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태경 의원이 직접 받은 휴대전화 해킹 문자메시지.
야당과 엇비슷한 北 주장
북한 공작기관은 국내외 연계세력과 함께 ‘맞장구치는’ 방식으로 북한의 주장이 담긴 글을 게재, 확산하고 있다. 한국 정부의 정책을 비방하고 대북 우호 여론을 확산하는 게 주목적. 북한은 평상시에는 선군정치의 우월성, 김정은의 위대성 등 체제 선전 글을 주로 유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안함 폭침, 장거리 미사일 발사, 핵실험 등 현안이 불거졌을 때는 국내 사이트와 SNS에 자신들의 주장을 정당화하는 글을 집중 게재한다. 북한 공작기관이 자신들의 주장을 옹호하는 글에 필명을 대거 동원해 댓글 달기를 조직적으로 실시하는 등 여론몰이에 나서는 것이다(신동아 2013년 4월호 ‘국정원女 사건으로 본 남북한 치열한 심리전 내막’ 제하 기사 참조).
하 의원의 설명은 이렇다.
“앞서 말한 통일전선부 산하 101연락소 3국에서 댓글팀을 운영합니다. 댓글팀 사무실에 노크를 하면 안에서 ‘들어오삼’이라는 말을 할 만큼 한국 네티즌들의 신조어를 사용하는 데도 능통하다고 해요. 네이버 다음 등에 여론조작을 위한 댓글을 답니다. 활동 목적은 친북 세력의 확장이겠죠. 통일전선부에서 일한 한 탈북자는 ‘댓글 요원들이 북핵이 남한을 위한 핵이라는 식의 댓글을 달았다’고 증언했습니다. 북한 요원들은 인터넷 여론 조작에 활용하기 위해 주민등록번호를 상당수 확보해놓고 있습니다. 요원 한 명당 평균 150여 개의 주민등록번호를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국정원은 북한의 이 같은 심리전에 대응하고자 2009년 대북 심리전단을 확대 개편했다. ‘국정원녀’ 김모 씨가 바로 이 조직 소속이다. 국정원은 북한의 대남 심리전에 대응해 댓글을 달았다고 주장한 반면 검찰은 정보기관이 불법으로 정치 및 선거에 개입한 것으로 봤다. 앞으로 법정공방이 치열하게 전개될 듯하다. ‘국정원녀’ 사건과 관련한 그의 견해는 이렇다.
“국내 정치에 개입한 것으로 오해받을 수 있는 일은 하지 말았어야 했습니다. 국정원의 방어 논리는 북한이 심리전을 벌이면서 남북문제뿐 아니라 4대강, 천안함, 원자력발전 등 남쪽의 이슈를 건드려 맞대응했다는 겁니다. 북한 공작기관이 건드리니까 우리도 했다는 건데, 국정원이 올린 댓글의 문구만 보면 정치 개입으로 해석될 수 있죠. 북한이 국내 정치나 한국 내 이슈와 관련해 주장하는 것은 사실 야당의 그것과 엇비슷합니다. 민간에 놔두면 자연스럽게 정화될 지엽적인 일에 개입한 측면도 커요. ‘김일성 동지 만세’ ‘핵 문제’ ‘남북 관계’에 대해서만 대응했어야 하는데….”

하 의원은 “스테가노그래피의 실체가 최초로 확인된 것은 2001년 검찰이 적발한 왕재산 사건”이라면서 이렇게 설명했다.
“왕재산 그룹은 스테가노그래피를 활용한 암호 기법을 사용해 북한 225국과 총 230회에 걸쳐 교신하며 북한의 지령문을 받고, 대북보고문 등을 북측에 전달했습니다. 그중 40회의 소통이 스테가노그래피로 이뤄졌고요. 스테가노그래피는 2001년 9·11 테러 때 빈 라덴과 테러리스트들이 사용한 방식입니다.”
북한은 한국의 인터넷 사이트를 상대로 한 사이버 테러에도 나서고 있다. ‘동아일보’가 7월 31일 단독으로 보도한 ‘北정찰총국, 南에 좀비PC 11만 대 구축’ 제하 기사의 앞 대목을 읽어보자.
학생운동권 출신의 국내 정보기술(IT)업체 대표가 북한 정찰총국 간첩과 북한 해커에게 국내 전산망 서버 접속권한을 넘겨 국내외 개인용 컴퓨터(PC) 약 11만 대가 좀비 PC가 돼버린 것으로 확인됐다. 만약 북한이 좀비 PC 11만 대로 디도스(DDoS·분산서비스 거부) 공격이나 해킹 같은 사이버 테러를 감행했다면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을 수 있다는 것이 공안당국의 분석이다. 서울중앙지검 공안1부(부장 최성남)와 국가정보원은 중국에 있는 북한 해커가 국내 전산망에 악성바이러스를 유포시켜 좀비 PC 네트워크 ‘봇넷’을 구축할 수 있게 돕고, 정찰총국 소속 간첩과 접촉한 혐의 등(국가보안법상 편의제공, 회합·통신)으로 IT업체 A사 대표 김모 씨(50)의 회사와 자택, 서버 제공업체 2곳을 30일 압수수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