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우리옷 전도사 박술녀의 ‘한복과 사람’ 이야기

한복 선물하니 옷값 보내온 장관, ‘협찬’ 즐기다 안면 싹 바꾼 장관…

우리옷 전도사 박술녀의 ‘한복과 사람’ 이야기

3/3
‘여사님’들의 한복 사랑

우리옷 전도사 박술녀의 ‘한복과 사람’ 이야기

7월 2일 한국해비타트 주최로 열린 박술녀 한복패션쇼에서 배우 박정수(왼쪽)와 산악인 엄홍길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육영수 여사는 한복에 잘 어울리는 올림머리로 깊은 인상을 남겼다. 다른 대통령 부인들도 한복 맵시를 종종 선보였다. 이승만 대통령 부인 프란체스카 여사와 김영삼 대통령의 부인 손명순 여사는 한복의 단아한 멋을, 김대중 대통령 부인 이희호 여사는 무궁화 자수를, 이명박 대통령 부인 김윤옥 여사는 한복의 은근한 아름다움을 좋아했다고 한다.

박 씨는 2002년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 후보 부인의 한복 맵시를 비교하는 여성지의 화보특집에 의상을 협찬한 적이 있다. 그 일로 한복 치수를 재려고 노무현 민주당 후보 부인 권양숙 여사,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 부인 한인옥 여사를 만났다. 정몽준 국민통합21 후보 부인 김영명 여사는 “그냥 집에 있는 한복을 입고 촬영하겠다”고 해서 만나지 못했다.

“권양숙 여사는 살림살이만큼이나 소박한 분이었어요. 가락지도 하나 없고 한복도 다 낡았더라고요. 두루마기도 하도 옛날 것이라 소매를 줄여드린 기억이 나요. 무엇보다 잊히지 않는 건 그날 먹은 칼국수 맛이에요. 한복 치수를 재러 아침 일찍 그댁엘 갔는데 마침 자녀들에게 먹이려고 칼국수를 끓이고 계셨어요. 칼국수 냄새가 하도 구수해서 ‘맛있겠다’고 했더니 권 여사가 아드님에게 ‘넌 나가서 먹어라, 이건 박 선생 드리게’ 하셨어요. 참 인간적인 모습이었어요.”

▼ 한인옥 여사는 어땠습니까.



“대통령후보 부인이니 얼마나 바빴겠어요. 그런 와중에도 저희 숍을 방문해 한복 색상을 직접 고르셨어요. 아마 상아색이었을 거예요. 한복에 굉장한 관심과 애정이 있는 분이었던 걸로 기억해요.”

그가 지은 한복을 좋아하는 단골 고객 중에는 정·재계 인사도 많다. 제 발로 찾아온 이도 있지만 정부 행사나 패션쇼가 인연을 맺어준 이도 있다. 박 씨는 그 가운데 한복 사랑을 제대로 실천한 인사로 A 전 장관, B 전 국회의원, C 전 검찰총장을 꼽았다.

정치인의 두 얼굴

“A 전 장관이 장관 재임 중 국경일 행사 때 입을 한복을 다급하게 빌리러 왔어요. 대통령이 그날 한복을 입으니까 참석하는 사람도 한복을 입어야 한다면서. 제가 짜증을 팍 냈죠. ‘연예인은 배역 때문에 한복 입을 일이 많아서 빌려준다. 안 빌려주면 한복이 잊힐까봐 빌려주는 건데, 장관님께서 이러시면 어떡하느냐’고. 그랬더니 ‘박 선생, 나 무서운 사람이야. 다른 사람들은 나한테 말도 못 붙이는데 박 선생은 할 말 다 하네’ 그러시더라고요. 좀 심하게 군 게 미안해서 나중에 한복을 지어 보내드렸더니 봉투에 옷값을 넣어 보내왔어요. 깜짝 놀랐죠.

C 전 검찰총장은 한복을 정말 사랑하세요. 한복엔 두루마기를 꼭 챙겨 입어야 한다고 하시는 분이죠. 또 B 전 의원은 활동이 한창 왕성할 때 부인과 한복 입고 찍은 사진을 연하장에 붙여서 지인들에게 보내시더라고요.

그런가 하면 얼마 안 되는 한복 대여료나 세탁비를 요구한다고 마음에 들어하지 않는 사람도 있어요. 자기 정도의 지위와 명성을 가진 사람은 한복을 거저 입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기는 사람도 있고.”

▼ 그런 사람이 많나요.

“한복을 만날 거저 입고도 고마워하기는커녕 나중에 장관이 되니까 안면 몰수하는 사람도 봤거든요. 장관이 되기 전에는 우리 한복을 자주 입었어요. 절대 사가진 않고 빌려갔죠. 전화로 한복을 갖다달라면 직접 들고 가서 입혀주고 그랬어요. 패션쇼를 하면 우리 한복을 입고 축사를 해주기로 했는데, 행사를 이틀 앞두고 손바닥 뒤집듯이 약속을 깨더라고요. ‘그런 데서 축사할 상황이 아니다’라면서. 그러더니 장관이 되고 나서는 안면을 싹 바꿨어요. 언제 봤냐는 식으로. 권력을 쥐면 사람이 변한다는 걸 실감했죠. 근데 변해도 너무 변하더라고요. 축사는 결국 B 전 국회의원이 대신 해줬어요.”

그는 B 전 의원과 C 전 검찰총장을 “따뜻하고 의리 있는 사람들”이라고 평가했다. 평가 기준을 묻자 그럴 만한 답이 돌아온다.

“C 검찰총장 부인이 딸을 시집보내면서 딸 한복은 우리 집에서 하고, 부부 한복은 다른 데서 하려 했더니 총장께서 이렇게 말했대요. ‘우리 집에 혼사 있는 것을 뻔히 아는데 당신이 다른 집 한복을 입으면 박 선생이 얼마나 서운하겠어. 우리가 앞으로 살면서 한복 입을 일이 몇 번이나 있다고!’ 그분들이 정말 저를 도와주는 분들이에요. 협찬은 절대 안 받으시죠.”

▼ 한복이 가장 잘 어울리는 정치인은 누구인 것 같습니까.

“여성 중에는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이 한복 맵시가 좋아요. 얼마 전 잡지 화보를 찍을 때 검은 치마에 하얀 모시저고리를 입혔는데 참 예쁘더라고요. 남성 중에는 정두언 새누리당 의원이 한복 입었을 때 모습이 아주 보기 좋았습니다.”

1980년대만 해도 추석이나 설을 쇠기에 앞서 한복을 손질하는 집이 많았다. 차례를 지낼 땐 한복을 입는 것이 관례였다. 여학교에서는 가정 시간에 한복 짓는 법과 동정 다는 법, 고름 매는 법을 가르쳤다. 지금은 보기 드문 풍경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한복은 점점 입기 불편하고 거추장스러운 옷으로 우리 삶에서 멀어져가고 있다. 박 씨의 우려처럼. 한복을 직접 짓진 못해도 멋스럽게 입는 법쯤은 배워두는 게 한복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가 아닐까 싶다.

Tip ·박술녀의 한복 멋내기

“여성은 속바지, 남성은 두루마기 챙겨 입어야”


박술녀 씨는 “요즘 여성들은 한복을 입을 때 속치마는 입는데 속바지를 챙겨 입을 줄 모른다”며 “속바지를 챙겨 입어야 맵시가 살아난다는 것을 잊지 말라”고 조언한다. 청바지 위에 바로 한복을 입는 젊은이도 있는데 이건 좀 심한 처사다. 양장도 속옷을 잘 입어야 겉으로 드러나는 실루엣이 아름답듯이 한복도 속옷을 제대로 갖춰 입어야 멋이 난다.

신발도 고무신이나 고무신에 가까운 모양의 신발을 신는 것이 전체적으로 조화롭다. 고름을 잘 매는 것도 중요하다. 고름은 앞섶을 여미는 구실도 하지만 장식 효과도 있다. 고름을 맬 때는 양쪽 고름이 매듭에서 적당한 길이로 나와 잘 펴지게 당겨주는 것이 좋다.

머리는 굳이 미용실까지 가서 하진 않더라도 목선이 드러나도록 살짝 동여매줘야 한다. 뒤로 묶는 게 좋다. 묶은 머리도 뒤통수의 위쪽으로 높이 올리는 것보다는 턱선에 가깝게 마무리해야 멋스럽다.

남자 한복은 저고리와 바지가 기본. 조끼는 서양 조끼를 한국에 접목한 것이고, 마고자는 조선시대 흥선대원군이 청나라로 유배를 다녀올 때 입고 온 옷이다. 박 씨는 “마고자를 우리 전통의상으로 오인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제는 그게 문화가 됐으니 입어도 무방하다”며 “다만 남성는 두루마기를 갖춰 입는 것이 예의에 맞다”고 귀띔했다.

“그러지 않고 바지저고리에 조끼와 마고자만 입고 다니는 것은 눈발이 휘날리는 날 하얀 와이셔츠 바람에 흰 바지만 입고 활보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옛날엔 한여름에도 모시 저고리에 모시 두루마기를 갖춰 입었다. 지금은 겨울에만 두루마기를 입는 걸로 알고 있지만, 개화기까지는 봄·가을에도 숙고사나 항라로 두루마기를 해 입었다.”

남성도 한복에 버선과 고무신을 갖춰 신으면 좋지만, 키가 커 보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니 구두를 신어도 괜찮다.


신동아 2013년 10월호

3/3
이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목록 닫기

우리옷 전도사 박술녀의 ‘한복과 사람’ 이야기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