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탄이 날아드는 전장(戰場)은 물론 ‘이념 싸움의 전장’에서 우파 여전사로 살아온 오리아나 팔라치. 그는 싸움에 지치고 지쳐, 70대에 암 투병으로 망가진 노구를 이끌고 뉴욕으로 망명해 여생을 살면서도 ‘지금, 말해야 한다’고 생각할 때 분연히 펜을 들었다.
팔라치는 이슬람에 대한 독설 어린 비판을 한 탓에 생명조차 안전하게 보장받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런데도 9·11테러를 일으킨 오사마 빈 라덴을 향해 독설을 퍼부었다. 문자 그대로 ‘세기의 철녀(鐵女)’다. 그는 “인생에서 의견을 밝히는 일이 의무가 되는 경우도 있다. 그것은 우리가 피해갈 수 없는 공민(公民)으로서의 의무이자 도덕적으로 당연히 요구되는 지상명령”이라고 선언했다.
싸움의 내용은 다를지라도 늘 전장에 서 있다는 느낌이 드는 요즘이다. 이 대단한 여전사(女戰士)의 삶을 소개해야겠다는 생각이 든 것은 그 때문이다.
나의 분노, 나의 자긍심
오리아나 팔라치는 1929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태어났다. 르네상스 시대의 중심도시에서 태어난 덕분에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같은 거장의 걸작을 매일 접하며 살았다. 무엇보다 그녀는 부모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들은 대학에 다닌 적이 없었지만 빠듯한 살림에도 탐욕스러울 정도로 책을 사들여 읽었다. 어린 딸 오리아나에게도 독서를 권했다. ‘글’로 먹고살아갈 그의 평생 자산이 이때 쌓였다.
그가 담대한 내면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파시즘 반대 운동에 적극 참여한 아버지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의 아버지는 운동의 단순 가담자가 아니라 체포당한 후 심한 고문을 당하고 사형을 선고받을 정도로 극렬한 레지스탕스 지도자였다. 아버지는 어린 오리아나에게 레지스탕스 교육을 시켰고 총 쏘는 법, 사냥하는 법을 가르치면서 독립심을 키워주었다.
이런 일도 있었다. 1949년 9월25일 토요일. 연합군이 피렌체에 처음으로 폭격을 가해 숱한 오폭의 기록을 남긴 날이다. 연합군은 무기와 병력을 수송하는 독일군 선로(線路)를 파괴한다는 명목으로 마을과 광장 유적을 마구 폭격했다. 오리아나는 아버지와 함께 광장에서 300m 떨어진 교회에 있었다. 폭탄이 소나기처럼 퍼부었고 부녀(父女)는 지진이라도 난 듯 흔들리는 건물 안에서 손을 꼭 잡고 “주여 살려주소서”라는 간절한 기도를 올렸다. 갑자기 오리아나가 울음을 터뜨렸다. 펑펑 운 것도 아니었다. 소녀답지 않게 딸꾹질 같은 소리도 내지 않고 감정을 억제하는 그런 흐느낌이었다. 놀라운 것은 이런 딸의 모습을 본 아버지의 냉정한 반응이었다. 아버지는 어린 그녀를 껴안고 다독이거나 위로의 말을 건네는 대신 따귀를 세차게 후려쳤다. 그러면서 이렇게 혼냈다.
“여자애는 울 수도 없고 울지도 말아야 해.”
보통 딸 같으면 이런 아버지를 원망할 만도 하건만, 오리아나가 훗날 “나를 엄하게 키운 아버지에게 감사한다”고 말한 걸 보면 역시 그 아버지에 그 딸이다.
‘인생은 어차피 힘겨운 모험이다. 그 사실을 빨리 알아차릴수록 좋다. 나는 약한 사람들에게 관대하지 않다. 내 본성과도, 내 성격과도 맞지 않는다. 우리 부모님도 약한 사람들에게 관대하지 않으셨다. 난 그때 아버지가 내 뺨을 때린 것을 결코 잊지 않았다. 그것은 마치 키스 같았다.’
그렇지만 그날의 경험은 어린 그에게 큰 정신적 충격으로 남았다. 그날 이후 눈물을 흘리지 못하는 ‘감정적 불구자’가 된 것이다. 오리아나는 책 ‘나의 분노 나의 자긍심’에서 “어른이 되어 큰 슬픔을 당해도, 또 베트남전쟁 취재 때 폭탄으로 목숨을 잃을 뻔했던 때나 멕시코혁명 취재 때 총격을 당해 마치 칼날이 몸 안을 휘젓는 듯한 육체적 고통을 느낄 때도 펑펑 울고 싶었지만 눈에 눈물이 고이지 않았다”고 고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