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영철 기자]
▼ 2월 12일 전북 전주에서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 정동영 의원과 합당을 축하하는 ‘막걸리 러브샷’을 했는데.
“아주 맛이 좋았다. 막걸리를 시키면 안주가 따라 나오는 식당인데, 안주 음식이 고급 한정식 상차림처럼 나오더라(웃음). 13일 전북도의회에서 열린 국민의당 전북지역 순회 최고위원회의차 내려갔다. 회의에 가보니 최고위원 9명 중 6명이 과거 민주당 출신이더라.”
▼ 국민의당이 민주당의 적자(嫡子)라는 말처럼 들린다.
“그렇다. 민주당 분열을 꾀한 사람이 현재 민주당 주도세력으로 있으니까.”
개혁세력 담을 그릇
▼ ‘강진 하산’ 이후 선택은 국민의당이었다.“광장의 민심이 ‘이게 나라냐’고 말하지 않나. 우리나라는 개혁과 변혁의 시대에 도달했다. 지금까지는 과거 청산에 주안점을 뒀지만 탄핵 정국이 마무리되면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는 게 중요하다. 개혁 의지를 가진 이들과 제왕적 대통령 체제 속에서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이들의 싸움이 될 거다. 개혁세력이 이겨서 국민의당이 집권하고, 내가 중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국민의당이 개혁세력을 담을 그릇이라고 봤나?
“그렇다. 개혁세력을 모으고 담아낼 큰 그릇이 필요한데, 국민의당은 그 기반이 된다고 생각했다. 개혁세력 총결집의 시작점이고, 개혁정치의 큰 물꼬를 틀 마중물이다.”
▼ 탄핵 정국은 어떻게 보나.
“박근혜 대통령의 무능력, 무사고(無思考)가 이런 정국을 만들었다. 구조적으로는 1987년 체제 6공화국 헌법으로 인한 대통령의 무한 권력이 비선실세를 낳았다. 체제를 바꿔서 정치를 안정적으로 이끌어가야 한다. 이게 내가 말하는 ‘7공화국’의 핵심이다. 개헌을 통해 안정된 정치체제로 바꿔야 한다.”
▼ 평소 독일식 책임총리제로의 개헌을 주장했는데.
“다양성을 인정하고 통합 속에서 합의제 민주주의를 이룩한 독일식 책임총리제를 선호한다. ‘다양성 속에서의 통합’은 세계사적 흐름이다. 대한민국도 양당제에서 다당제로 가고 있고, 협치와 연대, 연정은 시대정신이다. 안정적인 개혁을 위해선 공동정부를 구성해야 한다. 사실 개헌은 선택과 의지의 문제다.”
3월 정치권 ‘빅뱅’

손학규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이 2월 13일 전북도의회에서 열린 순회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스1]
“내가 총리를 하겠다는 뜻이 아니라 나라가 어렵고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책임 있는 정치인, 애국심 있는 정치인이라면 누구든 거국내각 총리의 ‘멍에’가 씌워졌을 때 거부할 수 없을 것이라는 원론적인 이야기를 한 거다.”
▼ 3월 헌법재판소 결정 이후 ‘정치권 빅뱅’을 예상했는데. ‘3월 빅뱅설’ 말이다.
“패권정치의 우산 아래에서 뜻을 펼쳐보지도 못한 개혁세력들이 국민의당이라는 큰 집으로 몰려올 거다. 이번 대선은 누가 일자리를 만들고, 한반도 전쟁 위협을 없애고, 안정과 통합을 이룰 적임자인지 가려내 뽑는 선거다. 탄핵 정국에서 친문(친문재인)이 득세했지만, 탄핵 국면이 끝나면 다를 거다.”
▼ 김종인 전 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와 정운찬 전 총리 등과 함께하나.
“그 양반(김 전 대표)이야 뭐 마음대로 얘기하는 사람이니까, 속마음을 어떻게 알겠나(웃음). 전국구(비례대표)를 5번이나 했는데. 그저 나라를 위해서 좋은 일을 해주시길 바란다. 김 전 대표나 정운찬 전 총리나, 나라가 어려운 만큼 힘을 합쳐 개혁에 나서야 하는데 어찌 될지 모르지(웃음).”
최근 손 의장은 국민의당 통합과 관련해 “김 전 대표가 먼저 가서 잘하라고 했다”고 말했지만, 김 전 대표는 “민주당 소속인 내가 국민의당에 왜 가나”고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 1%대인 손 의장 지지율을 감안하면….
“지지율은 변한다. 안희정 충남지사도 설 이후 보수층을 흡수하며 지지율이 오른 거다. 지금 안 지사는 (대권 후보로서) ‘모양’은 어느 정도 갖추고 있지만, 결국은 (밑천이) 드러나게 마련이다. 정치인은 경험이 쌓이고 거기서 나오는 지혜가 있어야 한다. ‘이미지 정치’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