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적으로 재일교포는 현재 한국 국적을 가진, 광복 이전 일본에 정착한 한국인 1세대 및 그의 후손 세대들로 정의된다. 이들은 일본 정부로부터 일본에 남게 된 역사적 특수성이 인정되어 ‘특별영주권’을 부여받는다. 이외 이른바 ‘뉴커머(new comer)’로 불리는, 최근에 한국에서 일본으로 와 정착하는 한국 국적자들이 있다. 일본 법무성에 따르면 현재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 국적자는 57만~60만명이다.
조총련계 등 북한 국적자는 3만~10만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2004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고이즈미 당시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이 일본인 납치를 사과한 후 조총련계 상당수가 이에 실망해 북한 국적을 포기한 것으로 알려진다. 지금은 조선인학교 졸업생들이 조총련의 주 기반으로 이것이 ‘교육의 힘’이라고 한다. 법무성 통계에 따르면 ‘귀화자’로 불리는, 한국 국적에서 일본 국적으로 바꾼 사람들은 지금까지 31만명 정도다. 민단 관계자는 “국적이 아닌 민족 개념으로 볼 때, 현재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한민족은 130만~15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했다.
민단은 1994년부터 재일동포를 국적 개념에서 민족 개념으로 바꿔 일본 국적자인 한민족도 단원으로 받아들여 부단장까지 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뉴커머도 단원으로 수용하고 있다. 민단은 중앙본부, 49개 지방본부, 290개의 지부를 두고 있다. 중앙본부 건물 및 각 지방본부 건물, 150개 자치회관 등의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다. 민단 관계자는 “운영비는 단원들이 내는 단비, 경제인들의 후원, 한국 정부의 보조금에서 마련한다”고 했다. 단장, 의장, 감찰위원장은 대의원 및 선거인단(550명)의 선거로 3년마다 선출되는데 선거 열기가 뜨거운 편이라고 한다.
45만 재일교포, 차기대선에 투표
민단은 한일강제합방 100년이 되는 올해 11월 서울에서 대규모 심포지엄을 열 예정이다. 매년 1만명 정도씩 한국 국적자가 줄어드는 것은 재일교포사회와 민단에는 위기로 받아들여지는 정황이다. 반면 2012년부터 재일교포 등 재외국민이 한국 대선과 총선에 투표할 수 있게 된 점은 새로운 기회가 된다.
민단 측에 따르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재일교포는 45만여 명으로 추산된다. 재미교포 유권자는 이보다 더 많다. 한국 대선에서 40만~50만표 안팎으로 당락이 갈리는 사례가 잦았던 점을 감안하면 재일·재미교포 유권자는 무시하지 못할 변수가 될 수 있다. 교포사회에선 “일본과 미국에서 각각 10만표 이상만 나와도 본국에서 크게 놀라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문제는 투표율. 일본 밖으로 한 번도 나간 적이 없는 재일교포는 투표를 위해선 한국 여권을 만들어야 한다. 정치권 관계자는 “재외국민은 해당 국가의 한국 영사관에서 투표하게 되는데 투표율은 본국에 대한 재외국민의 정치적 영향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중요한 잣대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지는 정 단장과의 일문일답이다.
▼ 교포사회에선 한국 대통령을 직접 뽑을 수 있게 된 것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나요?
“연간 20만명의 재일교포가 본국을 왕래해요. 이들 거의 대부분은 한국 국적기를 이용합니다. 본국에 대한 애착이 강해요. 그러나 우리는 무권리 상태에서 권리 상태로 변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마침내 본국이 참정권을 부여해줌으로써 비로소 권리를 갖는 존재가 됐어요.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을 기울일 생각이에요.”
일본 정부가 만든 말, ‘귀화’
▼ 일본에 대해선 국회의원을 뽑는 총선 투표권은 아니더라도 지자체선거의 참정권은 달라고 요구하고 있죠?
“오래전부터 요청하고 있는데 아직 가시적 성과가 없어요. ‘일본이 이렇게 폐쇄적 환경인가’라는 느낌이 들 때가 있어요. 일본이 아시아의 리더 국가가 되기 위해선 마음을 더 열어야 한다고 봅니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