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월호

조화와 절도를 나타내는 사직악기 편종, 편경

  • 사진·박해윤 기자 글·한경심 한국문화평론가

    입력2014-04-23 15:0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편종과 편경은 예부터 ‘사직악기’라 불릴 만큼 종묘제례악에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악기다. 종과 옥돌을 나란히 매단 편종과 편경은 타악기면서도 음률(멜로디)이 있어서 크기는 같으나 두께에 따라 음의 높낮이가 달라진다. 일제강점기에 제작법 맥이 끊긴 두 악기를 ‘악학궤범’에 맞춰 새로 제작하는 데 성공한 사람이 김현곤 악기장이다.
    조화와 절도를 나타내는 사직악기 편종, 편경
    조화와 절도를 나타내는 사직악기 편종, 편경
    1 편경의 옥돌은 색깔도 곱고 소리도 청아해야 한다. 이 옥돌 구하기가 만만치 않다.

    2 편종의 음을 맞추기 위해 내경(속)을 긁어야 한다. 섬세한 작업이다.

    3 맑고 고운 소리가 나는 훈. 오카리나의 음색과 비슷하다.

    조화와 절도를 나타내는 사직악기 편종, 편경
    조화와 절도를 나타내는 사직악기 편종, 편경
    4 김현곤 악기장이 직접 만든 향비파(민속악에 쓰는 우리 비파)를 뚱기고 있다.

    5 편종은 구리와 주석, 아연, 납, 인을 합금해 주물로 찍어낸다.



    6 우리 음의 피치를 표시한 표. 황종(가온음 도)부터 12음이고 한 옥타브 위의 협종(내림 마, Eb)까지 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