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2월호

입시·취업경쟁 뺨치는 軍입대경쟁

  • 곽대중

    입력2005-05-06 15:5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집 떠나와 열차 타고 훈련소로 가던 날 부모님께 큰절하고 대문 밖을 나설 때 … 이제 다시 시작이다 젊은날의 생이여”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의 삽입곡이 되어 뒤늦게 인기를 모으고 있는 노래 ‘이등병의 편지’ 중 한 소절이다. 그러나 지금은 집 떠나와 열차 타고 훈련소로 가기도 그리 수월찮다.

    교육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00년 2학기에 161개 국공사립대 재적생은 163만명으로 이중 휴학자는 52만7316명. 여기서 군휴학자 수는 31만4460명으로 휴학 사유의 59.6%에 이른다. 99년 1학기의 군휴학자 수가 27만8520명, 99년 2학기 29만8566명, 2000년 1학기 29만9971명이었던 것과 비교해볼 때 입영대기자는 점점 늘고 있다. 고등학교 졸업자까지 합산해보면 입영적체 현상의 심각성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서울지방 병무청 현역병 지원창구는 입대지원서를 작성하려는 스무살 총각들로 하루종일 붐빈다. 김민수(21·경원대 2)씨는 5월경에 입대를 하고 싶어 연휴가 끝나자마자 병무청을 찾았다. 그런데 지원서류를 쓰기 위해 작성대에 앉아 있으려니 조그만 안내문 하나가 눈에 띄었다.

    ‘현역 입영 대상은 현재 2001년 7월이 가장 빠른 시기이오니 희망시기를 7월 이후로 표기하여 주십시오.’

    할 수 없이 분기별로 나뉜 입대 희망시기 중 7∼9월 칸에 동그라미를 표시해 제출했다. “입대하려는 사람이 이렇게 많은 줄 몰랐다. 확인해보지 않고 휴학부터 했으면 큰일날 뻔했다. 이젠 군대도 가는 것도 쉽지 않은 세상인가”하며 한숨을 내쉰다.



    서민의 체감 경제지수가 갈수록 영하권을 맴도는 것도 학생들의 입대를 재촉하는 요인 중 하나다.

    특기병 지원에 대거 몰려

    최근 입대 러시는 요즘 신세대 청년들의 의식 변화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른바 N세대들의 입대취향(?)은 ‘빨리’ ‘제때에’ ‘좋은 보직’으로 구분된다. 먼저 ‘빨리’를 선호하는 경향. 몇 년 전만 해도 대학 2학년을 마치고 군대 가는 것이 일반적이었데 요새는 대학 1학년을 마치고 군휴학원을 제출하는 학생이 많다.

    “이제 2학년을 마쳤는데 우리 과 남학생 중 아직 군대를 안 간 사람은 공익근무 예정자를 제외하곤 몇 명 되지 않는다. 이왕 갈 군대인데, 괜히 늦게 가서 나보다 나이 어린 애들 밑에서 졸병 생활하고 싶지 않다. 또 병역미필자는 해외여행이나 유학도 쉽지 않고 무언가 숙제가 남아 있다는 생각을 늘 갖게 만든다. 빨리 갔다 와서 느긋하게 학교를 다니고 싶다.”

    입대지원을 하러 온 이상혁(22·서울 은평구)씨의 말이다.

    이렇게 ‘빨리’를 선호하는 부류는 공병, 통신, 항공, 의무 등 특기병이나 해군과 공군, 의경 복무를 지원한다. 특기병의 경우 자기가 원하는 시기에 입영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자격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주로 택하는 방법이다. 해군과 공군은 복무기간이 각각 28개월, 30개월로 26개월인 육군보다 길지만, 2~3개월 만에 입대영장이 나오므로 지원자가 많이 몰린다.

    경력 쌓으려 군대 간다

    다음으로 ‘제때에’ 자신의 진로 등을 고려해 가장 적당한 시기에 입대하려는 경향이다. 입대예정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달은 3월부터 5월 사이. 이때 입대하면 5월에서 7월 사이에 전역하게 되고, 곧바로 2학기에 복학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이유와 함께 솔직하게 털어놓은 고백은 ‘신병훈련을 좀더 편하게 받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

    한여름의 땡볕훈련이나 한겨울의 혹한훈련보다는 따뜻한 봄날이 좋다는 것이다. 실제 신체검사 때 제출하는 입대희망서에는 대부분이 5월경으로 적는다. 입대영장이 나오면 무슨 사약(死藥)을 받은 듯 몇 날 밤을 뜬눈으로 뒤척이던 기억은 이제 촌스러운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요즘 젊은이들은 자동안내전화(ARS)와 인터넷을 통해 입대일자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고, 휴학과 복학을 고려하고, 제대 후 복학 때까지 무엇을 할 것인지도 꼼꼼히 따져보고 입대시기를 결정하는 실속파가 늘고 있다.

    가능하면 몸이 편한 ‘좋은 보직’에 근무하려는 세태는 여전하다. 그러나 요즘 군대에서 ‘좋은 보직’은 단순히 ‘편하다’는 의미보다는, 자신의 적성이나 특기를 살릴 수 있는 곳에서 근무하는 것을 뜻한다. 여기에는 다시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자신의 전공과 일치하는 분야에서 경력을 쌓으려는 경우와 자신의 전공과 일치하지 않지만 군대를 통해 새로운 도전을 해보려는 경우. 이진엽(23·서울 성동구)씨의 경우는 전자에 속한다. 항공 특기병을 지원한 이씨는 3년간 정비회사에서 근무했고 항공 관련 자격증을 3개나 갖고 있다.

    “흔히 군대를 인생에서 정체되는 시기로 생각하는데 내 경우 군대에서 정비병으로 복무하게 되면 그 2년이 고스란히 경력으로 인정되어 사회생활을 계속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C대 2학년에 재학중 입대한 최모 일병의 경우는 이씨와 다르다. 현재 육군 00부대에서 의무병으로 근무하는 그의 재학중 전공은 기계설비학이었다.

    “군에 입대하려면 6개월 정도 기다려야 한다기에, 그 동안 아르바이트하면서 간호전문학원을 다녔다. 그냥 주어지는 주특기를 받는 것보단 스스로 개척해 나가는게 낫지 않은가.”

    그런데 왜 하필 의무병을 택했을까.

    “간호학과를 가려다가 부모님 반대 때문에 못 갔는데, 군대에서 의무병을 해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을 것 같았다. 군대에서 공부를 해서 제대 후엔 아예 학교를 옮길 생각도 하고 있다.”

    군대를 재도약의 발판으로 삼겠다는 의지다. 군특기병 육성을 목표로 국방부에서 지정하여 운영했던 중장비 학원, 간호학원, 전산학원 등 위촉 학원은 2001년 1월1일 부로 모두 계약이 해지되었다. 전문 자격증을 가진 우수한 자원이 많아지면서 굳이 학원을 통해 특기병을 육성할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그래도 군입대를 위해 학원을 다니는 사람들은 여전히 많다.

    정천교(21·서일대 1)씨는 차량정비 특기병을 지원했다. 지금 자동차 관련 자격증이 2개 있지만 3월에 하나 더 취득하여 4월에 입대할 예정이다. 사진·비디오학원에 다니는 L씨는 요즘 각종 시청각 장비 운용법을 배우는 중이다. 3개월의 교육과정을 마치면 L씨는 육군 정훈병으로 입대할 예정이다.

    경기침체와 취업난은 ‘군대’를 가장 안정적인 직장의 일순위로 꼽으면서 많은 대학졸업자와 현재 복무중인 사병을 하사관이나 장교로 이끄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전문대학 졸업 및 4년제 대학 2년 이상 수료자들을 대상으로 모집하는 3사관학교도 해마다 경쟁률이 높아지고 있다.

    97년 신입생인 34기의 경우 경쟁률이 2:1이었는데, 35기 2.7:1, 36기 4.3:1로 높아졌고, 2000년에 입학한 37기는 4:1의 경쟁률을 보였다. 재학중 교육비·숙박비 등이 전액 국비로 지원되고 15만원 정도의 급여까지 지원되는데다, 임관하면 1400여만원의 연봉을 받을 수 있어 심각한 취업난 속에서 학생들을 유인하는 직업으로 장교가 각광받고 있다.

    3사 36기 합격자 600명 중에는 4년제 대학 출신이 286명으로 전체 합격자의 48%를 차지했고 사병으로 근무하다 장교의 길을 택한 사람은 141명,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사람도 11명이나 되었다.

    한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라는 해병대에 가는 것도 수월치 않은 일이다. 다른 병과보다 훈련이 혹독하고 내무생활도 고되다는 일반적 인식 때문에 지원이 곧 합격이나 마찬가지였던 예전과는 사뭇 다르다. 99년 7월에 국방부가 발표한 특수부대 지원자 현황에 따르면 해병대 지원입대자는 97년 1만8078명, 98년 2만3031명, 99년에는 상반기에만 1만4332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평균 경쟁률은 6:1을 넘는다. 김모(20·대구시 달서구)씨는 해병대에 지원서를 3번이나 냈다가 서류전형에서 번번이 탈락했다.

    “고졸인데다가 학교 다닐 때 결석을 몇 번 한 것이 좋지 않은 평가를 받은 것 같다. 이젠 군대를 가는 데도 성적표가 따라다닌다고 생각하니 열심히 공부하지 않은 것이 후회스럽다.”

    실제 해병대 합격자 선발에는 고교생활기록부에 나타난 성적과 출결상황, 봉사활동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예전의 군대가 선착순이었다면 지금 군대는 성적순이다.

    예전부터 인기있는 특기병과 중 하나였던 카투사(KATUSA)는 군복무와 어학공부의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대학생들에게 여전히 인기가 높다. 선발에 따른 잡음과 카투사 지원의 이상 열기를 없애기 위해 TOEIC 600점 이상 또는 TEPS 550점 이상을 획득한 지원자 중 무작위 전산선발하는 방식으로 바꾸었고 지원기회도 1회로 제한했다.

    각급 경찰관서에 지원서를 제출하는 의무경찰은 복무기간이 육군과 동일하고 도시에서 근무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선호되고 있다. 작년 한 해 의경 지원자 수는 2만44명, 경찰청의 모집인원은 1만5218명으로 평균 76% 정도가 합격했다. 서울지방경찰청에서 경찰행정업무를 보조하는 한 의경은 “일단 다른 지원병과 달리 근무연한이 26개월로 육군과 동일한 것이 큰 매력으로 작용하는 것 같다. 일선 경찰관서에서 치안업무를 보조하면서 사회경험을 쌓을 수 있고, 상당수가 기동대에 배치를 받긴 하지만 최근 몇 년간은 격렬한 시위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예전처럼 최루탄 가루를 뒤집어쓸 염려도 없어서 좋다”며 나름대로 최근 의경 지원율 상승 원인을 분석한다.

    “예전에는 의경지원자가 없어서 경찰관 자녀들에게 의경지원을 권했다. 그런데 최근 몇 년간은 지원자가 많아 고민이라고 한다. 경찰개혁을 통해 경찰서의 시설이 향상되고 경찰의 이미지가 좋아진 것도 지원자가 늘어난 원인 중 하나인 것 같다.”

    몇 년간 의경모집 업무를 담당한 전남 구례경찰서 백운선 경사의 말이다. 의무경찰은 육군신병훈련소에서 4주간 신병교육을 받은 후 중앙경찰학교에서 다시 3주간의 경찰기본소양교육을 받고 경찰서 행정요원, 교통, 전산요원, 기동대 등에서 근무하게 된다.

    여성 인기 직종이 된 군인

    사나이들의 집단으로 생각되는 군대에 들어가려는 여자들의 행렬도 길다. 2001년 7월 임관예정인 해군·해병 최초의 해군여학사장교 모집에는 33명 정원에 538명이 몰려 27: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해군장교(항해, 항공, 보급, 경리, 헌병) 13명과 해병장교(보병, 통신, 보급, 헌병) 20명을 선발하는 이번 모집에서 응시자들의 학력과 경력도 만만찮았다. 연세대 5명, 고려대 6명을 비롯해 이화여대 16명, 숙명여대 12명, 경북대 13명 등 모두 4년제 대졸 학력자들로, 이미 취업하여 유수한 기업체 사원으로 근무하는 경우도 많이 눈에 띄었다.

    “일단 평생 안정된 직장이라는 점이 끌리기도 하지만, 여성 장교 지원의 경우는 이런 경제적 이유만은 아니다. 지난번에 응시했던 사람들을 보니 대기업에 근무하는 사람도 많았다. 나는 어릴 때부터 군인제복을 입고 싶었다. 남자들이 다수를 차지하는 영역에서 내 기량을 뽐내는 것도 도전해 볼만한 일 아닌가.”

    김경미(24·인천시 연수구)씨는 여군사관후보생 시험에 이미 두 번 낙방 경험이 있다. 그래도 삼수, 사수를 해서라도 여성장교가 되겠다고 열의를 불태운다.

    여군 장교는 수능성적과 대학성적으로 1차 선발을 한다. 여군 장교를 꿈꾸는 대학생의 경우, 이미 지나가버린 수능성적은 어쩔 수 없지만 대학 4년간 학점 관리를 잘해야 한다. 전체 과목이 B학점은 넘어야 한다는 것이 응시자들의 일반적인 이야기다. 보병, 정보, 공병, 통신, 병기, 병참, 수송, 화학, 부관, 헌병, 경리, 정훈, 수의, 의정 등의 병과 중 1지망에서 3지망까지 택해 지원하는데, 그중 인기있는 병과는 헌병, 정훈, 병참 등이다. 1차 선발된 인원 중 체력검정과 면접을 통해 최종적으로 합격자를 가르는데 역시 힘들어하는 것은 체력검정이다.

    “팔굽혀펴기도 그냥 엉성하게 하면 안 된다. 규정된 자세로 해야 하는데, 팔꿈치 더 내려라, 엉덩이 더 올려라, 어깨가 너무 올라왔다는 식으로 얼마나 까다롭게 규정에 맞추려는지 모른다.”

    김경미씨의 말이다.

    사관학교에 지원하는 여학생도 부쩍 늘었다. 올해 275명 생도 중 여성 25명을 뽑은 육사의 경우 남자의 경쟁률은 10.6:1, 여자는 17.2:1이었다. 200명 가운데 20명의 여학생을 뽑은 공사는 남자는 7.5:1인 데 비해 여자는 13.6:1이었다. 해사도 마찬가지. 남학생이 14:1, 여학생이 23.3:1의 치열한 경쟁이었다.

    여군하사관의 경우도 해마다 경쟁률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여군하사관 모집에는 156명 정원에 3000여 명이 몰렸다. IMF 시절 당시 30~40:1에 이르는 경쟁률에 비하면 좀 주춤한 편이지만 여군의 인기는 여전히 높다. 여군하사관의 경우 고등학교 성적으로 1차 합격자를 선발하고 체력검정으로 2차 합격자를 가른 후, 3차로 면접, 인성검사, 학과시험(국어, 영어, 일반 상식) 등을 본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2000여 명의 여성장교와 하사관이 있다. 여군 중 현재 최고계급은 대령으로, 여성 장군이 나올 날도 머지않았다는 전망이다. 과거에 주로 행정업무에서 한정되었던 여군의 역할도 변화하고 있다.

    현재 여군은 17개 병과 가운데 기갑·포병을 제외한 전 병과에 고루 포진해 있다. 국방부는 현재 2.2%인 여성 장교의 비율을 2005년에는 3.5%, 2010년에는 5%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며, 2010년까지 전체 국군 정원 중 여군의 비율을 0.6%로 늘릴 예정이다.

    이렇게 신세대가 군대를 선호하게 된데에는 새로운 병영문화의 영향도 크다. 사회와 차단되어 구타 기합 등의 병폐가 많았던 과거와 달리 자유로운 병영생활과 자기개발이 가능해 굳이 입대를 꺼릴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지난 12월 전역한 박현성(24·광주시 남구)씨는 군대를 갔다온 남자라면 대부분 취득하게 되는 태권도 유단증과 함께 인터넷 정보검색사 1급 자격증을 취득했다.

    국방부가 사병들의 정보화 교육 차원에서 전산관련 자격증 취득을 진급·전역의 필수 조건으로 삼았기 때문. 2001년 상반기까지 전군의 중대급 부대에 PC방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중대에서 스타크래프트 대회를 열어 포상휴가를 보내주기도 하고, 인터넷 화상면회를 실시하는 시대가 되었다.

    요새는 위문편지도 이메일로 보낸다고 한다. 박씨는 “특별히 군기를 해치지 않는다면, 전역 후 자기 진로를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배려해주고 있다. 일과시간이 끝나면 책도 보고, 학과공부도 짬짬이 하면서 보냈다. 오히려 군대에 가서 많은 것을 얻어온 기분이다”라고 변화한 군대의 분위기를 전한다.

    육군 32사단의 경우는 사병 방송반을 만들어 화제가 되었다. 사병들이 카메라를 들고 다니며 부대 식당 위생문제를 지적하고 건의사항, 모범전우 소개 등을 방송하는 것은 과거에는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었다.

    입대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군생활을 소개하는 책들도 눈에 띈다. ‘너희가 군대를 아느냐’(들녘출판사)는 자신의 군생활을 소개한 책으로 스테디셀러 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너희가 군대를 아느냐’가 이야기 중심의 군대 소개 책자라면 ‘군대 제대로 알고 가기’(정보나라)는 각 군의 지원방법, 군생활의 이모저모, ‘예쁨’ 받는 내무반 막내 되는 방법, 군화 광내는 방법과 애인이 고무신을 거꾸로 신지 못하게 하는 방법까지 일러주는 종합 정보 책자다.

    ‘너 군대 가니’(오늘의 문학사) 역시 상세한 입대정보를 다루고 있다. 여군에 대한 정보를 다룬 책으로는 ‘여자가 무슨 군댈 가냐구?’(미래의 창)가 있다. 저자 송현숙은 자신의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태백산맥 송하사’로 불리는 여군 출신 사회인으로 자신의 체험담과 여군 지망생을 위한 실속정보를 담았다. 육군 역사상 최초의 여성 연대장이 되어 화제를 모은 엄옥순 대령의 ‘군대는 여자다’는 군생활의 체험을 담은 시집이다.

    입대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들도 발빠르게 등장하고 있다. 아이군대(http://www.igundae.co.kr)는 군대 간 애인이 백일 휴가를 나오는 날 그 동안 써놓은 이메일을 한꺼번에 개봉하게 되어있는 백일 타임캡슐, 사이버 국립묘지 등의 독특한 메뉴와 함께, 각군의 모병계획, 지원방법 등을 제공하고 있다.

    전우클럽(http://www.ilovejunwoo. co.kr)은 군대유머, 군대생활 문답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파인드 전우(http://www.igundae.co.kr)(http:// findjeonwoo.com)는 우리 부대 최고, 여군파이팅 등의 메뉴를 통해 지원병과별 정보를 교류할 수 있으며, 국방부 홈페이지와 링크하여 각군 모병현황 및 입대예정 날짜를 조회해볼 수 있다. 주로 전역자들의 사회정착을 돕는 다는 취지에서 문을 연 PX21(http://www.px21.co.kr)은 구직, 구인 정보와 편입, 유학, 국가고시, 자격증 시험 정보 등을 다루고 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