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1월호

특별한 순간을 더욱 빛나게 하는 예복

  • 남훈│‘란스미어’ 브랜드매니저 alann@naver.com│

    입력2009-11-05 16:1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특별한 순간을 더욱 빛나게 하는 예복
    한국에서 예복은 명절과 같다. 1년에 두 번 정도 느리게 돌아오는 연례행사처럼, 일상에서는 줄곧 잊고 있다가 가끔 급하게 준비해야 하는 시점이 돌아오기 때문이다. 예복이란 본래 우리 인생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 날을 기념하고 사람들이 모여 함께 즐기기 위해 필요한 드레스 코드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선 오로지 결혼식에서 그것도 신랑이나 신부 같은 주인공만 입는 옷차림으로 좁혀서 이해된다. 결혼을 앞두고 신랑이 구비하는 설빔과도 같은 슈트 한 벌, 그리고 결혼식 당일에 입는 턱시도(Tuxedo)나 연미복(Swallow Tailed Coat)을 예복이라고 통칭하는 것이다.

    보는 사람조차 조마조마할 만큼 급하게 속사포처럼 진행되는 한국의 결혼식 풍경처럼 예복을 고르는 일도 순식간에 처리된다. 인생의 새 출발을 하는 남성을 위해 신중하게 마련된 슈트는 얼마나 큰 의미를 가지며, 일생에 흔하지 않을 결혼식에서 신랑의 몸을 감싼 예복의 상징은 얼마나 오래도록 사람들에게 기억되겠는가. 그런데도 남자를 위한 예복은 언제나 신부의 웨딩드레스보다 열 배쯤 가볍게 다루어진다. 결혼을 앞두고 장만하는 슈트나 턱시도가 신랑의 몸과 마음에 모두 어울리도록 배려하기는커녕, 평소 유니폼처럼 입던 슈트보다 좀 더 비싼 가격표가 붙었거나 혹은 언젠가 한번 꼭 사고 싶던 브랜드에 지갑을 열어버린다. 게다가 결혼식 시간은 상관하지 않고, 그저 주위에서 권하는 대로 턱시도를 빌려 입는 간편함을 택한다.(턱시도는 저녁에만 입는 이브닝 웨어다!)

    특별한 순간을 더욱 빛나게 하는 예복

    예복은 상대를 향한 예의이며, 자신의 문화적 수준을 드러내는 상징이기도 하다.

    사실 그렇게 슈트를 구비하고 턱시도를 빌린다고 해도 결혼식에 문제가 생기는 건 아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간 오피니언 리더들의 옷차림을 그 사회의 현재 수준을 보여주는 문화라고 생각하고, 옷의 사회성을 감안하면서 철학적으로 접근해왔다. 문화적으로 보면 결혼식은 신랑과 신부만을 위한 혼인 서약의 자리가 아니다. 새로운 가족의 탄생을 아낌없이 축하해주는 공식적인 행사인 동시에, 가족과 친지와 친구들까지 광범위하게 모이는 축제이고, 따라서 그 성격에 맞는 옷차림과 음식과 친교가 등장한다. 이처럼 가족과 친구를 통해서 함께 나누어지고 전승되는 기억은 젊은 날의 발랄함을 넘어, 인생의 마지막까지 잊히지 않는 충실함과 깊은 추억을 담게 될 것이다.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아들에게 아버지가 사다주는 옥스퍼드 구두는 얼마나 큰 가치를 지닐 것이며, 할아버지가 아끼던 낡은 턱시도를 물려받은 새신랑의 삶은 얼마나 아름다워질 것인가. 그것이 클래식 문화의 본질이고 시대를 통해서 더욱 깊이가 생기는 사회의 특성이다.

    바쁘게 돌아가는 점심시간의 식당처럼 급하게 치러지는 결혼식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마찬가지 이유로 대강 마련된 예복을 대충 입고 결혼식을 치르는 신랑의 모습도 이젠 변해야 한다. 그래서 이 멋진 가을에, 비단 신랑과 신부뿐 아니라, 그들을 둘러싼 우리 모두의 삶의 클라이맥스가 되는 결혼식과 파티에 적합한 옷차림에 대해 얘기하는 것이다.

    오직 한순간, 단 한 사람만을 위한 옷



    시간의 흐름에 상관없이 오래도록 유지되는 것만으로도 높은 명성을 획득하는 가치가 있다. 이를테면 삶의 전 영역에서 디지털 기술이 상용화되는 시대지만 여전히 아날로그 방식의 클래식 시계가 많은 사람에게 필생의 소원으로 여겨지고 높은 가격에 판매되는 것이 그렇다. 결혼예물용 시계를 고를 때도 과거에는 당시의 유행이나 브랜드 네임을 우선적으로 고려했지만, 최근에는 장인정신으로 만든 오토매틱 방식의 가죽 스트랩 시계를 선호하는 추세다. 한 번뿐인 결혼을 위한 것인 만큼 좀 더 특별한 방식으로 만들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마찬가지로 소중한 결혼식을 앞두고 신랑을 위해 마련하는 슈트라면 대중을 위한 기성복보다는 오직 나만을 위해 재단되고 만들어진 맞춤복이 더욱 적합하지 않을까. 물론 기성복은 편리하고 실용적인 옷이다. 표준적인 몸 사이즈라면 기다리는 시간이 짧은 기성복이 일상생활의 여러 경우에 적합하다. 하지만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에 입어야 하는 옷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대부분의 라이프스타일에 두루 맞춘 기성복을 그간 충분히 경험했다면, 특별한 행사인 결혼식 때는 정말 좋은 품질을 가진 맞춤복을 입는 것이 그 의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결혼이란 한 사람에 대한 영원한 사랑의 맹세를 포함하고 있다. 그토록 소중한 서약을 하는 자리에 흔하게 구할 수 없는 맞춤복을 입는 것이다. 맞춤복이야말로 오직 한 사람만을 위해 만들어지는 귀한 옷이며, 나 아닌 다른 누구에게도 어울리지 않는 한정품(Limited Edition)이기 때문이다. 맞춤복을 고를 때는 가격표와 브랜드 레이블 외에도 살 펴볼 것이 많다. 오래도록 결혼의 기억을 담은 채 친구처럼 성숙해갈 훌륭한 소재와 핸드메이드로 꼼꼼하게 바느질한 재단의 흔적을 찾아야 한다. 품질 좋은 맞춤복은 거의 세일을 하지 않는다. 인생의 친구와도 같은 좋은 슈트에는 제값을 치러야 하는 것이니까.

    존경과 감사를 표현하는 방식

    글로벌 비즈니스맨이라면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약속이자 문화의 일부인 드레스 코드로서의 예복에 대해서도 알아둬야 한다. 많은 기업이 나름의 복장 규정을 갖고 있다. 어떤 기업은 슈트를 중심으로 하는 정장을 선호하고, 또 어떤 기업은 비즈니스 캐주얼이라는 유연한 유럽식 콘셉트를 선택하며, 이런 가이드라인 없이 아예 자율복장을 허용하는 기업도 있다. 이는 최고 경영자가 어떤 옷을 선호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그 기업이 수행하는 비즈니스에 가장 적절한 드레스 코드가 무엇이냐에 따라 결정된다. 이것이 바로 드레스 코드다.

    드레스 코드는 따지고 보면 어려운 게 아니다. 결혼식에 초대받은 손님이 무조건 슈트를 입어야 하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자유분방한 청바지를 입고 가지는 않는 법이다. 가벼운 조깅을 하러 가는 길에 섬세한 캐시미어 스웨터를 입지 않으며, 자율 복장이 보편적인 기업이라면 굳이 더블 브레스티드 슈트를 독야청청하게 입을 까닭이 없다. 이처럼 드레스 코드란 하고 싶지 않은 규정을 억지로 지키는 게 아니라, 마땅히 그렇게 함으로써 서로가 편해지는 자연스러움에 기반을 둔 것이다.

    따라서 비즈니스 캐주얼이라고 옷차림에 유연성을 부여한 회사에서는 슈트와 재킷 차림을 비즈니스 파트너나 상황에 맞게 스스로 선택하면 된다. 공식적인 자리에 슈트나 재킷과 같은 정장을 입어서 예의를 표현하는 건 살아가면서 고마운 사람에 대한 감사 인사만큼이나 긴요한 일이므로, 우리는 서양식 파티에 필요한 드레스 코드를 익히는 것이다.

    특별한 순간을 더욱 빛나게 하는 예복

    턱시도는 블랙과 화이트의 심플한 조합으로 세련된 매력을 완성한다.

    예복을 입는 서양식 파티의 드레스 코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화이트 타이(White Tie)와 블랙 타이(Black Tie)가 그것이다. ‘화이트 타이’는 연미복이라고 하는 최고 수준의 예복을 입어야 한다는 드레스 코드로 결혼식, 외교관들과의 저녁 파티, 무도회, 오페라 공연 등 포멀한 행사를 위한 격식 있는 차림이다. ‘블랙 타이’는 턱시도를 입으라는 드레스 코드다. 연미복은 상의 앞부분이 허리선까지 내려오는 데 반해 뒷부분은 무릎 뒤까지 길게 내려오는 남성용 야회(夜會) 예복으로, 그 모양이 제비꼬리를 연상시킨다 하여 이런 이름으로 불린다. 턱시도는 연미복 같은 꼬리가 없는 현대적인 예복의 대명사다. 파티 초청장에 ‘블랙 타이만 가능’이라고 명시돼 있다면 가능하면 턱시도를 입는 것이 좋다. ‘블랙 타이 선택 가능’인 행사에 갈 때는 턱시도를 입어도 괜찮고, 블랙이나 네이비 혹은 차콜그레이 색상의 슈트가 멋진 옵션이 된다.

    턱시도는 그것을 입도록 요청받은 장소에서 말이 아닌 행동으로 호스트와 청중에게 표현하는 정중한 예절이다. 어떤 의미를 갖고 입는 예복이란 상대를 향한 예의범절의 문제이고, 자신의 문화적 수준을 드러내는 상징과도 같다. 격식을 차리기 위해서 갖춰 입는 옷이지만, 본질적으로는 즐거운 분위기를 더욱 고취시키기 위한 역할도 한다. 예복은 많은 사람이 모이는 행사에 신비한 매력을 더하며, 우리로 하여금 좀 더 우아한 중세시대로 돌아간 듯한 기분이 들게 한다. 거의 모든 남성의 옷차림은 유럽(특히 영국)에서 기원했으며 일상적인 정장이나 예복, 심지어는 캐주얼을 입는 방식도 그들의 관습과 라이프스타일에서 기인한다. 하지만 현대적인 예복을 대표하는 턱시도의 명칭만은 유럽이 아닌 미국 뉴욕의 턱시도 파크에서 유래했다.

    특별한 순간을 더욱 빛나게 하는 예복

    맞춤복은 오직 한 사람만을 위해 만들어지는 귀한 옷이며 다른 사람은 구할 수 없는 한정품이다. 중요한 행사를 위해 마련하는 맞춤 예복은 소중한 순간을 평생 기억하게 하는 상징이 된다.

    1890년대, 담배 비즈니스로 거부(巨富)가 된 미국 로릴라드 가문의 자손들은 스포츠와 사교를 위해 영국식 별장 같은 턱시도 파크를 만들었다. 로릴라드 가문의 후손 중 영국을 특별하게 사랑했던 그리스월드 로릴라드(Griswold Lorillard)는 이곳에서 기존의 예복인 연미복을 입지 않은 채 일상적인 슈트처럼 간편하고 실용적인 예복을 입고 파티를 즐겼다고 한다.

    기존에도 영국에는 엄격한 연미복과 조금 자유로운 방식의 예복이 공존했지만, 그리스월드의 시도는 그동안 전통 이브닝 웨어만을 고수하던 미국의 스타일을 완전히 뒤흔들어놓았다. 유럽과 미국 상류층의 전유물이자 소수만의 표식과도 같았던 연미복은 시간이 흐르면서 예복의 엄격함을 조금 완화한 디너재킷(dinner jacket·약식 야회복 상의) 형태로 변화했고, 이 옷은 ‘턱시도’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예복의 새로운 기준이 됐다.

    베이식하고 심플하게

    턱시도가 강한 인상을 남기는 것은 블랙과 화이트가 심플한 조합을 이루기 때문이다. 턱시도 상의의 색상은 블랙과 (아이보리에 가까운) 화이트 두 가지이지만, 그 안에 입는 셔츠는 언제나 백설공주의 피부색 같은 순백색이다. 보타이와 구두는 갓 추출한 에스프레소처럼 짙은 블랙을 매치하게 된다. 이처럼 턱시도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가 블랙과 화이트 컬러만으로 완성되므로 예복에 익숙한 사람이 아니라면 별도의 장식이나 컬러는 생각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가끔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블루나 핑크, 퍼플 등의 기발한 컬러를 가진 턱시도도 있는데, 밤무대의 엔터테인먼트용으로 쓸 요량이 아니라면 파티를 위해서나 결혼식을 위해서나 모두 권하지는 않겠다. 물론 남성복 역사상 대단히 유명한 패셔니스타인 영국의 윈저공은 블랙 턱시도 대신에 아주 짙은 네이비 컬러의 턱시도를 입어 선택의 폭을 넓힌 바가 있다. 또 페이즐리 같은 패턴이 있는 디너 재킷도 있고, 여름에는 아이보리 컬러 상의에 블랙 바지를 매치할 수도 있다. 하지만 언제나 빛을 발하는 예복은 베이식하고 심플한 블랙 앤 화이트 스타일이다.

    턱시도가 슈트와 확연하게 구별되는 부분은 라펠(Lapel·깃). 턱시도용 라펠은 가장자리가 둥근 숄 라펠(Shawl Lapel)과 하늘을 향해 솟아있는 피크드 라펠(Peaked Lapel) 두 가지다. 턱시도 역시 슈트처럼 울 소재를 기본으로 만들지만, 상의의 라펠과 바지 옆 부분에는 실크나 새틴을 덧댄다. 예복의 가치를 상징하는 디테일이다. 턱시도용 바지는 슈트처럼 턴업(Turn-up·바짓단)을 하지 않는다. 상의 디자인은 슈트처럼 싱글 혹은 더블 브레스티드로 구분되는데, 두 가지 중 더블이 좀 더 엄격해 보인다.

    턱시도는 애초에 연미복의 무거움을 다소나마 완화시키면서 등장했기 때문에 좀 더 유연하게 입을 수 있다. 예복을 입을 때 셔츠는 앞쪽이 빳빳하거나 주름진 윙칼라(Wing Collar·깃이 짧고 하늘을 향해 높이 솟은 셔츠)를 입는 게 원칙이지만, 턱시도는 포멀한 느낌이 있는 와이드 스프레드 칼라의 화이트 드레스셔츠와도 무리 없이 조화를 이룬다.

    슈즈 선택 역시 자유롭다. 전통적인 예복 슈즈는 무광택으로 마무리한 실크 리본이 달린 블랙 에나멜 재질의 오페라 펌프스(끈이나 쇠 장식이 없는 예복용 구두)이지만, 이 구두가 좀 과하다고 생각한다면 쇠가죽으로 된 블랙 컬러의 옥스퍼드 슈즈나 블랙 에나멜 구두를 신어도 무방하겠다.

    갖출수록 더 빛나는 스타일

    그러나 예복을 대하는 자세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제대로 갖추면 갖출수록 더욱 빛이 난다는 사실이다. 턱시도를 입는 방식을 어느 정도 알아두면 중요한 자리에서 실수할 염려도 없고, 해외 비즈니스 파트너에게라면 확실한 인상을 남길 수도 있다. 첫째, 턱시도에는 대부분 블랙 보타이(Bow Tie·나비 넥타이)를 맨다. 물론 다른 컬러나 패턴의 보타이를 착용해도 문제는 없다. 다만 반드시 직접 매는 방식의 셀프 타이를 택하고, 미리 매어져 있는 클립온(Clip-on) 방식은 피해야 한다. 그런 보타이는 만화영화 속 펭귄이 주로 하는 것이다.

    둘째, 턱시도에는 벨트를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바지에도 벨트를 끼우는 고리가 아예 없는 것이 정상이다. 대신에 커머번드(Cummerbund)라고 하는 일종의 밴드를 허리에 두르게 된다.

    셋째, 제대로 만든 턱시도라면 상의의 왼쪽 라펠에 구멍이 하나 있을 것이다. 이곳을 플라워홀(Flower Hole)이라고 하고, 그곳에 꽂는 꽃을 부토니에(Boutonniere)라고 부른다. 남자 옷은 과학적인 제작 공정과 인체 비율을 기준으로 철학적으로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에 무엇 하나 허투루 존재하는 것이 없다. 소매의 버튼이 장식이 아니라 실제로 열리는 리얼버튼홀(Real Button Hole)이어야 하는 것처럼, 플라워홀에는 플라워가 필요한 법이다. 슈트나 턱시도의 상의 가슴주머니는 비워두지 않고 개성적인 포컷스퀘어를 꽂아두어야 한다.

    넷째, 결혼식을 위해 턱시도를 입을 때는 먼저 시간을 체크해야 한다. 턱시도는 저녁에 입는 옷, 즉 이브닝 웨어(Evening Wear)이므로 낮에 하는 결혼식에는 입지 않는다. 낮에 결혼식을 한다면 신랑은 좋은 슈트에 보타이를 하면 된다.

    다섯째, 턱시도를 입을 때는 그에 맞는 서양식 에티켓까지 지켜야 한다. 즉, 서양식 행사에서는 턱시도 상의를 벗지 않는다는 것. 상의를 벗는 것은 격식을 갖춘 자리의 분위기를 망치는 행동이므로 턱시도 상의는 잠자리에 들 때나 벗어야 한다. 그리고 싱글 턱시도라면 굳이 버튼을 잠글 필요가 없다.

    마지막으로 턱시도에 대해 너무 큰 부담을 가질 필요는 없다. 예복을 이해하면 정장에 대한 관점이 획기적으로 업그레이드되긴 하지만, 옷보다 중요한 건 언제나 사람들이 살아가는 풍경이니까.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