하게 반영한다. 그해 8월 31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는 2017년 이후 실시되는 홍콩 행정장관 직선제와 관련해, 친중국계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과반 지지를 얻은 인사 2~3명으로 행정장관 후보를 제한하기로 했다. 이를 ‘꼼수 직선제’로 여긴 홍콩 대학생들은 동맹휴업을 선언했다. 여기에 중·고교생도 동참했다.

    당국이 최루탄을 쏘며 진압하자 시민단체인 ‘센트럴을 점령하라’가 도심 점거 시위를 시작했다. 100만 홍콩인은 그해 12월 16일까지 79일 동안 거의 매일 정부 청사, 의회, 금융기관이 밀집한 홍콩의 중심지 중환(中環. 영문명 센트럴)의 도로를 점령했다.

    ‘중국식 국민교육’ 도입에 반대하기 위해 결성된 고등학생 연합조직 학민사조(學民思潮)와 대학생 조직 학련(學聯)은 비폭력 평화 집회를 천명했다. 중국 당국의 입김으로 홍콩 경찰이 최루액을 쏘자 시위대는 이를 막기 위해 우산을 펴 들었다. 그래서 ‘우산혁명’이란 이름이 붙었다. 그러나 혁명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시위대는 아무런 소득도 얻지 못했다.

    베이징의 중국 지도부는 홍콩에 제대로 된 자치권을 줄 뜻이 전혀 없는 듯하다. 2014년 6월  발간된 ‘홍콩특별행정구에서의 일국양제(一國兩制) 실천’ 백서만 봐도 바로 알 수 있다. 중국 당국은 이 백서에 ‘중앙 정부는 홍콩에 대한 전면적 관치권을 가진다’고 명시했다. 고도의 자치권을 줄 생각이 없다는 점을 보여주는 결정적 증거다. ‘애국자가 홍콩을 다스려야 한다’는 내용 역시 같은 맥락이다. 한 홍콩 시민은 “베이징 당국은 자치권 확대와 민주화를 운운하는 인사들을 눈엣가시로 본다”고 말한다. 홍콩의 미래와 관련해 홍콩인과 베이징의 중국 정부는 동상이몽을 꾼다고 할 수 있다.  


    “친부모 버리고 양부모에게?”

    홍콩인들의 반중국인 정서에도 섭섭함을 나타낸다. 중국 당국이 2014년 우산혁명을 진압하도록 홍콩 정부를 조종한 것도 이런 섭섭함과 무관하지 않다. 더구나 중국 당국은 반중 정서를 가진 홍콩인들의 뒤에 영국과 미국이 있다고 확신한다. 시위를 일으키는 범민주파의 배후에 외세와 결탁해 항독(港獨, 홍콩의 독립)을 부추기는 검은 손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홍콩 정가에선 범민주파 인사들 중 일부가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모종의 연결고리를 갖고 있다는 설이 나돌았다. ‘위키리크스’가 폭로한 홍콩 주재 미국 총영사관 기밀 자료에 따르면, 총영사관 관계자들을 포함한 미국 인사들이 민주화를 주장하는 홍콩인들과 회동하거나 자금을 지원한 정황이 나타난다. 이들 미국 인사 중에는 네오콘의 거물인 폴 울포위츠도 있다. 중국 정부는 수개월 전 반중 서적을 출판하는 퉁루완(銅灣) 서점의 민주화 인사 5명을 구속했다.

    중국 당국도 인정하는 것처럼 다수의 홍콩 시민은 홍콩의 완전한 자치 내지는 독립을 원하는 듯하다. 이 중 소수는 ‘무장투쟁도 필요하다면 해야 한다’는 태도를 보인다. 특히 홍콩의 젊은 세대에게서 이런 면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들은 중국의 홍콩 통치를 ‘식민지배’로 규정한다. 명문 홍콩대나 중원(中文)대 캠퍼스엔 심심치 않게 “항식(抗殖. 중국의 홍콩 식민지배에 대한 저항)을 통해 완전한 자치를 실현하자”는 구호가 적힌 현수막이 나부낀다. 일부 시위대는 영국 국기인 유니언잭(Union Jack)을 흔들며 “홍콩 독립”을 외친다.  



    영화 ‘10년’이 현실로?

    주목할 점은, 홍콩의 상당수 일반 시민도 이런 극단적 주장에 귀를 기울인다는 사실이다. 시민들은 베이징 당국이 제시한 직선제 자치가 얼마나 허구적인지 잘 안다. 고도의 자치 약속을 헌신짝 버리듯 하는 점에 대한 반감이 크다. 중국은 홍콩과 중국이 한 민족이라고 말하는데, 어떻게 보면 같은 민족에 대한 배신감이 더 클 수 있다. 홍콩인들은 이런 상태로 시간이 흐르면, 허울뿐인 자치마저 없어지고 중국 체제에 완전히 편입될 것이라고 여긴다. 자신의 정체성이 사라질지 모른다는 위기감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이들은 먹고살기가 어려워졌다는 점에서 현 중국식 체제에 대한 불만을 높여가고 있다. 경제가 좋았던 시절과는 너무 차이가 날 뿐 아니라 도무지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고 본다. 한 홍콩시민은 “양질의 일자리까지 잃는 상황이 예상된다. 홍콩인들이 가만히 있는 게 오히려 이상하다”고 말한다. 홍콩에서 대학을 나와 금융계에서 일하는 한국인 추자영 씨는 이렇게 설명한다.

    “홍콩인들은 아시아에서는 가장 부유한 사람들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700만 인구 중 상당수는 치솟는 집값과 임차료로 골머리를 앓는다. 본토인들이 좋은 일자리를 가져가고 있다. 체감 실업률은 10%에 가깝다. 미래마저 불분명하다. 홍콩으로 공부하러 오는 중국 대학생이 폭발적으로 늘면서 앞으로 이들이 홍콩의 일자리 상당 부분을 잠식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홍콩의 반중 정서가 실제 독립운동으로 전개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게다가 홍콩의 주류는 매항(賣港), 즉 홍콩을 팔아먹는 매판자본으로 불리는 재계 인사들을 주로 비판한다. 홍콩의 적지 않은 젊은이와 지식인들은 이런 현실에 절망감을 느낀다.

    독립영화 ‘10년’은 최근 홍콩 금상장(金像奬)영화제에서 최고 작품상을 수상했다. 이 영화에선 5명의 감독이 각각 홍콩의 10년 후 미래를 그렸다. 그 내용은 암울하기 이를 데 없다. 영화에서 중국 당국은 입법위원을 권총으로 저격해 사회 혼란을 야기한 뒤 이를 빌미로 국가안전법을 통과시키려는 음모를 꾸민다. 표준어인 보통화가 강제돼 더 이상 홍콩인들은 모국어인 광둥어를 쓸 수 없게 된다. 홍콩 독립운동을 하는 시민운동가는 분신자살을 한다. 중국 당국의 홍위병임을 자처하는 소년군이 출현한다. 홍콩인들이 자신들의 미래에 얼마나 실망하고 있는지 이 영화는 자세히 보여준다.  

    중국 당국도 홍콩의 이런 정서를 모르지 않는다. 우려도 크다. 만에 하나 홍콩이 잘못되면 인접한 마카오와 타이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중국의 통일을 방해할 것으로 본다. 그래서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한다.

    중국 정부 내에선 강경책과 온건책이 혼재하는 것 같다. 그러나 국가안전법 실시, 인민해방군 주둔병력 증강 같은 강경책이 ‘홍콩의 자치권을 확대해주자’ 같은 온건한 주장을 압도하는 모양새다. 한 홍콩인은 “영화 ‘10년’이 현실이 될지 모른다”고 우려한다.  

    홍콩에선, 홍콩으로 오는 본토인들을 ‘메뚜기떼’로 부르기도 한다. 홍콩인들은 “본토인들은 메뚜기떼처럼 새까맣게 몰려와 우리 삶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있다”고 말한다. 육항(陸港, 중국과 홍콩)의 모순은 더 심해질 가능성이 높다. 내년 7월 주권 반환 20주년 기념일 무렵엔 양 지역 간 긴장이 절정을 이룰지도 모른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