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이슈&인물

“북한 매체 완전 개방하고 AM 주파수로 北에 뉴스 쏴야”

남북한 심리전 연구서 낸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

  • 송홍근 기자 │ carrot@donga.com

“북한 매체 완전 개방하고 AM 주파수로 北에 뉴스 쏴야”

3/4
“북한 매체 완전 개방하고 AM 주파수로 北에 뉴스 쏴야”

하태경 의원이 직접 받은 휴대전화 해킹 문자메시지.

공안당국에 따르면 북한이 운영하는 온라인 대남매체는 지난해에만 2만여 회에 달하는 대남 심리전 활동을 벌였다. 북한이 대남 심리전의 대표선수 격인 ‘우리민족끼리’를 개설한 것은 구국의 소리 방송을 중단한 다음 달인 2003년 4월. 이후 80여 개 플랫폼을 구축해 심리전 공격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해에만 남측 당국 비방, 4대강 사업 비판, 서해 NLL(북방한계선) 무력화 시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 등과 관련해 2만 건 넘는 선동 및 비방 글을 유포해 국내 여론을 왜곡하려 했다. ‘우리민족끼리’는 2010년 유튜브, 트위터, 플리커 계정도 개설했다. 2011년부터는 국내 SNS 서비스와의 연동에도 나섰다.

야당과 엇비슷한 北 주장

북한 공작기관은 국내외 연계세력과 함께 ‘맞장구치는’ 방식으로 북한의 주장이 담긴 글을 게재, 확산하고 있다. 한국 정부의 정책을 비방하고 대북 우호 여론을 확산하는 게 주목적. 북한은 평상시에는 선군정치의 우월성, 김정은의 위대성 등 체제 선전 글을 주로 유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안함 폭침, 장거리 미사일 발사, 핵실험 등 현안이 불거졌을 때는 국내 사이트와 SNS에 자신들의 주장을 정당화하는 글을 집중 게재한다. 북한 공작기관이 자신들의 주장을 옹호하는 글에 필명을 대거 동원해 댓글 달기를 조직적으로 실시하는 등 여론몰이에 나서는 것이다(신동아 2013년 4월호 ‘국정원女 사건으로 본 남북한 치열한 심리전 내막’ 제하 기사 참조).

하 의원의 설명은 이렇다.

“앞서 말한 통일전선부 산하 101연락소 3국에서 댓글팀을 운영합니다. 댓글팀 사무실에 노크를 하면 안에서 ‘들어오삼’이라는 말을 할 만큼 한국 네티즌들의 신조어를 사용하는 데도 능통하다고 해요. 네이버 다음 등에 여론조작을 위한 댓글을 답니다. 활동 목적은 친북 세력의 확장이겠죠. 통일전선부에서 일한 한 탈북자는 ‘댓글 요원들이 북핵이 남한을 위한 핵이라는 식의 댓글을 달았다’고 증언했습니다. 북한 요원들은 인터넷 여론 조작에 활용하기 위해 주민등록번호를 상당수 확보해놓고 있습니다. 요원 한 명당 평균 150여 개의 주민등록번호를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국정원은 북한의 이 같은 심리전에 대응하고자 2009년 대북 심리전단을 확대 개편했다. ‘국정원녀’ 김모 씨가 바로 이 조직 소속이다. 국정원은 북한의 대남 심리전에 대응해 댓글을 달았다고 주장한 반면 검찰은 정보기관이 불법으로 정치 및 선거에 개입한 것으로 봤다. 앞으로 법정공방이 치열하게 전개될 듯하다. ‘국정원녀’ 사건과 관련한 그의 견해는 이렇다.

“국내 정치에 개입한 것으로 오해받을 수 있는 일은 하지 말았어야 했습니다. 국정원의 방어 논리는 북한이 심리전을 벌이면서 남북문제뿐 아니라 4대강, 천안함, 원자력발전 등 남쪽의 이슈를 건드려 맞대응했다는 겁니다. 북한 공작기관이 건드리니까 우리도 했다는 건데, 국정원이 올린 댓글의 문구만 보면 정치 개입으로 해석될 수 있죠. 북한이 국내 정치나 한국 내 이슈와 관련해 주장하는 것은 사실 야당의 그것과 엇비슷합니다. 민간에 놔두면 자연스럽게 정화될 지엽적인 일에 개입한 측면도 커요. ‘김일성 동지 만세’ ‘핵 문제’ ‘남북 관계’에 대해서만 대응했어야 하는데….”

“북한 매체 완전 개방하고 AM 주파수로 北에 뉴스 쏴야”
라디오 시대가 저물고 인터넷 세상이 열리면서 지령을 전달하는 방식도 첨단화했다. 스테가노그래피(Steganography)가 대표적이다. 이 낱말은 ‘감추어져 있다’는 뜻의 ‘stegano’와 ‘통신하다’는 뜻의 ‘graphos’가 결합한 것. 남재준 국정원장이 3월 18일 열린 국회 인사 청문회에 앞서 정보위원회에 제출한 서면 답변에서 이 단어를 썼다. “최근 적발한 간첩 25명 중 11명이 스테가노그래피를 이용한 사이버 간첩이었다”는 것이다. 스테가노그래피는 문서나 사진을 e메일로 보내면서 그 안에 숨은 메시지를 담는 수법이다. 파일명을 바꾸는 방식 등의 해독법을 공유한 이들만 숨은 메시지를 읽을 수 있다. e메일을 주고받을 때는 은어를 사용한다.

하 의원은 “스테가노그래피의 실체가 최초로 확인된 것은 2001년 검찰이 적발한 왕재산 사건”이라면서 이렇게 설명했다.

“왕재산 그룹은 스테가노그래피를 활용한 암호 기법을 사용해 북한 225국과 총 230회에 걸쳐 교신하며 북한의 지령문을 받고, 대북보고문 등을 북측에 전달했습니다. 그중 40회의 소통이 스테가노그래피로 이뤄졌고요. 스테가노그래피는 2001년 9·11 테러 때 빈 라덴과 테러리스트들이 사용한 방식입니다.”

북한은 한국의 인터넷 사이트를 상대로 한 사이버 테러에도 나서고 있다. ‘동아일보’가 7월 31일 단독으로 보도한 ‘北정찰총국, 南에 좀비PC 11만 대 구축’ 제하 기사의 앞 대목을 읽어보자.

학생운동권 출신의 국내 정보기술(IT)업체 대표가 북한 정찰총국 간첩과 북한 해커에게 국내 전산망 서버 접속권한을 넘겨 국내외 개인용 컴퓨터(PC) 약 11만 대가 좀비 PC가 돼버린 것으로 확인됐다. 만약 북한이 좀비 PC 11만 대로 디도스(DDoS·분산서비스 거부) 공격이나 해킹 같은 사이버 테러를 감행했다면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을 수 있다는 것이 공안당국의 분석이다. 서울중앙지검 공안1부(부장 최성남)와 국가정보원은 중국에 있는 북한 해커가 국내 전산망에 악성바이러스를 유포시켜 좀비 PC 네트워크 ‘봇넷’을 구축할 수 있게 돕고, 정찰총국 소속 간첩과 접촉한 혐의 등(국가보안법상 편의제공, 회합·통신)으로 IT업체 A사 대표 김모 씨(50)의 회사와 자택, 서버 제공업체 2곳을 30일 압수수색했다.

3/4
이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목록 닫기

“북한 매체 완전 개방하고 AM 주파수로 北에 뉴스 쏴야”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