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2월호

숏컷으로 만든 멜로 “관객들을 쉼 없이 몰아쳐라”

은행나무 침대

  • 입력2011-11-22 11:5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숏컷으로 만든 멜로 “관객들을 쉼 없이 몰아쳐라”

    영화 ‘은행나무 침대’ 중에서

    1895년 뤼미에르 형제는 ‘시네마토그래프’를 발명했다. 동영상을 찍는 이 신기한 기계는 카메라의 기능 외에도 영사기의 기능을 갖춘 하나의 작은 ‘영화 공장’이었다. 뤼미에르 형제의 시네마토그래프는 에디슨의 ‘키네토스코프’보다 작고 가벼워서 들고 다니면서 촬영하기에 적합했고 다수의 사람이 동시에 관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같은 해 12월28일, 파리 중심가에 있는 ‘그랑카페’에 33명의 사람이 모여들었다. 1프랑의 입장료를 지불한 그들은 자신들이 역사적 현장에 있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한다. 실내에 불이 꺼지자 어둠 속 33인은 눈을 빛내며 기다린다. 이내 시네마토그래프에서 뿜어져 나온 빛이 허름한 카페 벽면을 비추자 빛이 만들어낸 놀라운 동영상에 사람들은 입을 다물지 못한다. 아기에게 밥을 먹이는 부부, 트럼프 놀이를 하는 사람들의 움직임이 고스란히 재연됐다. 이 놀라운 경험은 화면 속 기차가 자신들을 향해 돌진해오자 절정에 이른다.

    필름 길이 17m. 상영 시간 1분. ‘시오타역’에 기차가 도착하는 장면은 세계 최초의 영화가 된다. ‘원신-원컷(one scene-one cut)’으로 완성된 최초의 영화는 100년이 훨씬 지난 현재, 수백에서 수천 개의 ‘컷’으로 이루어진 영화로 발전했다.

    컷의 수는 종종 영화의 규모와 스케일을 보증하기도 하는데 2001년에 개봉한 김성수 감독의 영화 ‘무사’가 그 예다. 당시 최대 제작비 70억원이 투입되고 기획과 제작기간만 5년 넘게 소요된 ‘무사’는 완성된 영화의 컷 수가 4000개 이상이라고 알려졌다. 원래 김성수 감독은 속도감 넘치는 영화를 만들기로 유명한데 홍보사는 이 점을 부각하기 위해 ‘무사’의 컷 수를 홍보 문구로 활용해 영화의 속도감을 은근히 자랑했다. 하지만 숨 고를 틈도 없이 이야기가 전개돼, 관객들은 신중히 지켜봐야 할 멜로 감정이나 고향에 대한 향수가 쉽게 전달되지 않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속도에 감정을 얻기 위해서

    그리고 10년이 훌쩍 지난 지금, 4000개의 컷 수는 더 이상 홍보거리가 되지 못한다. 김용화 감독 영화 ‘국가대표’의 컷수는 5000개 이상이었고, 올 연말에 개봉할 강제규 감독 영화 ‘마이웨이’의 컷 수는 6800개를 넘어선다고 한다. 영화는 점점 더 빨라지고 관객들은 그 속도감에 익숙해졌으며, 창작자들은 속도감에 감정을 얹는 법을 터득했다.



    1996년 개봉된 ‘은행나무 침대’는 필자가 충무로 현장에서 연출팀으로 참가한 첫 번째 작품이다. 강제규 감독의 데뷔작 ‘은행나무 침대’는 시공간을 뛰어넘는 사랑 이야기로 한국 영화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판타지 장르였다. 전생과 환생을 통해 사랑과 질투의 진수를 보여준 이 작품은 석판화가 수현(한석규 분)이 꿈속에 본 오래된 침대를 사들이면서 시작된다. 알 수 없는 끌림에 침대를 구입했지만 그날부터 이상한 일들이 벌어진다. 전생의 기억이 떠오르기 시작하는 것.

    전생에 수현은 궁중악사 종문이었고 공주 미단(진희경 분)과 이룰 수 없는 사랑을 나누었다. 그러나 미단 공주를 사랑한 황장군(신현준 분)의 질투로 수현은 죽음을 맞고 미단과 함께 두 그루의 은행나무로 환생한다.

    평화로운 들판에 마주 서서 오랜 시간을 같이한 두 그루의 은행나무는 매로 환생한 황장군에 의해 또다시 저주를 받는다. 번개를 맞아 죽게 된 은행나무는 어느 목공에 의해 침대로 만들어지고 미단은 침대의 영혼이 된다. 천년의 시간 동안 연인을 찾아 헤매던 침대의 영혼 미단은 결국 석판화가로 환생한 수현을 만나게 된다. 그러나 질투의 화신 황장군의 집착은 미단과 수현의 만남을 허용하지 않는다.

    황장군의 위협으로부터 수현은 위기를 맞고 미단은 그를 구하기 위해 마지막 선택을 한다. 월식이 벌어지는 날 밤, 천년을 질주해온 수현과 미단은 마지막 만남을 갖는다. 그리고 미단은 불타는 침대 속으로 사라진다. 황장군은 불꽃이 되어버린 미단을 향해 절규하며 자신도 불 속으로 사라진다. 그리고 수현은 현세에서 이룰 수 없는 사랑을 안타까워한다.

    강제규 감독은 이 작품을 통해 기존 한국 영화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시도를 했다. 박헌수 감독의 영화 ‘구미호’ 이후 새로운 대안을 찾지 못한 컴퓨터 그래픽을 적극적으로 활용했고 긴박감 넘치는 카메라 워크와 빠른 컷 전환으로 마치 할리우드 대중 영화를 보는 듯한 박진감을 선보였다.

    당시의 기술력이 총동원된 ‘은행나무 침대’의 성공은 감독과 스태프들의 지칠 줄 모르는 열정이 있어 가능했다. 하지만 당시의 기술력은 스태프들의 열정을 만족시키지 못했다. 특히 아날로그 편집 시스템은 강제규 감독의 작품 성향을 충족시키기에 턱없이 부족했다. 감독은 짧은 숏 컷의 조합을 액션 장면 만드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일반적인 멜로 상황으로 확장하고자 했다. 숏 컷의 조합이 멜로 정서를 단절시키지 않고 오히려 상승시킬 수 있다고 확신했다.

    감독의 이러한 주장은 ‘은행나무 침대’에 고스란히 적용됐고 사용된 숏컷의 수는 기존의 한국 영화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많아졌다. 아날로그 방식이던 당시의 편집 시스템은 많은 수의 숏컷을 감당하기에 역부족이었다. 편집기사는 촬영된 필름에서 ‘OK 컷’을 선택한 후 잘라낸다. 이렇게 선택된 ‘OK 컷’들은 이야기 순서대로 붙여진다. 이후 감독은 편집기사와 구체적인 편집 계획을 세운다. 그리고 영화의 첫 컷부터 디테일하게 다듬기 시작한다.

    돋보기로 찾아야 하는 작은 컷

    편집에는 편집점이라는 것이 있는데 다음 컷과 붙일 가장 적절한 프레임(frame)을 찾는 것이다. 그 편집점이 바로 잘라질 부분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편집점’을 찾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 반복해서 볼 때마다 편집점이 달라진다. 편집점이 달라지면 편집기사는 이미 커팅되어 다음 컷에 붙여진 컷을 다시 떼어내고 잘려나간 수백, 또는 수십, 경우에 따라서는 몇 개의 프레임 조각을 찾아 이어 붙인다.

    기존 영화는 몇 백 개의 컷으로 이어지지만, 숏컷(짧은 컷)을 많이 사용하는 강제규 감독의 경우 워낙 반복적으로 수정하다보니 편집용 필름은 어느새 ‘걸레’가 된다. 당시 연출부였던 나는 편집실 골방에 앉아 감독이 원하는 필름 프레임 조각을 찾느라 제정신이 아니었다. 붙였다, 떼었다를 반복하고, 길게 했다 짧게 했다를 반복하면서 컷은 엄청난 양의 조각 필름을 양산해냈다. 나는 그것들을 찾기 쉽게 분류해 감독이 원할 때 재빨리 해당 컷을 찾아줬다. 심지어 돋보기로 손톱 크기만한 프레임 조각을 찾아야 할 때도 있었다.

    감독은 호주로 녹음 작업을 떠나며 나에게 극장용 예고편 편집을 맡겼다. 단, 숏컷을 많이 사용해 관객을 숨 쉴 틈 없이 몰아붙이라고 했다. 나는 또다시 편집실에 틀어박혔다. 자르고 붙이고 떼어내기를 반복, 기존 한국 영화 예고편의 두세 배에 달하는 컷 수로 예고편이 완성됐다.

    제작사 대표는 예고편을 보고 표정이 어두워졌다. 일반 관객들이 보기에 너무 빠르다는 우려였다. 하지만 나는 ‘감독의 지시’라고 우겼다. 그게 통용되는 시대였다. 남산의 한양녹음실로 달려갔다. 그리고 필름을 영사기에 걸었다. 숏컷으로 걸레가 된 필름 상태는 영사기를 놀라게 했고 기계는 섰다 가다를 반복했다. 우여곡절 끝에 예고편 녹음이 끝났다. 며칠 후 호주에서 돌아온 감독은 이미 극장에 걸린 예고편을 봤다.

    멀티플렉스가 없던 1996년 2월 어느 날, 영화 ‘은행나무 침대’는 서울 명보극장에서 개봉됐다. 관객들은 영화를 보기 위해 줄을 섰다. 통합전산망이 없던 시대라 감독과 우리는 매표소가 내려다보이는 커피숍에 앉아 길게 이어진 줄을 눈대중으로 확인했다.

    숏컷으로 만든 멜로 “관객들을 쉼 없이 몰아쳐라”
    田允秀

    1971년 서울생

    중앙대 영화학과 졸, 동 대학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석사

    2001년 영화 ‘베사메무쵸’ 각본·감독으로 데뷔

    영화 ‘파랑주의보’(2005), ‘식객’(2007),‘미인도’(2008) 각본·감독


    15년이 지났다. 필름이 사라진 자리에 디지털 카메라가 들어왔고, 편집실에 군림했던 덩치 큰 아날로그 편집 장비는 날씬한 컴퓨터에 자리를 내줬다. 손으로 필름을 만지는 수고 없이 마우스 조작만으로 다양한 편집적 시도를 할 수 있고, 극장에 나가지 않아도 예매율과 평점으로 관객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

    제작 환경이 변하며 영화의 흐름은 빨라졌고 관객은 빠른 영화에 빠르게 익숙해졌다. 하지만 모든 게 변해도 변하지 않는 한 가지. 그것은 극장 속 어둠을 지배하는 관객의 눈빛이다. 기술은 발전하고 정서는 풍부해져야 한다. 하지만 가끔은 15년 전 편집실의 필름 냄새가 그립다.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