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2월호

크리스천 황교안의 ‘사즉생’ 투쟁

“매번 ‘목숨 건다’ 했는데… 책임은 안 지고” “순교에 대한 열망, 운동권 벤치마킹”

  • reporterImage

    고재석 기자

    jayko@donga.com

    입력2020-01-20 14: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죽음 관련한 단어 빈번히 꺼내

    • 스스로 구원자로 여기는 ‘메시아주의’ 비판 초래

    • “총리 때 가뭄에 기도하니 비 내렸다” 간증 집회도

    • MB는 강남 대형교회 장로, 黃은 소수 침례교회 전도사

    • ‘막말’ ‘신성 모독’ 전광훈 유명 인사 되는 데 기여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지난해 11월 24일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 비닐 천막을 치고 자리에 누워 닷새째 단식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장승윤 동아일보 기자]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지난해 11월 24일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 비닐 천막을 치고 자리에 누워 닷새째 단식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장승윤 동아일보 기자]

    1979~90년 영국 총리를 지낸 마거릿 대처를 다룬 영화 ‘철의 여인(The Iron Lady · 2011)’에는 이런 대사가 나온다. 

    “생각을 조심해. 생각은 말이 되니까. 말을 조심해. 말은 행동이 되니까. 행동을 조심해. 행동은 습관이 되니까. 습관을 조심해. 습관은 인격이 되니까. 인격을 조심해. 인격은 운명이 되니까.” 

    여기, 반복해 ‘목숨 걸겠다’고 결연히 외치는 정치인이 있다. ‘결사항전’ ‘죽음에 맞서’ 따위의 단어가 그의 입을 배회한다. 날 선 말 속에 아군과 적군이 나뉘고, 심판 대상이 가시화한다. 거리에서 토해내는 사자후(獅子吼)에는 분노가 그득하다. 시대 배경과 발화의 주체를 지우고 나면 군부 정권에 맞서는 운동권 투사라고 여길지도 모르겠다. 2월 27일이면 제1야당의 당권을 거머쥔 지 1주년을 맞이하는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 얘기다. 


    100자당 한 번꼴로 死卽生 각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지난해 11월 22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 510자 안팎 짧은 글에 죽음과 관련한 단어가 다섯 차례 등장한다. [황교안 대표 페이스북 캡쳐]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지난해 11월 22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 510자 안팎 짧은 글에 죽음과 관련한 단어가 다섯 차례 등장한다. [황교안 대표 페이스북 캡쳐]

    시작은 출마선언문이었다. 2019년 1월 29일. 황교안 당시 전 국무총리는 자유한국당 당 대표 선거 출마를 선언하면서 “나라를 구하고 국민을 살리는 길이라면 제 한 목숨이라도 아낌없이 바치겠다”고 했다. 같은 해 4월 23일, 황 대표는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목숨을 걸고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싸우자”고 했다. 한국당을 제외한 여야 4당이 선거법·공수처법 등을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에 올리는 합의안을 모두 추인한 뒤다. 

    이로부터 약 3주 뒤인 5월 13일에는 경북 낙동강 구미보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저는 전쟁보다 평화를 사랑하는 사람이지만, 평화가 지켜질 수 없다면 전쟁할 수밖에 없다. 한국당이 이 정부의 폭정에 대해 반드시 목숨을 걸고 막아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역시 3주가 지난 같은 해 6월 4일에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피와 땀과 눈물을 흘리며 도전하고 또 도전하겠다. (중략) 국민을 위해 목숨을 걸고 반드시 성공으로 보답하겠다”고 썼다. 당 대표 취임 100일(2019년 6월 6일)을 앞두고 낸 성명이다. 



    그 뒤에는 구사하는 언어가 더 살벌해졌다. 황 대표는 지난해 11월 20일 ▲ 지소미아 파기 철회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포기 ▲ 공직선거법 개정안 포기 등 3대 조건을 요구하면서 전격적으로 단식에 돌입했다. 그러면서 “죽기를 각오하겠다”고 했다. 이틀 뒤인 11월 22일에는 페이스북에 510자(字) 안팎 짧은 글을 올렸다. 여기에는 “죽기를 각오했다” “사생결단할 수밖에 없다” “폭력에 죽음을 각오하고 맞서야 한다” “지켜야 할 가치를 잃은 삶은 죽음이기에 죽어서 사는 길을 갈 것이다” 등 죽음과 관련한 단어가 다섯 차례나 등장한다. 100자당 한번꼴로 ‘사즉생(死卽生)’의 각오를 다진 셈이다. 

    같은 해 12월 11일, 황 대표는 더불어민주당과 일부 야당이 전날 2020년도 예산안을 강행 처리하자 “결사항전의 각오로 맞서 싸워나가겠다” “정권의 폭정에 맞서 정말 목숨을 걸고 결연히 싸워나가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살벌한 그의 말을 두고는 비판이 적잖다. 대중 정치인의 언어와 멀찌감치 떨어져 있다는 이유에서다. 대선주자급 정치인들은 메시지를 담당하는 참모를 둔다. 그런데 죽음을 거론하는 황 대표의 메시지를 두고는 “훈련받은 참모의 언어가 아니다”(한국당 A 중진의원실 보좌관)라거나, “보수의 가치와 동떨어진 메시지”(한국당 B 중진의원실 비서관)라는 평이 당의 밑바닥에서부터 나온다. 

    여의도에서 공보 업무에 잔뼈가 굵은 장성철 공감과논쟁 정책센터 소장(전 새누리당 대표실 부실장)은 “‘목숨을 걸겠다’거나 ‘생명을 바치겠다’는 말은 정치인이 쉽게 내뱉어선 안 될 표현”이라면서 이렇게 꼬집었다. 

    “황 대표는 정치인의 말이 가진 무게감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그렇다면 목숨을 바쳐 패스트트랙 법안을 막아냈나? 그것도 아니다. 그러면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하는데, 책임도 안 진다. 말은 아주 세게 하는데 행동은 비겁한 것이다. 말의 성찬이다. 목숨 걸겠다고 결기를 보인 정치인이 그간에도 몇 있었지만, 황 대표처럼 결과물을 못 낸 사람은 처음인 것 같다. 아마추어다. 정치인으로 맞지 않는 옷을 입고 있다.”

    “황 대표가 메시아주의 비판 빌미 줘”

    황 대표의 말을 이해하기 위한 열쇠는 신앙이다. 잘 알려졌듯 황 대표는 독실한 크리스천이다. 이 때문에 그의 정신세계를 이해하는 데 종교를 빼놓을 수 없다. 황 대표는 사법연수원 교수 시절 서울 수도침례신학교를 야간으로 다니면서 신학을 전공했다. 검사로 재직할 당시에는 “부임하는 청마다 새로 신우회를 조직하거나, 이미 신우회가 만들어져 있는 곳에서는 함께 참여하여 직장복음화 활동을 펼쳐나가곤 했다”고 한다. 황 대표 본인이 법무부 정책기획단장으로 재직 중이던 2007년 7월 5일 ‘국민일보’에 쓴 ‘나는 왜 크리스천인가’에 담긴 내용이다. 

    2012년에는 ‘교회가 알아야 할 법 이야기’라는 저서를 출간하기도 했다. 이 책에서 그는 “헌법재판소가 주일에 공무원시험인 사법시험을 치르는 것이 합헌이라고 결정한 것은 유감”이라고 쓰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황 대표는 1월 1일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나라에 교회법 해설서 낸 사람은 나밖에 없다”면서 자부심을 드러냈다. 

    황 대표의 아내인 최지영 씨는 연세대 영문과를 졸업한 뒤 같은 대학 신학대학원에서 목회상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나사렛대에서 교수로 일했고, ‘위대한 유산’이라는 제목의 복음성가(CCM) 앨범을 내기도 했다. 

    이런 배경을 고려해 ‘목숨 건다’는 황 대표의 말을 되짚어보자. 한 개신교인은 이를 두고 “강력한 소명의식의 표현”이라고 해석했다. 즉 예수의 뜻에 따라 세상을 구해야 한다는 인식의 발로라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황 대표가 인식하는 반대 진영에는 ‘결사해 맞서야 할 악(惡)의 세력’이 섞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종의 선악 이분법이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그의 언어를 두고 스스로를 구원자, 순교자로 여기는 ‘메시아주의(messianism)’에 가깝다는 지적을 내놓는다. 장성철 소장은 “그간 황 대표가 써온 표현이 그런 비판(메시아주의)의 빌미를 줬다”고 평했다. 

    이택광 경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황 대표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핵은 기독교적 신앙심이다. 이것이 그가 가지고 있는 선악 이분법의 뿌리”라고 해석했다. 문화평론가이기도 한 이 교수는 ‘한국 사회의 근대성과 기독교’ 등의 논문을 통해 기독교의 정치성에 대해 탐구해 왔다. 그의 말이다.

    “이와 같은 세계관에서 빚어진 선악 이분법은 무조건 상대편 전체를 악으로 규정하는 게 아니다. 상대편에 특정한 위험 세력이 섞여 있고, 그와 같은 특정 소수 그룹을 용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신앙은 홀로 존재하는 독립변수가 아니다. 절대 명제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어서다. 이 교수는 “황 대표가 가진 절대 명제는 ‘국가 보안’, 즉 국가를 지킨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국가보안법’(2011) ‘국가보안법 해설’(1998) 등을 집필하며 ‘미스터 국보법’으로 불린 황 대표의 ‘공안검사’ 이력을 염두에 둔 설명이다.

    “기도를 시작했는데 2주 후 비가 내렸다”

    2015년 5월 24일 황교안 당시 국무총리 후보자가 서울 양천구 목동 성일교회를 찾아 예배를 보고 있다. [동아DB]

    2015년 5월 24일 황교안 당시 국무총리 후보자가 서울 양천구 목동 성일교회를 찾아 예배를 보고 있다. [동아DB]

    신앙의 관점에서 보자면 고난은 ‘열매’를 위해 견뎌야 할 시련이 된다. 황 대표는 청와대 앞에서 엿새째 단식 농성을 하던 지난해 11월 24일 페이스북에 “고통은 고마운 동반자다. 육신의 고통을 통해 나라의 고통을 떠올린다”고 썼다. 그는 공직 업무조차 종교적 의미로 해석한다. 다음은 황 대표가 2017년 10월 22일 경기 남양주시의 한 교회에서 열린 ‘간증 집회’에서 했다는 말이다. 

    “믿는 자는 고난을 이길 수 있다. 2013년 법무장관 후보자 당시 야당(현 더불어민주당)의 엄청난 공격에도 인사 청문 경과보고서가 채택됐다. 낙마 1호로 꼽혔는데, 기적 같은 일이 벌어진 것이다. 하나님의 은혜다. 법무장관 시절 성과도 거뒀다. 헌법재판소에 자유민주주의를 파괴하는 통합진보당 해산 청구 심판을 냈다. 결국 통진당은 해산됐다. 또 법률 혜택을 못 받는 주민을 위해 ‘마을 변호사’ 제도도 도입했다. 하나님이 의미 있는 열매를 주셨다.”(‘뉴스앤조이’ 2017년 10월 22일자, ‘“요셉 같은 총리” 황교안 간증 집회’) 

    황 대표는 이듬해 12월 9일 강원 춘천시의 한 교회에서 열린 간증 집회에서는 이런 말을 했다. 논란의 소지가 다분하다. 

    “2015년 국무총리로 있을 때 가뭄이 극심했다. 함께 동역하는 분들과 기도를 시작했는데 2주 후 비가 내렸다. 생명을 살리는 법안인 테러방지법과 북한인권법이 10여 년이 지나도 통과가 안 돼 기도를 시작했는데 두 달 후 통과가 된 일도 있었다.”(‘가스펠 투데이’ 2018년 12월 11일자, ‘황교안 전 국무총리, “대한민국, 하나님이 지켜주실 것”’) 

    일각에서는 황 대표가 개신교의 지원을 밑바탕 삼아 제2의 MB를 꿈꾸는 게 아니냐는 말도 돌았다.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에 따르면 한국에서 “교회는 네트워크 자본, 연줄 자본이라는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고 재생산할 수 있는 장소”(김진호 외, ‘권력과 교회’ 중)다. 정치인과 관련해 가장 주목받은 교회는 서울 강남의 대형 교회들이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충현교회를, 이명박 전 대통령은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에 있는 소망교회를 다녔다. 소망교회는 MB 정부의 인맥 산실로 주목받았다. 

    박근혜 정부 시절에는 서울 서초구에 있는 사랑의교회가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 대통령 본인은 교인이 아니지만 이 교회를 다니는 주요 인사들이 정부 요직에 등용돼서다. 세 교회 사이에는 위치(강남권)와 교인이 수만 명 대에 이르는 메가처치(mega church)라는 공통분모가 있다. 또 세 교회 공히 국내 최대 개신교 교단인 장로교에 속한다.

    “마이너한 종파일수록 신앙심으로 더 뭉쳐”

    하지만 황 대표가 걸어온 삶의 궤적은 서울 강남 대형 교회의 장로였던 김영삼 전 대통령이나 이명박 전 대통령과 뚜렷하게 구별된다. 그는 서울 목동에 있는 성일침례교회 성도다. 지금도 성일교회 홈페이지에는 황 대표가 전도사로 소개돼 있다. 미국에서는 남침례교(SBC)가 최대 교단이지만, 한국에서 침례교는 장로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수파다. 성일교회는 1970년 서울 마포구 아현동에서 시작해 1973년 마포구 공덕동, 1976년 중구 만리동을 거쳐 1978년에 목동으로 옮겼다. 황 대표는 만리동에 있는 봉래초등학교를 다닐 때 성일교회와 연을 맺었다. 성일교회의 규모는 앞선 ‘메가처치’에 비할 바가 아니다. 

    이택광 교수는 “소망교회 등은 강남 상류층 네트워크의 중심이기도 하다. 반면 황 대표가 다닌 교회의 경우 이와는 결이 다르다”면서 “마이너(minor)한 종파일수록 신앙심을 중심으로 더욱 더 뭉쳐 있다”고 설명했다. 

    다시 ‘철의 여인’으로 논의를 되돌려보자. 생각은 말이 되고, 말은 행동이 된다. 행동은 습관이 되고, 습관은 인격과 운명으로 이어진다. 황 대표의 ‘습관적 장외집회’ 역시 신앙의 틀 속에서 이해할 수도 있다. 황 대표의 인식대로라면 ‘죽음을 무릅쓴 거리 투쟁’이기 때문이다. 이택광 교수는 “순교에 대한 열망”이라면서 다소 길지만 흥미로운 설명을 덧붙였다. 

    “단식과 장외집회는 보수우파가 해왔던 행동이 아니다. 1980년대의 기시감이다. 당시 많은 학생이 자기 몸에 불붙이면서 희생을 했다. 보통 종교인들이 그렇지, 학생들이 그렇게 하진 않는다. 한국만의 특이한 사례다. 당시 학생운동 조직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게 개척교회다. 초기 운동권 가요 중에 찬송가 비슷한 게 많았다. 즉 (지금 보수의 행동은) 1980년대 벤치마킹이다. 상당수 보수 정치인의 큰 정치적 결손(缺損)은 민주화에 기여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문 정부는 보수가 결손을 메울 절호의 기회다. 역사적으로 보면 민주적 권위가 수세에 몰릴 때 독재적 수법을 쓰게 돼 있다. 이번 추미애 법무장관의 ‘검찰 인사’가 그런 경우다. 즉 문 정부를 상대로 민주주의를 외칠 수 있는 상황이 됐다. 이에 필요한 게 신념인데, 황 대표는 그걸 갖고 있다.” 

    문제는 황 대표의 발언과 행보가 극우의 연료로 활용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이 공간을 파고들어간 사람이 전광훈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대표회장이다. 그는 “문재인은 하나님이 폐기처분했다” “하나님, 까불면 나한테 죽어” 등 막말과 ‘신성 모독’ 논란으로 구설에 오른 바 있다. 전 목사는 개신교 안에서 ‘설교 잘하는 목사’로 불렸지만 극우 행보 탓에 주류에는 자리매김하지 못했던 인물이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10월 30일 (사)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이 개신교인 1000명과 비(非)개신교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19 주요 사회 현안에 대한 개신교인의 인식조사’에 따르면 개신교인 64.4%는 ‘전 목사가 한국 교회를 대표하지도 않고, 기독교 위상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22.2%는 우려를 표했다.

    홍준표조차 “종교적 신념으로 정치 보지 말라”

    그런 전 목사가 일약 유명 인사로 떠오르는 데 기여한 사람이 유력 대권주자인 황 대표다. 그는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이틀째 단식 중이던 지난해 12월 20일 전 목사가 꾸린 이른바 ‘광야교회’를 찾았다. 1월 1일에는 전 목사를 두고 “아이디어가 많고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아주 강한 분”이라고 평했다. 정치권에서는 황 대표의 대권가도에 하등 도움 될 게 없는 행보라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전 목사가 1월 2일 유튜브를 통해 “황 대표 측으로부터 앞으로 함께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주장했지만, 황 대표가 이를 공식 확인한 적은 없다. 

    이러자 황 대표의 전임인 홍준표 전 한국당 대표조차 1월 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황 대표가) 정치적 신념으로 정치하지 않고, 종교적 신념으로만 정치하면 정치가 제대로 된다고 아직도 생각하느냐”고 비판했다. [신동아 2월호]




    고재석 기자

    고재석 기자

    1986년 제주 출생. 학부에서 역사학, 정치학을 공부했고 대학원에서 영상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해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2015년 하반기에 상아탑 바깥으로 나와 기자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유통, 전자, 미디어업계와 재계를 취재하며 경제기자의 문법을 익혔습니다. 2018년 6월 동아일보에 입사해 신동아팀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후기 전대협+한총련 후배들은 공부를 더 안 했어요 [여의도 고수]

    이제는 민주당이 아니라 명주당 [여의도 고수]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