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윤채근의 고전환담古傳幻談

조선 화가 최북傳

사랑이라면 도톤보리 운하에서

  • | 윤채근 단국대 교수

조선 화가 최북傳

1/4
1748년 조선통신사의 에도 시내 행렬도. 일본 고베시립박물관 소장.

1748년 조선통신사의 에도 시내 행렬도. 일본 고베시립박물관 소장.

그림에도 운명이란 게 있을까? 조선의 떠돌이 화가 최북(崔北)은 오사카 도톤보리(道頓堀) 운하 옆 유곽거리를 천천히 걸으며 생각했다. 해가 지며 켜지기 시작한 청등과 홍등들로 물빛이 화려하게 번져갈 무렵, 포근한 4월의 봄바람이 나뭇가지를 흔들자 사방에 벚꽃 잎이 휘날려 떨어져 내렸다. 그가 쓸쓸히 속삭였다. 

“사쿠라잎 천지를 채우는데 이름 없는 애꾸눈 화사는 운하 위에 정을 띄우네.” 

갑자기 그의 등 뒤에서 유창한 조선어로 읊조리는 여인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요도강(淀川) 위의 조선 사신이었을까? 돌아온다는 약속 없이 에도로 떠나신 분.” 

최북이 급히 뒤돌아보자 대형 유곽을 대표하는 유녀(遊女)인 오이란(花魁) 한 명이 견습 유녀인 가무로(禿) 두 명과 경호대원 한 명의 보호를 받으며 서있었다. 오이란 등급의 고급 유녀가 함부로 외출하는 일은 드물었지만 뭔가 급박한 사정이 있음에 틀림없었다. 화려한 금실 문양이 수놓인 은빛 우치카게(打ち掛け)를 걸치고 멋들어진 비녀인 간자시로 머리를 장식한 그녀는 갸름한 얼굴을 부채로 가리며 들릴 듯 말 듯 나직이 말했다. 



“조선의 사신들을 모시러 마쓰시마(松島) 유곽 연회장으로 가는 중 우연히 뵙는군요. 신마치(新町) 유곽의 하나오기(花扇)입니다.”

조선 화가와 일본 유녀의 만남

마쓰시마 유곽은 오랜 해로 여정을 마친 조선통신사 일행이 육로로 접어들어 공식숙소인 교토 니시혼간지(西本願寺)로 이동할 즈음 잠시 쉬어가는 오사카의 숙소 지쿠린지(竹林寺) 인근에 있었다. 처음엔 정사(正使)가 이끄는 본진을 먼저 보낸 실무진이 여독을 푸는 작은 주점이었다가 사절단 소속 제술관이나 화사들과 교류하려는 오사카 문인 예술가들이 몰려들자 유명세를 타며 점점 몸집을 불린 대형 유곽이었다. 최북이 물었다. 

“연회는 벌써 시작됐을 텐데, 늦게 참가하려는 이유는?” 

하나오기가 부끄러워하는 표정을 부채 사이로 살짝 드러내며 대답했다. 

“조선어 할 줄 아는 선배 오이란들이 모조리 에도의 요시와라 유곽으로 옮겨가서. 물론 하나오기가 조선인들과 마음을 나누기 좋아하는 품성이기도 하고.” 

상대의 순수한 마음과 친절에 감동한 최북은 그녀와 함께 마쓰시마 유곽까지 걸어주기로 했다. 운하를 벗어나 북쪽으로 향하는 대로에 접어들자 오른쪽 멀리 오사카성이 보였다. 하나오기가 어깨를 바싹 붙이며 명랑하게 말했다. 

“하나오기는 이제 열여덟 살. 엄마가 조선인. 아빠는 일찍 죽었어요. 화사님은?” 

고개를 끄덕인 최북이 하나오기의 길게 늘어뜨린 귀밑머리를 바라보며 대답했다. 

“서른 넘은 가난한 조선 화사. 세상이 싫어 눈 하나를 버렸지. 실은 통신사 공식 화사는 아니고 뇌물을 넣어 따라붙은 별화사(別畫師)라네. 그림은 그리지 않을 셈이니 기대는 말고.” 

“에도막부를 정탐하려는 분? 아니면 천하를 다 보고 남은 눈까지 찌르려는 분?” 

상념에 잠긴 최북이 한참 지나 대답했다. 

“사흘 뒤 요도강을 거슬러 교토를 지나 에도로 갈 사람. 그리고 사쿠라 진 6월 오사카를 다시 지나갈 사람.” 

문득 걸음을 멈춘 하나오기가 슬픈 표정으로 최북을 쏘아봤다. 그녀는 그렇게 우두커니 서버림으로써 수행하던 가무로들을 애타게 했다. 의아한 표정의 최북을 향해 하나오기가 한숨 섞인 어조로 말했다. 

“지나간다는 말은 싫어요. 어느 누구도 삶을 그저 지나가진 않으니까. 그리고 하나오기의 아빠도 화공이었어요. 제 마음속엔 그의 그림들이 늘 살아 있습니다.”

‘거기재’의 자화상

이한철의 서명이 들어간 최북의 초상화.

이한철의 서명이 들어간 최북의 초상화.

그날 밤 마쓰시마 유곽의 연회는 새벽까지 이어졌고 도화서 소속 공식 화사 이성린(李聖麟)은 스무 폭이 넘는 그림을 그려 번주(藩主)의 신료들에게 선물했다. 70을 바라보는 오사카의 유명 화가 오오카 순보쿠(大岡春卜)는 화첩을 만들기 위해 이 그림들을 따로 받아 모았는데 자신의 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는 애꾸눈의 수행원이 마음에 걸려 이성린에게 물었다. 

“저 말석에 앉은 애꾸눈의 수행원은 누구요? 계속 심통 난 표정으로 날 보는 것 같은데.” 

이성린이 난처한 낯빛으로 대답했다. 

“개인 자격으로 따라온 별화사입니다. 주사가 심해 운하 산책이나 하고 오라 했건만 갑자기 돌아와 저렇게 퍼마시고 있군요.” 

상대에게 흥미를 느낀 오오카는 최북 옆으로 다가가 정중하게 그림을 부탁했다. 이미 만취한 최북은 붓을 멋대로 희롱해 좌석의 인물을 한 명씩 그려나갔다. 기이하게 왜곡된 인물화들을 지긋이 감상하던 오오카는 대나무 하나를 그려 답례했다. 그러자 최북이 해당 화폭에 똑같은 대나무를 하나 더 그려 되돌려주었다. 감탄한 오오카가 미농지(美濃紙)를 잔뜩 가져오게 해 최북 옆에 쌓아두고 계속 술을 권했다. 하나오기에게 한 말과 달리 최북은 끝없이 그림을 그렸고, 그림마다 ‘거기재(居基齋)’라 서명했다. ‘거기 있다’라는 조선말을 이용한 농이었다. 쓰러지기 직전 최북이 외쳤다. 

“오오카 선생. 오늘밤 하나오기를 내게 주시오.” 

그리하여 1748년 4월 18일 새벽부터 다음 날 새벽까지 오사카의 오이란 하나오기는 최북과 마쓰시마 유곽에 머물렀다. 중인 출신의 빈한한 화사였지만 도화서에 소속되길 거부하고 자유인으로 머무르려 한 최북은 왜경(倭京) 교토에 이르기 직전 자신을 알아주는 첫 사람을 만났다. 그는 하나오기의 등에 하나오기의 초상을 그려주었다. 그녀가 말했다. 

“제가 볼 수 없는 제 초상이란 과연 뭘까요? 하나오기의 실물이 그리 못났나요?” 

그녀의 등에 물을 끼얹어 그림을 지우고 이번엔 자신의 초상을 그리며 최북이 대답했다. 

“제대로 감상해줄 사람 없는 그림은 쓰레기지. 하나오기 모습은 이미 내 마음속에 있으니까 다른 건 더 필요 없어.” 

“지금은 뭘 그리시나요?” 

“나, 최북.” 

고개를 돌려 최북을 물끄러미 쳐다보던 그녀가 웃으며 말했다. 

“하나오기는 화공이 아니라 마음속에 당신을 그릴 수 없어요. 화폭으로 남겨주세요. 부탁입니다.” 

하나오기 등에 입 맞춘 최북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자화상을 그려 하나오기에게 선물했다. 그림은 에도로 떠났던 최북이 귀국길에 다시 오사카에 들를 때까지 훌륭하게 표구되어 마쓰시마 유곽 접객실 히치테차야(引手茶屋)에 내걸렸다. 6월 12일 지쿠린지 숙소로 돌아온 최북은 하나오기와 재회해 두 번의 밤을 더 보냈고, 15일 아침 요도우라(淀浦)에 정박해 있던 사신 선단의 판옥선에 올랐다. 대마도에 근접한 항구 아카마세키(赤間關)로 연결되는 긴 내해(內海)를 지나는 동안 그는 하나오기를 추억하며 잠 못 이뤘다.

이루지 못한 꿈

빈센트 반 고흐 작 ‘탕기 영감’. 배경에 우타마로의 미인도가 보인다.

빈센트 반 고흐 작 ‘탕기 영감’. 배경에 우타마로의 미인도가 보인다.

작은 인연으로 끝날 것 같았던 하나오기와의 만남은 귀국 이후 기이한 중량감으로 최북의 내면을 파고들더니 급기야 닿을 길 없는 영원의 사랑으로 윤색되어갔다. 그는 오사카에서 보낸 마지막 밤 하나오기가 한 말을 중얼대며 자신을 스쳐 지나간 운명을 애도했다. 

“인생의 꽃잎이 지고 있어요. 같은 꽃은 두 번 피어나지 않아요.” 

최북의 여생은 미친 기행으로 점철된 것이었다. 그는 세상과 화해할 줄 몰랐고 여러 번 자살을 시도했으며 파산한 뒤론 입에 풀칠하기 위해 마구 그림을 팔아야 했다. 한양 부호들 눈 밖에 난 그는 평양에서 산수화를 그려 팔다 최후엔 동래로 흘러들어가 부산포 왜상들의 주문을 받아 닥치는 대로 그렸다. 서명이나 낙관을 거부하던 그는 딱 한 번 실수로 ‘거기재’라는 호를 사용했는데 통신사 시절을 떠올리며 지나치게 통음한 탓이었다. 

오오카 순보쿠의 편지가 도착한 건 1763년 봄이었다. 죽음을 앞둔 일본의 노(老)화가는 지난날의 만남에서 누린 즐거움과 최근 수입된 그림 뭉치 속에서 ‘거기재’라는 호를 발견했을 때의 놀라움에 대해 길게 서술했다. 최북은 수치로 온몸을 떨었다. 오오카는 짤막한 추신을 통해 하나오기의 소식도 전했다. 하나오기는 유곽에서 나지미(馴染み)라 불리는 고급 단골과의 사이에 아들을 출산하고 1754년 은퇴했다고 했다. 남자에게 버림받은 그녀는 아들과 함께 에도로 떠나 요시와라 유곽의 관리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오오카의 편지를 받은 뒤부터 최북은 그림을 그릴 수 없었다. 그는 산다는 일에 입맛을 잃고 말았다. 절필한 채 한양으로 돌아와 기방(妓房)을 떠돌며 무절제하게 살던 그가 유일하게 열정을 불사른 건 1764년 통신사행에 다시 끼려 동분서주할 때였다. 뇌물로 쓸 변변한 돈도 없는 데다 평판마저 나쁜 그를 받아줄 리 만무했건만 최북은 여기저기 선을 대려 폭주했고 끝내 실패하자 다시 술독에 빠져버렸다. 

중인 출신의 젊은 여항시인 이단전(李亶佃)이 최북을 만나 후원자가 된 건 1782년 무렵이다. 상대의 재능을 아낀 이단전은 그를 노론 명문가 자제 남공철(南公轍)에게 소개했고 세 사람은 북한산 중흥사에서 만나 밤새워 묵죽화를 그렸다. 창밖에 새벽빛이 비쳐들기 시작하자 화구를 주섬주섬 챙기던 최북이 말했다. 

“부탁이 하나 있습니다. 혹 통신사행이 꾸려지게 되거든 이 노인을 별화사로 데려가 주십시오.” 

하나오기 이야기를 접한 남공철은 쾌히 승낙했지만 더 이상의 통신사행은 없었고 최북의 마지막 바람도 이뤄지지 않았다. 절망한 최북은 1786년 흥인문 밖 주막에서 쓸쓸히 죽어갔다. 


우타마로의 미인도.

우타마로의 미인도.

새 통신사행이 꾸려진 건 그로부터 25년이나 지난 1811년이었다. 같은 노론 시파의 동료 김이교(金履喬)가 통신사 정사로 임명되자 남공철은 오랜 세월 잊혀 있던 어떤 기억을 떠올렸다. 그는 김이교에게 하나오기 소식을 알아봐달라 부탁했다. 같은 해 늦봄 에도의 사신 숙소에 도착한 김이교는 요시와라 유곽으로 사람을 파견해 그녀의 행적을 수배했다. 80 노파가 됐을 그녀의 자취는 어디에도 없었다. 하나오기의 흔적이 발견된 건 뜻밖에도 귀국길에 우연히 들른 오사카 마쓰시마 유곽에서였다. 

유곽 주인의 설명에 따르자면 1780년대 말의 어느 날, 어머니의 유품을 찾겠다며 한 사내가 유곽을 찾았다고 했다. 그는 하나오기가 급히 떠나며 흘리고 간 애꾸눈의 조선화가 초상화를 집요하게 요구했다. 초상화는 유곽 창고 구석에서 발견됐는데, 하나오기의 아들을 자처한 그 인물은 비싼 값을 치르고 그림을 챙겨 떠났다. 

유곽 주인은 서랍을 뒤지더니 하나오기의 아들이 건넸다는 낡은 명함을 김이교에게 보여줬다. 명함에는 에도 최고의 풍속화가 기타가와 우타마로(喜多川歌麿)의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 유곽 주인은 김이교에게 이렇게 덧붙였다. 

“그 사람 어미가 죽기 전 유언을 남겼다더군요. 그림을 찾아오라 하기 전에.” 

이어서 유곽 주인이 천천히 속삭였다. 

“사랑이라면 도톤보리 운하에서.” 

귀국한 김이교는 이 기이한 이야기를 1748년 통신사행의 공식 화사이던 이성린의 손자 이수민(李壽民)에게 했다. 도화서 소속 화원이던 이수민은 우타마로가 이미 죽었으며 1790년대 후반 요시와라 유곽 유녀들의 초상화를 독특한 필법으로 그려 대성공한 채색도판 화가라고 설명해줬다.

우타마로에 끼친 영향

할아버지의 동료였던 최북에게 흥미를 느낀 이수민은 백방으로 노력해 마침내 최북의 초상화 사본을 입수했다. 그림 속 최북은 놀랍게 익살맞고 천박해 보였지만 인간미가 넘쳤다. 품위를 벗어던진 민화적 선법은 일반적인 조선 화원의 솜씨가 아니었으며 길게 왜곡된 얼굴 외의 묘사를 대담하게 생략한 특이한 화풍은 우타마로의 판화 기법과 흡사했다. 

초상화는 세월을 따라 돌고 돌다 19세기 중반 궁중화원 이한철(李漢喆)의 손에 들어갔다. 그는 평소 가깝게 모시던 흥선대원군에게 이 그림을 선물하며 자신의 서명을 살짝 적어 넣었는데, 언뜻 값싸게 보일 초상화에 생명력을 넣어줄 요량이었다. 그 덕분인지, 아니면 소녀의 첫사랑이 낳은 질긴 업보 탓인지 그림은 한 세기를 건너뛰며 끝내 살아남았다. 

만약 이상의 얘기가 진실이라면, 우타마로의 판화 기법은 우여곡절 끝에 파리 시절 빈센트 반 고흐의 ‘탕기 영감’에게까지 전해졌으니, 최북이 도톤보리 운하에서 그림의 운명에 대해 홀로 되뇌었던 의문은 무심히 떨어지던 벚꽃이 불러일으킨 철없는 기우에 지나지 않았으리라.

※ 이 글은 1747년 12월에서 1748년 7월에 걸쳐 이뤄진 조선통신사행을 토대로 한 팩션으로 사행 일정과 인물 모두 사실에 입각해 있다. 초상화의 행방과 관련해 글 후반에 등장하는 인물들 또한 역사적으로 실존했다. 최북의 생애는 남공철의 ‘최칠칠전’을 중심으로 재구성했는데, 그와 하나오기의 사랑 얘기는 허구이며 따라서 우타마로의 미인도와 최북을 연결한 것은 가설이다. 하나오기라는 이름은 우타마로의 판화에 등장하는 유녀 애칭에서 차용했다. 유녀들을 개성적으로 묘사해 유곽의 화가로도 불린 우타마로는 채색판화의 명인으로 179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활약하다 1806년 사망했다. 그의 출생지와 출생연도는 불명확하다. 우타마로의 미인도 연작은 우키요에(浮世畵)로 통칭된 다른 풍속화가들의 작품들과 더불어 유럽 수출용 도자기 덮개로 쓰이다가 우연히 파리 화가들에 의해 발견됐다. 이후 일본 판화에 대한 열광으로부터 비롯된 유럽 자포니즘(Japonism)은 19세기 인상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일본판화풍의 그림을 즐겨 그린 고흐는 ‘탕기 영감’ 배경에 우타마로의 그림을 배치함으로써 존경심을 표했다.


윤채근
● 1965년 충북 청주 출생
● 고려대 국어국문학 박사
● 단국대 한문교육학과 교수
● 저서 : ‘소설적 주체, 그 탄생과 전변’ ‘한문소설과 욕망의 구조’ ‘신화가 된 천재들’ ‘논어 감각’ ‘매일같이 명심보감’ 등




1/4
| 윤채근 단국대 교수
목록 닫기

조선 화가 최북傳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