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2월호

신성미의 달콤쌉쌀한 스위스

삶의 최우선은 ‘휴가’ 그래도 세상은 잘 굴러간다

  • 글·사진 신성미 | 在스위스 교민 ssm0321@hanmail.net

    입력2016-12-06 13:50:26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놀러 다니는 걸 너무 자랑하는 거 아냐? 얘는 여행 다녀온 지 얼마나 됐다고 또 여행 갔대? 그럼 일은 언제 해? 저렇게 여행 다니면서 저축은 할 수 있나?
    • 한국댁에게 스위스 여행문화는 충격 그 자체였다.
    • 모두가 여행에 빠져 사는 듯한데, 그래도 스위스 사회는 잘만 굴러간다.

    “싱가포르에 여행 간 형이 한국 식당에서 김치를 먹었다며 인증 사진을 보냈어.”

    “지금 모리셔스에는 비가 오네. 막냇동생이 보낸 사진을 보니 수영하긴 글러 보여.”

    “아버지가 오늘 여섯 시간이나 등산을 하셨대. 산 경치 정말 멋지다!”

    남편은 시댁 식구들의 여행 소식을 수시로 전한다. 스마트폰의 가족 그룹채팅방에 올라오는 소식들이다. 시아버님과 아들 4형제는 연중 동에 번쩍, 서에 번쩍 휴가지에서 사진을 찍어 보내며 안부를 전한다. 가족뿐만이 아니다. 우리 집 우편함에는 가끔 남편 친구들이 휴가지 풍경이 담긴 기념엽서에 손글씨로 적은 여행 소식이 도착한다. 오랜만에 친지들을 만나면 대화의 주제는 가장 먼저 최근 휴가 이야기로 시작되고 자연스럽게 앞으로의 휴가 계획으로 이어진다.

    스위스 사람들, 놀러 다니는 걸 남한테 너무 자랑하는 거 아냐? 얘는 저번에 여행 다녀온 지 얼마나 됐다고 또 여행 갔대? 그럼 일은 언제 해? 저렇게 여행 다니면서 저축은 할 수 있을까? 처음엔 그런 궁금증이 일었다. 그도 그럴 것이, 나는 세계 최장 수준의 근무시간과 세계 최저 수준의 휴가일수로 직장인을 탈진시키는 한국에서 온 사람이 아닌가. 글로벌 온라인 여행사 익스피디아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은 연차휴가 15일 중 6일만 사용해 조사 대상 26개국 중 휴가일수와 사용률 꼴찌를 기록했다.



    최소 4주 유급휴가 보장

    스위스 근로자들은 연간 최소 4주의 유급휴가를 보장받는다. 이 가운데 2주는 한꺼번에 써야 한다. 연령과 직업군에 따라 연간 5주, 6주에 이르는 유급휴가를 얻기도 한다. 스위스 대기업 회사원인 내 남편의 경우 휴가일수는 연간 5주다. 최대 명절인 크리스마스 기간에는 정해진 휴가일수와 별도로 일주일쯤 ‘추가 휴가’를 주는 회사들도 있다.

    장기 휴가로 유명한 이웃 나라 프랑스의 바캉스처럼 스위스에서도 여름휴가와 크리스마스 때는 식당과 빵집, 상점도 2~3주씩 문을 닫는다. 자영업자들도 쉬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꺼번에 이어지는 2~3주의 휴가를 해외에서 보내는 스위스인이 많다. 관광자원이 발달한 스위스에도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많지만, 국내여행은 주로 주말이나 사나흘의 짧은 휴가기간을 이용한다. 유럽의 한가운데 자리한 지리적 이점 덕분에 이탈리아·독일·프랑스·오스트리아 등 국경을 접한 나라로는 자동차나 기차로 쉽게 갈 수 있고, 스페인·영국·덴마크·노르웨이 등 다른 유럽 국가도 단시간 비행이면 닿는다. 스위스는 물가와 임금 수준이 높아 국내여행보다 해외여행을 가는 게 비용이 더 적게 든다. 휴가를 길게 쓸 수 있으니 아시아, 북미, 남미, 호주, 아프리카 등 다른 대륙으로 장거리 여행도 곧잘 간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상류층, 중산층 중엔 스위스의 아름다운 산악지방이나 이탈리아, 독일 등에 휴가용 별장이나 아파트를 둔 사람도 많다. 그들은 장기 휴가나 주말을 이용해 수시로 그곳에 머물며 머리를 식히고 휴식을 취한다.



    배춧값 올라도 김치 먹듯

    나도 여행을 좋아하고 여행에 큰 가치를 두고 산다. 남편을 처음 만난 것도 홀로 미국을 여행하던 중 뉴욕에서였다. 사람에 따라 소비에 대한 가치가 다르겠지만 내 경우엔 불필요한 옷이나 가방 같은 걸 안 사는 대신 그 돈으로 여행하면서 삶의 안목을 넓히자는 생각을 가졌다. 그럼에도 장기간의 휴가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나로서는 스위스인들의 장기간 여행을 이해하기가 쉽지만은 않았다. 저축이 미덕이고 해외여행은 사치로 여기는 문화, 열심히 일하거나 공부해야 보람차고 놀면 왠지 죄책감마저 들게 하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시선에 길들어 있었다.

    3주를 외국에서 보내려면 대략 20박에 이르는 숙박비를 지출해야 한다. 유럽의 평범한 호텔 하룻밤 숙박비를 15만 원으로 잡아도 3주면 숙박비만 300만 원에 달한다. 여기에 항공료와 매끼 식사비용, 각종 입장료와 레포츠 비용도 상당하다. 그런데 스위스에선 경제적 여유가 있는 중장년의 중산층뿐 아니라 사회 초년생인 20대 젊은이들도 매년 이런 여행을 즐길 수 있다는 게 놀랍기만 했다.

    한번은 친구의 단골 카페에 갔는데 그 카페에서 서빙을 하는 종업원이 친구와 인사를 나누면서 최근에 휴가 다녀온 얘길 했다. 오스트리아의 웰니스 호텔(자연 속 호텔에 머물면서 사우나, 마사지, 온천욕 등을 즐길 수 있는 휴양 호텔)에서 쉬다 왔다는 것이다. 한국에서라면 커피숍에서 일하는 직원에게 과연 이런 휴가를 즐길 경제적·시간적 여유가 있을까.

    스위스인들은 돈이 많아서 이렇게 여행을 자주 가는 걸까. 물론 이 나라가 부국(富國)이긴 해도 모든 국민이 부자인 건 아니다. 그럼 카드 빚을 내서 여행을 할까. 신용카드 할부 사용이 매우 드문 이곳의 소비 문화를 감안하면 그것도 아닌 것 같다.

    나는 많은 스위스인 친지가 휴가를 즐기는 모습을 관찰하면서, 그리고 남편과 많은 대화를 나누면서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갔다. 눈에 띄는 점 하나는 스위스인들의 지출 카테고리에선 여행 또는 휴가가 최우선순위로 자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가계부의 지출 예산뿐 아니라 심리적인 지출 카테고리에도 말이다. 한국인들이 전통적으로 김장 비용을 아끼지 않는 것과 비슷한 이치랄까. 배춧값이 오르더라도 어쨌든 우린 김치를 먹어야 하니까. 스위스 사람들은 이처럼 휴가비 지출을 당연하고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20박을 호텔에서 머물러도 심리적으로 큰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한국식 사고로는 이런 휴가비 지출이 사치스러워 보일지 모른다. 하지만 이렇게 휴가를 가는 평범한 스위스의 지인들 중에 고가 브랜드의 가방이나 시계, 불필요하게 큰 고급 자동차를 사는 사람은 본 적이 없다. 외양이나 다른 소비 행태를 보면 대개 수수하고 검소하다.


    달리기, 등산, 스키…

    주말은 물론 평일 저녁에도 조깅을 하는 사람을 많이 본다. 나도 서울에 살 땐 일하느라 시간이 없어서, 그리고 도심에 마땅한 코스가 없다는 핑계로 조깅을 자주 하지 못했다. 이제는 도심에서 조금만 벗어나면 어디든 호숫가와 숲, 초원, 공원을 따라 조깅을 할 수 있고 그럴 시간적 여유도 생기니 한층 건강해진 기분이다.

    조깅을 즐기는 사람이 많은 만큼 스위스에는 지역마다 크고 작은 달리기 대회가 많다. 마라톤, 하프마라톤까지는 아니더라도 7km 단거리에서부터 10km 안팎으로 아마추어들도 달릴 수 있는 행사가 많다. 나도 남편을 따라 벌써 두 차례나 달리기 대회에 참가했다. 한국의 내 지인들은 이렇게 스포츠를 즐기고 활력이 넘치는 지금 내 모습을 상상도 못할 것이다.

    스위스인들의 ‘국민 스포츠’라면 뭐니 뭐니 해도 등산이다. 마테호른으로 상징되는 산악지형인 만큼 높고 아름다운 산이 수두룩하다 보니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가족과 함께 등산을 하는 데 익숙하다. 어느 곳엘 가도 등산로와 안내판이 잘 정비돼 있고, 지역 홈페이지에는 수많은 등산 코스와 소요시간, 난이도 등이 구체적으로 안내돼 있다. 꼭 산을 오르지 않더라도 비교적 평탄한 하이킹 코스 또한 많아 어린이들과 함께 하이킹하는 가족을 흔하게 볼 수 있다.



    삶의 질 하위권 한국은?

    겨울이면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노보드, 썰매 같은 겨울 스포츠도 인기다. 산악 지형에 겨울이면 눈이 많이 쌓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발달한 스포츠들이다. 한국에서처럼 굳이 먼 스키리조트나 썰매장을 찾아가지 않고도, 비싼 이용료와 숙박비를 지불하지 않아도 가까운 산 곳곳에 설치된 리프트만 타고 올라가면 높은 산의 자연설에서 스키나 썰매를 즐길 수 있다.

    한국에 비하면 매우 자연스럽고 ‘야생적’인 삶의 방식에 흥분과 공포를 동시에 느꼈다. 지난겨울 시댁 식구들과 함께 스위스의 겨울 휴양지 엥가딘 지방의 스쿠올(Scuol)에서 주말을 보내며 썰매를 탔더랬다. 남녀노소 불문하고 다들 익숙한 듯 신나게 썰매를 타는데 나만 무서워했다. 보호 울타리도 듬성듬성 처져 있을 뿐이라 이러다 썰매 코스 옆 산비탈 아래로 추락하는 건 아닌지 심장이 쫄깃해질 지경이었다. 게다가 썰매 한 번 타고 내려오는 데 구간에 따라 10~40분이 걸릴 정도로 코스가 길다. 다행히 살아 돌아왔지만, 천생 서울 사람인 나는 이렇게 자연 속에서 무턱대고(?) 스포츠를 즐겨도 안전한지 여전히 의문이다.

    많은 스위스인이 이처럼 자연 속에서 여가를 즐기고 에너지를 충전한다. 국토 면적이 남한의 40%에 불과한 이 작은 나라 사람들은 국경을 벗어나 세계 곳곳을 여행하며 견문을 넓히고 자유를 누린다. 이를 당연한 삶의 즐거움이자 가치로 여기고, 정부와 기업은 이들의 긴 휴가에 대해 눈치를 주지 않고 휴가일수를 보장한다. 이런 환경이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노동과 국민의 행복으로 이어진다는 건 말할 나위도 없다.

    ‘삶의 질’ ‘일과 삶의 균형’ ‘국민 행복’ 같은 통계에서 늘 최하위권을 맴도는 한국도 제발 달라지기를 바랄 뿐이다.



    신 성 미

    서울대 사회학과를 나와 동아 일보 경제부·문화부, 동아 비 즈니스리뷰 기자로 일했다.
    2015년부터 스위스인 남편과 스위스 장크트갈렌(St. Gallen) 근교에 산다. 스위스에서 자연을 벗 삼아 살면서 느낀 단상과 스위스 사회, 문화에 대해 블로그(blog.naver. com/sociologicus)에 글을 쓰고 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