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월호

새 연재 | 손바닥 경제

“고객님은 컴맹이니 대출금리 올립니다”

‘금융 신세계’ 인터넷은행

  • 이진우 | 이데일리 기자, MBC 라디오 ‘손에 잡히는 경제’ 진행자

    입력2016-01-14 11:25: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카카오은행, 케이뱅크의 고민…‘점포·직원 없이 잘될까?’
    • 인터넷 빅데이터 분석 가능…‘성실한 대출자’ 모시기 경쟁
    • 컴맹 세대, 저신용자에겐 ‘고금리 폭탄’ 부작용 우려
    • 전문가들 “사이즈 키워 중금리 대출 시장 노려라”
    2016년 말쯤이면 한국에도 최초의 인터넷 은행이 영업을 시작한다. 정부로부터 예비인가를 받은 카카오은행과 케이뱅크 두 곳이다. 간판도, 점포도 없이 오로지 웹사이트만 있는 은행이다.
    여기서 드는 의문점 하나. 지금도 우리는 굳이 은행 점포를 찾지 않아도 인터넷에서 거의 모든 업무를 볼 수 있지 않나. 인터넷 은행은 처음 생기는 건지 몰라도 ‘인터넷 뱅킹’은 이미 하고 있지 않나. 인터넷 뱅킹과 인터넷 은행은 뭐가 다른가.
    사실 이 질문은 인터넷 은행 사업을 준비하는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에는 더없이 중요한, 그야말로 생존이 걸린 질문이다. 인터넷 은행은 보통 은행과 뭐가 달라야 하는가, 그리고 뭐가 다를 수 있는가. 이는 인터넷 은행들이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바인 데, 이들 역시 명확한 답은 아직 찾지 못했다.



    중금리 대출 ‘틈새시장’

    인터넷 은행은 말 그대로 인터넷에서만 존재하는 은행이다. 점포가 없다. 그래서 점포 임차료와 그 점포에 들어가는 인력과 시설의 유지비용을 아낄 수 있다. 200조 원가량의 예금을 받아서 200조 원가량의 대출을 굴리는 KB국민은행의 경우 매년 직원 급여로 약 2조 원을 쓴다. 점포 임차비용은 2500억 원 수준이다. KB국민은행이 그런 점포 비용과 점포 유지를 위한 인건비를 지출하지 않아도 된다면 단순 계산으로 연간 1%포인트의 예대마진을 덜 챙겨도 된다는 뜻이다.
    그러니 순수하게 인터넷으로만 운영되는 은행이 생겨서 어느 정도 고객 규모를 갖추면 현재의 보통 은행들보다 이자를 1%포인트쯤 더 주거나 대출이자를 1%포인트쯤 덜 받을 여지가 생긴다는 얘기다. 아니면 예금금리를 0.5%포인트쯤 더 주고 대출금리를 0.5%포인트 더 깎아줄 수도 있다. 여기서 생각해보자. 만약 그렇다면 사람들은 불편을 감수하고라도 인터넷 은행에 예금하고 인터넷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것인가. 이게 인터넷 은행들이 품고 있는 고민의 핵심이다.
    인터넷 은행은 아무래도 불편할 것이다. 점포가 없으니 직원도 없고, 직원이 없으니 고객이 모든 정보를 직접 찾고 직접 입력해야 한다. 반찬이나 물을 직접 갖다 먹어야 하는 셀프 서비스 식당을 생각하면 된다. 음식값은 싸지만 종업원이 없으니 불편할 수 있다. 고객들이 그런 불편함을 감수하고 0.5%포인트 이자를 더 받거나 덜 내려고 인터넷 은행으로 올지는 확신할 수 없다.  
    그래서 인터넷 은행들은 기존 은행들의 손이 닿지 않는 틈새시장을 노린다. 이른바 중금리 대출 시장이 대표적이다. 은행권의 평균 신용대출 금리는 4.5% 수준이다. 그러나 누구나 이 정도 금리에 신용대출을 받지는 못한다. 신용등급이 적어도 4등급은 돼야 한다. 5~7등급인 대출 소비자는 30% 안팎의 고금리를 물어야 돈을 빌릴 수 있다(8등급 이하는 아예 대출이 안 된다).
    연 4.5%에 돈을 빌리기는 어렵더라도 30%에 가까운 금리를 내야 할 이유는 없지 않을까. 왜 10% 안팎 수준의 대출금리로 돈을 빌려주는 곳은 없을까.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하지만, 현재의 금융시장 구조에서는 이 문제를 풀기 어렵다.
    신용등급 5등급에서 7등급 사이에 있는 소비자는 우리나라 전체 소비자의 32%가량인 1400만 명으로 추산되는데, 5등급과 7등급은 사실상 동일한 신용도로 취급받는다. 5~6등급에서 7~8등급으로 떨어지는 비율이 계속 높아지기 때문이다. 물론 5등급 가운데는 7등급보다 신용도나 재정 상황이 훨씬 좋은 경우도 있지만 그걸 정교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그러니 5등급이라고 7등급보다 파격적으로 낮은 금리에 대출해주기는 어려운 것이다.
    중금리 대출시장이 형성되지 못한 더 큰 이유는 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금융기관들의 규모가 영세한 데 있다. 대부업체든 저축은행이든 고만고만한 작은 금융회사는 대규모 마케팅이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대출고객을 끌어모으기 쉽지 않다. 그러니 전단지나 무작위 전화 영업을 통해 손님을 모아오는 대출 중개업체에 수수료를 줘야 할 뿐 아니라 대출 절차가 전산화, 기계화되지 못해 인건비 부담도 크다.
    예를 들어 1억 원을 대출받아가는 고객이나 300만 원을 대출받으러 온 고객이나 은행 직원이 고객을 응대하고 대출서류를 작성하는 시간과 비용은 비슷하다. 1억 원을 대출받아가는 고객에게 그런 수수료로 50만 원을 받는다면 그 고객은 대출금액의 0.5%를 지출하는 셈이지만, 300만 원을 대출받아가는 고객으로부터 50만 원의 비용을 뽑아내려면 대출금액의 17%를 그런 비용으로 받아야 한다. 그러니 10%대의 중금리 대출은 언감생심이다.


    이 은행의 1년 정기예금 이자는 0.17%다. 일부 VIP고객에게는 연 0.32%의 이자를 준다. 일본의 여느 시중은행이 연 0.025%의 정기예금 이자를 주는 것과 비교하면 파격적인 수준이다. 이 은행은 이렇게 모은 고객들에게 주식, 채권, 펀드 등을 판매한다. 다이와넥스트뱅크 지분 100%를 소유한 모회사가 다이와증권이기에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이다.
    다이와넥스트뱅크가 증권사와 아무런 지분관계가 없는 독립 인터넷 은행이라면 고객에게 주식이나 채권 등을 판매하고 약간의 판매수수료 정도를 받는 데 그쳤을 것이다. 그러나 다이와증권이라는 모회사가 계열사인 인터넷 은행에 판매 마진을 충분히 제공하거나, 반대로 판매 마진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이와증권에서 일정한 수익을 거둘 수 있어 어느 쪽이든 가능한 수익 모델이 된다.
    SBI넷뱅크라는 또 다른 일본 인터넷 은행도 비슷한 수익 모델을 갖고 있다. 고객을 높은 금리로 유인해서 계열사 SBI증권의 온라인 주식거래 시스템을 사용하게 만든다. 이 온라인 거래 시스템을 사용하면 주식을 매각하고 난 자금이 자동으로 SBI넷뱅크가 제공하는 고금리 예금통장에 입금된다. 고객에게는 그저 ‘사소한 편리함’일 뿐이지만 어차피 증권거래 시스템이 비슷비슷하므로 고객들은 ‘SBI넷뱅크+SBI증권’을 선택할 요인이 충분하다. 이 덕분에 SBI넷뱅크의 예금 잔고는 2009년 1조 엔에서 현재 4조 엔대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인터넷 모르면 ‘낭패’

    소비자 처지에서 보면 이런 인터넷 은행들이 생기는 게 대체로는 좋은 일이다. 기존 은행의 손길이 미처 닿지 않아 불편을 느끼던 분야에서 새로운 대출 상품이 쏟아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작용도 따른다.
    우선 인터넷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나 신용등급이 낮은 계층이 피해자가 될 수 있다. 인터넷 은행은 모든 것이 셀프 서비스다. 은행 창구에 가서 은행 직원에게 신분증만 내밀면 예금이건 대출이건 알아서 해주는 시스템이 아니라 본인이 직접 애플리케이션을 깔고 본인 인증을 받아야 한다.
    그렇다면 인터넷에 익숙하지 않은 계층은 그냥 종전처럼 은행 창구를 찾아가면 되지 않을까. 그렇지 않다.  창구에서 직원들이 웃으면서 맞아주긴 하겠지만 예금금리는 더 낮아지고 대출금리는 더 높아지기 때문이다.
    지금은 많은 은행이 소비자들이 월급통장에 그냥 넣어둔 돈에서 나오는 이자로 먹고사는 구조다. 은행은 예금을 받아서 그 돈으로 대출해주는데, 예금의 40%가 연간 0.1%의 금리만 받고 그냥 통장에 넣어둔 돈이다.
    그러나 인터넷 은행이 출범하고 광고 마케팅을 시작하면 이런 ‘눈먼 돈’이 예금이자를 더 높게 쳐주는 인터넷 은행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 기존 은행들의 수익성은 감소할 것이고, 그런 손실은 기존 고객들에게서 더 많은 마진을 뽑아내는 방식으로 메울 것이 분명하다. 인터넷에 익숙한 세대는 기존 은행들의 그런 방식에 인터넷 은행으로 옮겨가는 것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인터넷에 익숙지 않은 계층은 그 피해를 고스란히 입을 수밖에 없다.
    실제로 은행들은 자신들이 조달하는 예금의 평균 금리를 대출금리의 기준으로 삼아 반영하는데 전체 예금의 40%에 이르는 눈먼 돈(은행에서는 이런 돈을 저원가성 예금이라고 한다)이 빠져나가면 조달금리가 더 높아지고 그에 따라 대출금리도 따라 오르게 된다.
    은행 창구에서는 “어르신, 이번 달부터 코픽스 금리가 올라서 어르신 대출금리도 더 오르게 됐습니다”라고 설명하겠지만, 그 말을 아주 정직하게 번역하면 “젊은이들이 인터넷 은행으로 떠나는 바람에 저희는 어르신에게 대출금리를 더 높게 매겨야 월급이라도 받아갈 수 있을 것 같으니 어르신께서 손해를 좀 보시더라도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어차피 어르신은 인터넷을 모르시잖아요”라는 뜻이다.



    저신용자는 ‘벼랑’으로

    신용등급이 낮은 계층의 사람들은 더 큰 피해를 본다. 앞에서 사례로 든 텐센트의 트럭기사 소개 서비스 훠처방의 예를 다시 가져와보자. 종전에는 모든 화물차 기사가 30%의 대출금리로 돈을 빌려야 했다면, 훠처방의 등장으로 그 가운데 신용도가 높은 기사들은 약 15%의 금리로도 텐센트로부터 돈을 빌릴 수 있게 됐다.
    그러나 문제는 훠처방에서 신용도가 낮은 것으로 분류된 기사들이다. 이는 아마 40% 넘는 고금리로 돈을 빌려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종전 금융회사들은 대출을 잘 갚는 기사들에게서 30%대의 고금리를 받아 거기서 남는 돈으로 가끔 대출금을 떼어먹는 저신용 트럭기사들에게도 30%대의 금리로 돈을 빌려줄 수 있었다. 그런데 대출을 잘 갚을 만한 넉넉한 기사들이 텐센트의 저금리 대출로 몰려가고 나면 남아 있는 저신용 기사들에게는 훨씬 높은 금리를 적용해야 대출이 가능해진다.
    우리도 인터넷 은행이 출범하면 인터넷 공간에서 벌이는 다양한 활동을 인터넷 은행들이 면밀히 관찰하고 그 결과 돈을 빌려줘도 되겠다고 판단되는 고객에게는 종전보다 더 낮은 금리로 대출을 해줄 것이다. 그렇게 되면 그동안 그런 ‘괜찮은 고객’과 손을 잡고 함께 대부업체를 찾아가서 돈을 빌리던, 인터넷에 익숙하지 않은 저신용자들은 대부업체에서 이런 반응을 접하게 될 것이다.
    “손님, 저희가 보기엔 지난번에 같이 오신 그 젊은 분께는 연 20%, 손님께는 연 40%의 금리를 적용해야 하지만 두 분이 같이 손을 잡고 오셔서 두 분 모두에게 그냥 30%의 금리로 돈을 빌려드린 겁니다. 이제는 혼자 오셨으니 40%의 이자를 부담하셔야 되는데 그건 이자제한법에 위배되는 금리입니다. 따라서 저희는 대출을 해드릴 수 없습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