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해윤 기자]
“나는 조선 500년간을 통하여 정신적으로 위축되고 가정과 남성에게 예속되어 있는 여성들의 진정한 힘의 소재가 새로운 교육의 힘에 의해서 꽃필 수 있으리라는 신념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나의 학원 설립 계기도 바로 이와 같은 여성 운동에의 신념, 또는 여성들이 지닐 수 있는 구국운동에의 의식 각성을 목표로 해서 굳어진 것입니다.”(1977년 상명학원 40주년을 맞아 계당의 회고 중에서).
1939년 2월 23일 상명고등기예학원은 상명실천여학교라는 이름의 정규학교 인가를 받는다. 상명실천여학교는 일제강점기 조선인의 민족교육을 저지하려는 일본의 온갖 방해 속에서도 당당히 우리 손으로 설립한 정규학교였다. 그해 4월 신입생을 선발하며 계당 선생은 덕성을 계발하는 전인교육과 실천적인 여성교육 지도자 육성을 강조했다.

1 상명학원 설립자 계당 배상명 선생(1968년). 2 상명여자사범대학의 1965년 첫 입학식. 3 1939년 상명실천여학교의 수업 모습. [ 사진제공 · 상명대]
사람의 잠재력과 가치를 존중하는 교육
2017년은 상명학원 설립 80주년이자 상명대학 개교 52주년을 맞이하는 해다. 5월 17일 개교기념일을 앞두고 서울 종로구 홍지문2길에 위치한 상명대학 서울 캠퍼스(흔히 세검정 캠퍼스라고 함)는 활기가 넘쳤다. 상명의 울타리 안에 있는 유치원생부터 대학생, 교직원과 동문들까지 모두가 주인공인 생일잔치니 웬만한 학교에선 엄두도 내지 못하는 큰 잔치다.“5월 16일 개교기념식을 하고 18일에는 상명아트센터 계당홀에서 바리톤 김동규 석좌교수가 총 연출한 80주년 기념 콘서트가 열립니다. 음대 교수와 학생들이 함께 출연해 화음을 보여주면 좋겠다는 소박한 생각에서 마련한 행사인데 참여 열기가 대단합니다. 당장 표가 500장이나 모자란다고 하니 큰일이네요.”
김종희(62) 상명대학 행정대외부총장은 입으론 “큰일 났다”고 하면서도 더할 나위 없이 행복한 표정이다. 상명학원 설립 80주년 준비위원장이기도 한 김 부총장은 올해 열리는 모든 행사를 기획하면서 상명의 역사를 담은 두 권의 책 ‘상명을 말하다’와 ‘상명을 보다’를 펴냈다. 이 책의 편찬사에서 김 부총장은 이렇게 썼다.
“상명 발전의 원동력은 사람의 잠재력과 가치를 존중하는 고유한 상명문화와 상명 공동체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상명의 교육정신은 선생님을 키워내는 사범대학에서 출발한, ‘사람’이 되게 하는 전인교육의 역사를 담고 있습니다.” 설립자의 창학 이념이 80년 동안 흔들림 없이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