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호

도전! 서울에서 협소주택 짓기

폭풍전야는 고요했지만…

5화_세입자 이사 & 한옥 철거

  • 글·홍현경 | kirincho@naver.com, 자문·이재혁 | yjh44x@naver.com

    입력2016-09-22 11:40:19

  •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5년 12월은 따뜻했다. 세입자의 협조로 숙원이던 집 공사 일정을 잡을 수 있게 돼 겨울이 시작되기도 전에 내 마음은 이미 봄을 맞았다. 



    부동산 시세가 오른다는데

    “작은 땅은 용적률을 제대로 찾아 지을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은데, 이런 땅을 어떻게 찾았대?”

    “그래? 그런 땅을 누가 찾았나?”

    “그러게 내 마누라지~”

    우리 부부는 이러면서 논다. 혜화동으로 이사 온 후 6개월가량을 집도 들여다보지 못한 채 지루하게 보냈다. 이미 떠나온 동네 재건축 아파트 값이 오른다는 뉴스를 들을 때면 이런 유치한 말놀이는 나쁜 기억 더듬기로 변질된다.

    “그 집은 엄청 추웠어. 한강 바람이 장난 아니었어.”

    “맞아. 첫 달에는 뭣도 모르고 보일러 계속 틀었다가 관리비가 80만 원 나왔잖아.”

    “아휴 그전 집은 어떻고. 층간 소음 때문에 도망치듯 이사했잖아.”

    “맞아 정말 무서웠지, 그때.”

    그 무렵 남편의 귀가 시간은 항상 자정을 넘겼는데, 시끄럽다며 아랫집에서 올라와 소리를 칠 때면 나는 연신 죄송하다 조아렸고 두 아이는 두려움에 떨었다. 그만 좀 하시라, 소리 질러주시던 옆집 아저씨가 어찌나 고맙던지. 사실 남자아이만 둘이라 소음만 나면 우리 집이 지목을 받았다. 억울한 일도 많았다.

    물론 그곳에서의 좋은 기억이 나쁜 기억보다 더 많지만 부러 나쁜 기억을 떠올리며 ‘이곳이 좋다, 이 집이 더 좋다’ 위안하고 스스로 세뇌하는 시간이었다.

    이곳에 산 기간은 짧지만, 이 기간에 혜화동 근처 집을 알아봐달라는 지인이 2명이나 있었다. 그런데 이상하리만큼 집 찾기가 어렵고, 계약을 하려 들면 갑자기 집값을 1억 원 이상 올려버리기도 했다.

    재건축을 해서 갑자기 바뀌는 아파트촌과 달리 구도심은 한 집, 두 집 야금야금 바뀐다. 그것도 집 짓기 좋은 땅이 먼저 바뀐다. 몇 년 기다리면 다시 기회가 오는 아파트와 달리 단독주택은 기다린다고 해서 좋은 땅이 나오는 게 아니라, 개발이 되고 나면 값이 너무 올라 접근하기 어려운 수준이 돼버린다. 리모델링은 그나마 낡은 다가구 주택들이 있어 여지가 있지만 작고 저렴하면서 위치도 나쁘지 않은 신축할 땅 찾기는 점점 어려워진다.

    동네 사람들은 10년 전 시세를 기억하기에 너무 비싸졌다고 내려가기를 기다리지만, 딴 동네 사람들은 그나마 이곳이 싸다며 집을 사러 모여든다. 우리가 집을 구할 때만 해도 평당 2000만 원이면 작고 못난 신축 부지를 구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평당 2500만~3000만 원이라야 주차장을 만들 수 있는 부지를 구하는 것 같다.  



    세입자 이사 가던 날

    드디어 세입자의 이사 날짜를 받았다. 세입자의 전세금을 내주기엔 자금이 조금 모자라 대출을 알아보러 다니기 시작했다. 우리 한옥집은 집을 사기 전 딱 한 번 보긴 했지만 신축을 염두에 두고 샀던 터라 꼼꼼히 들여다보지 않아서 방이 2칸이었는지 3칸이었는지도 정확지 않았다.

    단독주택은 아파트에 비해 대출받기가 좀 어렵다는 사실은 알았지만, 시세의 80~90%까지 대출되는 아파트에 비해 주택 대출은 단계도 복잡하고 은행마다 대출 방법도 다르다. 일단 대출을 받겠다고 하면 은행에서 감정평가사에게 의뢰해 집 시세를 감정받는다. 그 감정가를 바탕으로 약 50~60% 대출이 되는데 이자도 일반 아파트보다 높게 책정된다.



    우리 집 구상도 실용과 재미의 접점을 찾다


    1 키친가든
    4층 주방 옆에 허브 및 식용이 가능한 여러 가지 채소를 심고 가꾸는 공간입니다. 거실과 식당에 인접한 테라스 구실을 하게 되는데, 주택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이라고 볼 수 있죠. 비를 피할 수 있는 지붕도 설치하고, 해먹을 걸 수 있는 장치도 마련할 예정입니다. 가족의 해방구 같은 역할을 하길 기대합니다.

    2 다락 & 실험실
    2인용 매트리스가 겨우 들어갈 정도로 작은 다락은 손님의 거처이자, 아이들에겐 아지트 같은 공간이 될 것입니다. 비록 손바닥만 한 다락이지만 큰 창 너머 테라스가 연장돼 보여 답답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다락 앞쪽 테라스는 가드닝에 관심이 많은 아내가 이것저것 심어보면서 식물 공부하는 장소로 활용할 예정이고, 아이들은 인디언 텐트를 쳐놓고 친구들을 불러들일 작정입니다.

    3 엘리베이터 대신 도르래

    4 책 놀이 계단
    2층 현관 윗부분부터 3, 4층으로 이어지는 계단 주변에 책꽂이를 연속적으로 배치해 계단은 사색의 공간이자 책 놀이의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중목 구조의 중문과 함께 이 집의 독특한 아이덴티티를 만들어낼 것으로 예상합니다.

    5 머물고 싶은 욕실

    삼각형 테라스가 있어 충분한 채광과 조망이 가능한 욕실. 단독주택에서만 누릴 수 있는 호사가 아닐까요. 변기 공간을 별도로 분리해 바쁜 시간엔 여럿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건축 사무실

    7 임대 및 커뮤니티 공간

    1층은 층고가 다른 2개 공간으로 나뉩니다. 두 장소를 연결해 계단강의실처럼 활용할 수도 있고, 각 공간을 나눠 임대를 줄 수도 있지요. 지역 커뮤니티 공간으로도 사용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8 주차장 마당

    건물과 건물 사이에 끼어 좁고 긴 공간입니다. 음지에서 잘 자라는 나무 몇 그루, 벽면 녹화를 위해 덩굴식물도 심고 흙을 만질 수 있는 마당으로 꾸밀 생각입니다. 1층에서 행사가 있을 땐 폴딩 도어를 열어 넓은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마당을 프라이빗하게 사용하기 위해 도로 쪽에 문을 설치할 예정입니다.

    9 플러스 알파
    지하는 환경이 가장 안 좋고 비용도 많이 드는 공간이어서 꼭 필요한 최소한의 크기로 계획했습니다. 이곳은 1층에서 직접 연결되는 화장실과 탕비실, 창고로 활용됩니다.



    홍 현 경
    ‘가드너’로 불리고 싶은 전직 출판편집자. 책을 기획하고 편집하는 일을 20년 동안 해오다 2014년 가을 퇴직했다. 요즘 정원 일의 즐거움에 푹 빠져 ‘시민정원사’로 활동하고 있다.




    이 재 혁
    ‘놀이터 같은 집’을 모토로 삼는 건축가. 재미있는 공간이 삶을 풍요롭게 한다고 믿는다.
    서울시 공공건축가이자 한국목조건축협회에서 시행하는 5-star 품질인증위원으로 활동한다. 2004년 신인건축가상, 2008년 올림픽공원 내 올림픽프라자 리모델링으로 서울시건축상을 받았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