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10월호

그레이트 게임

사막과 산맥을 가로지르는 제국의 쟁탈전

  • 이주형 서울대 교수·고고미술사학 jhrhi2000@yahoo.com

    입력2008-10-02 15:0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그레이트 게임

    ‘그레이트 게임’ : 피터 홉커크 지음, 정영목 옮김, 사계절출판사, 691쪽, 2만9500원.

    아프가니스탄의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내가 아프가니스탄에 관한 책을 쓰던 2003년경만 해도 아프가니스탄은 내전의 참상을 딛고 평화에 대한 기대에 부풀어 있었다. 탈레반이 물러가고 새로운 정부 아래 선거가 실시됐으며, 사람들의 일상에는 활기가 되살아나고 막혔던 길에는 다시 왕래가 시작됐다. 그러나 그때부터 여러 해가 지나도록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다. 오히려 많은 이가 이라크보다 오히려 아프가니스탄을 걱정하게 됐다.

    지난 8월에는 아프가니스탄 동부의 사로비에서 탈레반의 매복 공격에 프랑스인 공수부대원 10명이 피살되고 21명이 부상했다. 2001년 미군과 나토군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이래 최악의 손실이었다고 한다. 카불에서 사로비와 잘랄라바드를 거쳐 파키스탄의 페샤와르로 이어지는 도로는 다시 외국인들이 다닐 수 없는 길이 됐다.

    지난 200년간 아프가니스탄의 역사를 기억하는 이들에게 이 길은 특별한 상념으로 다가온다. 1842년 1월 카불을 떠나 페샤와르로 철수하던 영국군 병사와 그 식솔 2만명이, 매복한 아프간인들의 공격을 받고 이 길에서 몰살당한 것이다. 세계 곳곳에서 승승장구하던 대영제국으로서는 믿을 수 없는 수모였고 참변이었다. 이 사건은 19세기 내내 이 산간의 왕국과 주변부를 둘러싸고 유럽의 두 열강이 벌인 각축의 드라마에서 하나의 정점을 이룬 비극이었다.

    영국과 러시아가 벌인 각축전

    이 드라마는 일찍이 19세기 초부터 ‘그레이트 게임(Great Game)’이라고 불렸다. 이 게임의 플레이어는 영국과 러시아였으며, 게임의 대상은 아프가니스탄과 그 북쪽 초원지대에 위치한 히바, 부하라, 메르브 등의 이슬람 왕국들이었다. 피터 홉커크가 1990년에 펴낸 ‘그레이트 게임’은 제목 그대로, 근 100년간 이어진 이 게임의 역사를 그려낸 것이다.



    영국의 논픽션 저술가인 홉커크는 이미 우리말로도 번역된 ‘실크로드의 악마들’(사계절출판사, 2000; 원제 Foreign Devils on the Silk Road, 1980)이라는 책을 통해 잘 알려져 있다. 흔히 서역이라 불리는 현재의 중국령(領) 중앙아시아를 탐험한 서양인 6명의 모험담을 생동감 있게 그린 이 책은 발간 즉시 세계의 독자를 사로잡았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홉커크는 그 이래 ‘그레이트 게임’을 포함해 티베트, 러시아, 터키 등 중앙아시아에 관한 다섯 권의 책을 더 썼다.

    오래전에 ‘실크로드의 악마들’ 영문판을 너무도 재미있게 읽고 바로 홉커크의 팬이 된 나는 나머지 책 가운데 몇 가지도 구해 읽었다. 그 가운데 단연 압권이 ‘그레이트 게임’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크로드의 악마들’에서 다뤄진 고고학적·지리적 탐험은 나름대로 아기자기하고 흥미로운 이야기다. 그러나 스케일이나 박진감에서는 ‘그레이트 게임’에서 다뤄진 제국 간의 각축과 제국을 위해 목숨을 걸었던 ‘전사들’의 모험담을 따라오지 못한다. 홉커크의 글솜씨와 서사 능력도 10년 전보다 훨씬 발전한 듯했다. ‘그레이트 게임’을 읽고 나는 따분한 학술적인 글이 아닌 홉커크 유의 논픽션을 쓰고 싶다는 욕망을 새삼 갖게 됐다. 내가 아프가니스탄에 관한 책을 쓰게 된 배경에는 분명히 홉커크의 ‘그레이트 게임’에서 받은 감명도 부분적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레이트 게임’은 15세기 몽골 세력의 쇠락 후 힘의 공백이 생긴 중앙아시아의 초원지대에 야심을 갖게 된 러시아의 남진정책으로부터 시작한다. 러시아는 초원지대 너머의 영국 식민지 인도에 대해서도 관심을 표했다. 18세기 말~19세기 초 영국은 나폴레옹이 유럽을 압도하고 이집트까지 공략하자 프랑스가 동쪽으로 눈길을 돌려 인도를 침공할 것을 크게 우려했다. 다행히 나폴레옹의 제국은 곧 붕괴됐으나, 이제 유럽에서 무시 못할 세력으로 등장한 러시아에 대해 극도의 경계심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1813년 굴리스탄 조약을 통해 러시아가 페르시아를 압박하자 영국은 인도를 지키기 위한 외교전과 정보전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영국은 인도의 서북쪽에 있는 아프가니스탄과 중앙아시아 초원지대의 이슬람 왕국들을 러시아보다 한발 앞서 자국의 영향권 아래 두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인도의 영국 식민지 정부는 군 장교들을 때로는 사절로, 때로는 위장한 스파이로 파견했다. 러시아도 이에 맞서 장교들을 남하시켜 이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 이로부터 100년을 이어온 그레이트 게임이 비로소 시작된 것이다.

    낭만적 상념으로 이끄는 모험담

    홉커크는 이 거대한 드라마를 사건 위주의 일반적인 역사처럼 쓰지 않는다. 그의 관심은 ‘실크로드의 악마들’에서처럼 사람들, 즉 이 게임의 등장인물들에 모아진다. 제국의 눈에 이들은 게임판 위의 작은 말들에 불과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들은 제국에 대한 충성심과 임무 수행에 대한 사명감 이상으로 미지의 세계에 대한 모험심에 불타고 험난한 여정에 따르는 신체적 고통을 견뎌낼 수 있는 강인함을 갖추고 있었다. 헬리콥터나 비행기와 같은 손쉬운 교통수단도 없고 항공사진이나 위성사진도 없던 시대, 오로지 걸어서 산을 넘고 기껏해야 낙타나 말을 타고 사막을 건너야 미지의 세계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그곳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던 시대에 이들이 펼친 모험담은 우리를 낭만적인 상념으로 이끈다. 이슬람 수행자로 위장하고 거짓 기도를 외우며 발루치스탄의 사막을 건넌 헨리 포팅어,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이 속한 임무를 ‘그레이트 게임’이라고 명명했으나 부하라에서 참수되어 그 게임의 희생자가 된 아서 코널리, 특출한 명민함으로 부하라, 카불 등지에서 뛰어난 외교력을 발휘했으나 카불에서 ‘폭도’들의 손에 비참하게 목숨을 잃은 알렉산더 번스 등은 우리를 매료시킨다.

    홉커크는 이런 매력적인 모험가들에 초점을 맞추면서 그들의 행적을 따라 그레이트 게임의 전개상을 기술해 나간다. 그는 이야기를 (1) 게임의 시작 (2) 불붙는 그레이트 게임 (3) 클라이맥스의 3부로 구성했다. 이야기는 그레이트 게임의 중심에 있던 아프가니스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2부까지가 전반전이라면(홉커크는 스스로 2부의 말미에 ‘하프타임’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다), 전반전의 절정은 바로 2만명이 숨지는 참극을 낳은 제1차 아프간-영국 전쟁, 더 정확히 말하면 영국의 제1차 아프간 침공(1838~1842)이다. 물론 갈등의 발단은 아프가니스탄이 러시아와 내통하고 있다는 영국의 의심이었다. 후반전에 들어서면서 러시아는 남진정책을 본격화하여 히바와 부하라 등을 차례로 손에 넣었다. 러시아에 대한 영국의 경계심은 최고조에 달하여, 영국은 1879년에 다시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으나 이 사건 역시 비극으로 끝나고 말았다. 러시아와 영국령 인도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 만큼 그레이트 게임은 직접적인 충돌로 향하고 있었다. 그러나 1905년 러시아가 일본과의 전쟁에서 패하면서 러시아는 더 이상 이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될 수 없었다. 결국 1907년에 영국과 러시아는 협약을 맺고 아프가니스탄과 페르시아에 대한 서로간의 이해관계를 정리하고 게임을 마무리했다.

    역사는 반복되는가

    ‘그레이트 게임’에서 이 100년간의 사건들은 철저하게 영국인의 관점에서 그려져 있다. 러시아가 간간이 언급되기는 하나 이것은 영국의 맞수로서일 뿐이다. 카불이나 메르브, 부하라, 히바 등의 이슬람 왕국은 이 게임판에서 결코 주체적인 플레이어가 되지 못한다. 이것은 물론 저자인 홉커크가 영국인이기 때문이고 또 그 울타리를 굳이 넘어서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디까지나 영국인, 혹은 영미권 독자를 대상으로 씌어진 책이라는 한계는 명백하다. 기실 인도를 비롯한 영국 식민지에 관한, 영미권 저자들의 많은 책이 영국사의 일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홉커크의 책을 읽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스스로를 영국인 모험가, 정책가들과 동일시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우리는 이 점을 분명히 경계하면서 이 책을 읽어야 한다.

    그러나 이 점을 충분히 인지한다면, 이 책은 19세기 아프가니스탄과 그 주변의 중앙아시아에서 펼쳐졌던 일련의 사건들을 생생하게 전달해주는 좋은 읽을거리다. 소련 공산정권의 마지막 대통령이었으며 1996년 탈레반이 카불을 점령할 때 참혹하게 처형된 나지불라는 스스로 이 책을 현지어인 파슈토어로 번역하고자 했다고 한다. 홉커크가 들려준, 19세기에 자신들을 둘러싸고 펼쳐졌던 역사가 20세기 말의 아프간인들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너무도 크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19세기 내내 이어진 그레이트 게임은 20세기 초에 종료됐지만, 러시아에 소비에트 정권이 들어서면서 게임은 새로운 양상으로 다시 시작됐다. 머지않아 남쪽의 플레이어로는 영국 대신 미국이 자리 잡았다. 오랫동안 공을 들인 소련은 점차 아프가니스탄을 자신들의 확실한 영향권 아래 두게 됐고, 1978년에는 공산화에 성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마치 제1차 아프간 침공 때 영국이 겪었듯이 소련은 이때부터 10년간 아프가니스탄에서 비극의 플레이어가 되어야만 했다. 그로부터 10여 년 뒤 이제는 미국을 비롯한 구미의 플레이어들이 아프가니스탄에서 게임을 펼치고 있다.

    19세기에 벌어진 그레이트 게임을 읽으면 정말 역사는 반복되는가 하는 불안함을 떨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아니 인간이 펼치는 게임은 어쩌면 그리도 똑같을까 하는 자괴감일지도 모른다. 결코 그 게임의 주체적인 플레이어가 될 수 없었던 나지불라의 허탈함과 회한은 더욱 컸을 것이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