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월5일, 공천 관련 당무감사자료 유출로 촉발된 당 내분사태 수습을 위해 열린 한나라당 상임운영위원회의에서 참석자들이 심각한 표정으로 앉아 있다.
박근혜 의원은 최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은 오히려 권력을 쥔 대통령과 이해관계가 다른 국무총리간의 갈등만 노정시키게 된다”며 “차라리 대통령 임기를 4년으로 하고 중임을 묻도록 하는 개헌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차기 대권 레이스에 나설 뜻을 갖고 있는 이명박(李明博) 서울시장과 손학규(孫鶴圭) 경기지사도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는 후문이다. 결국 이 문제가 공론화할 경우 한나라당은 또다시 걷잡을 수 없는 혼돈의 소용돌이에 빠져들 가능성도 없지 않다.
2월부터 본격화할 공천 심사도 쉽지 않은 관문이다. 2000년 16대 총선 당시 위압적일 정도의 카리스마를 가졌던 이회창 전 총재도 공천 파동을 피해가지는 못했다.
최 대표는 최근 기자들에게 “공천 결과가 나오면 김문수 공천심사위원장 대신 내가 당사에 앉아 일일이 대응할 것”이라며 불퇴전의 결의를 다졌지만 실제 상황은 녹록치 않다. 특히 한나라당의 아성인 영남권에서 대대적인 공천 물갈이에 나서야 하는 최 대표로선 이회창 전 총재 같은 카리스마를 갖지 못한 상태에서 자칫 상당한 역풍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공천반발 막을 묘수는?
특히 공천 심사 과정에서 최 대표와 불편한 관계였던 의원들이 잇따라 낙마(落馬)할 경우 공천 기준의 공정성을 둘러싼 논란은 증폭될 수밖에 없다. 또 일부 보수 성향 의원 공천에 반대하는 소장파 의원들의 집단 움직임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일부 영남권 의원의 경우 최악의 상황에 대비, “무소속 출마를 불사하겠다”며 최 대표를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단기필마’로 당권을 장악하는 데 성공했지만 당 기반이 취약한 최 대표 입장에서 공천 반발은 비주류 진영의 해묵은 감정까지 자극할 수 있는 뇌관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총선 가도에서 최 대표의 결단은 하나하나가 당 안팎에서 민감한 파장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이를 예의 주시하기는 유권자도 마찬가지다.
‘보수의 통렬한 자기반성’을 통해 원내 1당 대표에 오른 최병렬 체제의 남은 3개월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