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대변혁의 교육현장 ⑨ 단국대학교

서울·분당·천안 멀티캠퍼스로 뜬다

  • 곽대중·자유기고가가 bitdori21@kebi.com

서울·분당·천안 멀티캠퍼스로 뜬다

1/3
  • 단국대는 1990년대에 두 번의 위기를 겪었다. 1993년 ‘단국대 입시서류 폐기사건’과 1998년의 학교법인 부도사태가 바로 그것이다. 단국대는 두 차례의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분당에 제3캠퍼스 건립을 추진하는 등 재도약에 나서고 있다.
1998년 3월7일, 단국대학교는 종합대학으로는 처음으로 학교법인 부도사태를 맞았다. 이른바 ‘국가의 부도’라 불린 IMF 구제금융 사태로 숱한 기업들이 위기에 처하고 온 나라가 들썩이던 때에 단국대의 부도는 단연 화제였다.

‘이제는 학교도 부도나는 시대’라는 제목으로 언론에 크게 보도됐다. 학교만큼은 무슨 일이 있어도 무너지지 않는다는 고정관념을 무너뜨린 사건이었다. 일부에서는 다른 대학 10여 군데도 부도가 예상된다며 완전히 문을 닫는 대학도 생겨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도 이후 부실대학의 대명사격이 돼버린 단국대학교로서는 이런 불명예스러운 기억이 사람들의 뇌리에서 하루 빨리 잊혀지기를 바랐을 것이다. 그로부터 4년. 당장이라도 문을 닫게 될 듯 흉흉한 소문의 대상이던 단국대는 여전히 ‘건재해’ 있다.

“부도(不渡)요? 제가 입학할 때 그런 보도로 마음이 뒤숭숭하긴 했지만 지금껏 우리 학교가 ‘부도 위기에 놓인 대학’이라고 느껴 본 적이 없었습니다.”

졸업을 앞둔 경영학 전공 채민하(22)씨는 지난 4년간의 대학생활을 이렇게 회고했다.



단국대는 오히려 위기를 기회로 만들면서 그동안 캠퍼스를 하나 더 늘렸다. 1999년 대학종합평가 10개 부문 우수 및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고 2000년 교육개혁 우수대학으로 선정 되는 등 각종 대학평가에서도 눈에 띄는 성과를 거뒀다.

단국대의 교명(校名)은 단군의 ‘단(檀)’과 애국의 ‘국(國)’을 따 만든 이름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단국대는 ‘민족사학(民族私學)’을 자임하고 있다. 단국대의 역사는 해방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단국대의 설립자는 일제시대 독립운동을 재정적으로 후원했던 박기홍 선생의 부인인 혜당(惠堂) 조희재(趙喜在) 여사와 독립운동가 범정(梵亭) 장형(張炯) 선생이다.

일제시대 만주에서 ‘북로군정서’ 소속으로 독립운동을 한 범정 선생은 해방 이후 귀국해 ‘국민동지회’ 회장으로 추대되기도 했으나, 극심한 정국혼란을 보고 자신의 여생을 인재양성에 두기로 결심한다. 백범 김구 선생 역시 범정 선생의 이같은 의지에 동조해 정계보다 교육계에서 애국의 길을 실천하라고 격려했다고 한다.

민족사학 단국대학교

범정 선생은 나라를 이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설립을 추진했고, 조희재 여사가 100만 평의 토지를 재단 설립에 필요한 기본자산으로 기부했다. 대학의 이름은 통일 이후 남북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동질성인 ‘단군의 자손’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어 ‘단국(檀國)’이라고 했고 교육이념은 구국(救國) ·자주(自主)·자립(自立)을 내세웠다. 대학의 상징도 단군설화에 등장하는 ‘곰’으로 정했다.

이른바 ‘국대안(國大案) 파동(미군정청이 여러 국립전문학교들을 통폐합해 서울대학교를 발족시킨다는 구상에 대한 반대운동)’으로 교육계가 큰 혼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선교사들의 지원 없이 순수한 민족 재원으로 설립하는 대학이 탄생했다는 소식은 전국 학생들의 환영을 받았다.

단국대학교는 올해로 개교 55주년을 맞는다. 1990년대 들어 단국대학교는 크게 두 번의 위기를 겪었다. 하나는 1993년 이른바 ‘단국대 입시서류 폐기사건’이고 다른 하나는 1998년의 학교법인 부도사태다. 1993년의 사건은 최소 4년간 보관하게 되어 있는 입시관련 서류 3년치를 임의로 폐기한 사건이다.

당시 교육부는 이 사건이 부정입학 비리를 감추기 위한 것이라고 판단하고 특별감사를 실시했다. 감사 결과 부정입학 사례를 찾아내지는 못했지만 학교법인이 1707억원의 부채를 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학교법인이 일정금액 이상의 돈을 끌어 쓰려면 교육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이를 무시하고 불법적으로 재산을 차입한 것을 발견한 것이다.

“한 해에도 수백억 원의 재산을 운용하는데 어떻게 그때마다 번번이 교육부의 승인을 받습니까. 거기다 우리 대학재단의 경우 자산(資産)의 대부분이 부동산입니다. 교육법상 대학은 재산도 마음대로 처분할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결국 특별한 수입원이 없는 대학이 학교를 운영하자면 어떻게든 방도를 구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닙니까.”

단국대 법인관계자의 말이다.

결국 이 사건으로 20여 년간 총장을 맡아왔던 장충식(張忠植) 총장이 자리에서 물러났고 재단이사장을 비롯한 임원진도 모두 해임되면서 관선이사가 파견됐다. 현재 학교법인 단국대학의 장충식 이사장은 1993년의 사건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대학병원 건립 등 무리한 확장경영도 한 이유였겠지만 정권에게 미운털이 박힌 것이 더 근본적인 원인이었던 것 같습니다. 1992년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 후보측에서 정치자금지원을 요청한 적이 있었습니다. 군사정권 시절에도 이러한 일은 없었고 대학의 재산을 정치자금으로 은밀히 내놓는다는 것은 교육자로서 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일이라고 생각해 단호히 거절했습니다. 결국 정권이 바뀌자마자 감사가 시작되더군요.

파견된 관선이사가 ‘학교를 망하게 하기 위해 왔다’고 말하는 것을 듣고 느낀 참담함은 말로 표현하기도 힘듭니다. 만약 그때 정치자금을 지원했더라면 그 덕택에 어느 정도 대학이 발전할 수도 있었겠지요. 그런 제의를 거절해 위기에 처하게 된 것을 후회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그 사건으로 삼성그룹으로의 인계 계획이 무산돼 학교 발전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놓친 것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1/3
곽대중·자유기고가가 bitdori21@kebi.com
목록 닫기

서울·분당·천안 멀티캠퍼스로 뜬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