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KT 노-사 유착 논란

“勞, 시혜 받고 使 구조조정 동의” (KT 일부 직원들)
“사실무근…문제 될 일 없다” (KT·노조)

KT 노-사 유착 논란

3/3
“2013년 이 회사 감사보고서를 보면, KT 직원과 회사가 매달 현금을 지급해 영업수익이 30억 원인데 영업이익에서 2억9700만 원 적자를 봤다. 이자수익 6억4500만 원으로 이 적자를 보전했다. 회원관리비로 1억3000만 원, 광고선전비로 9500만 원, 도서인쇄비로 5800만 원, 접대비로 1500만 원을 쓴 점에 대해서 ‘과다하게 쓴 것 아닌가’라는 의문이 들지만 이들 항목의 구체적 사용내역이나 근거자료를 공개하지 않는다.”

일부 직원들은 “회사가 외국인 주주를 우선적으로 지향하는 듯하다”고 말했다.

“적자를 이유로 대학생 자녀 학자금 지원제도까지 없애놓고는 외국인 주주 등에겐 1951억 원의 배당금을 줬다고 한다. KT는 민영화 이후 50%가 넘는 배당 수준을 보였으며 배당금으로 해외에 지급된 돈이 3조 원이 넘는 것으로 안다. 그사이 KT 직원은 6만1000명에서 2만4000명으로 줄었다. 또 우리 국민이 부담하는 통신요금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위 수준으로 높다. 일각에선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직원복지를 줄이는 대신 외국인 주주에게 배당금을 많이 주는 것은 회장 연임을 위해서일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그러나 과다 배당은 논란거리가 될 수 있어도 KT의 외국인 지분율이 50%에 육박하는 현실에서 외국인 주주에게 거액의 배당금이 지급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 아니냐는 반론도 나온다. 더욱이 배당금은 내국인, 외국인 주주에게 똑같은 비율로 지급되기에 외국인 주주에게 특혜를 줬다고 보긴 어렵다.

“노조 선거에 개입 못해”



‘신동아’는 이런 논란을 상세히 담은 A4 용지 6장 분량의 질의서를 KT 측과 정윤모 노조위원장에게 보내 답변을 요청했다. KT 측은 노조위원장 선거 당시 2번 후보 측 추천 서명 활동이 제한받았다는 주장에 대해 “사옥 규모와 근무 인원 등을 고려해 업무 분위기를 저해하지 않는 적정범위 내에서 출입을 허용했다. 다른 사옥 직원은 임시출입증을 발급받아야 하는 등 바로 못 들어간다. 그러면서 이의가 제기된 것 같다”고 밝혔다.

부서 관리자의 1번 투표 강요, 구석 찍기, 인증 촬영, 줄 투표, 투표소 확대 설치, 2번 후보 지지 성향 직원 기권 유도 논란에 대해선 “사실무근이다. 직원에게 그렇게 할 수 없다. 노조위원장 선거는 노조의 고유 업무로 회사는 전혀 개입할 수 없다”고 말했다. 사측이 선거에 관여했는지에 대해서도 “사실무근이다. 개입하는 것은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므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2번 후보 추천이나 투표 참관인 이력을 CP 등 직원 관리 리스트에 적어 관리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진위를 확인할 방법이 없는 일방적 주장이며 회사는 이러한 정보를 관리하지 않는다. CP 리스트는 본사에서 조직적으로 만든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온플랜과 관련해선 “그 회사의 수익구조에 대해선 아는 바가 없다”고 했다. 전임 노조위원장이 KT 수련원 관련 회사 회장이 된 것에 대해선 “그 회사는 계열사가 아니다. 그 회사 임원 인사에 관여하지 않을뿐더러 아는 사실도 없다”고 말했다.

노조가 대규모 구조조정과 직원복지 축소에 동의하는 등 어용노조 행보를 보인다는 주장에 대해 KT 측은 “노조는 자주적으로 조직돼 운영된다. 회사가 임의로 개입할 수 없다. 추가 감원 등 인위적 구조조정은 현재 계획된 바 없다”고 했다.

KT 측은 “2013년엔 주당 2000원 이상 배당 정책을 운영했으나 2014년 800원으로 축소했다. 배당수준 50%는 국내외 동종 기업 대비 높은 수준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정 위원장과 노조 측은 사측의 노조위원장 선거 개입 및 어용노조 의혹과 관련해 “답변하지 않겠다”고 했다.

“실수 있었지만 투명하게 운영”

다온플랜의 불투명한 경영 논란과 관련해 이 회사 관계자는 “관련 규정을 잘 몰라 실수로 2013년 이전엔 감사보고서 공시를 누락했다. 금감원의 지적을 받고 나서 2013년 공시했다”고 말했다. 또한 “회원관리비는 신규 회원을 유치하는 데 드는 선물비와 콜센터 운영비 등으로 사용됐다. 광고선전비는 KT 노보 광고 6회 및 KT 인터넷 사이트 광고에 썼는데 9500만 원이 과도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도서인쇄비는 팸플릿 제작 등에, 접대비는 협력사 관리 등에 썼다. 세부 내역을 밝히는 회사는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대표는 다온플랜에서 급여를 받지 않는다. 회원들에게 양질의 상조 서비스를 제공하며 투명하게 운영한다”고 말했다.

취재과정에서 노조를 상대로 반론을 취재하면 몇 시간 뒤 이 소식이 사측에 전해졌다. 사측은 기자에게 “기사가 나가면 여기에 등장하는 직원들을 상대로 소송을 검토하든지…”라고 말했다. 다온플랜 관계자는 “추측·과장 기사가 보도되면 다른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협박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신동아 2015년 2월호

3/3
허만섭 기자 | mshue@donga.com
목록 닫기

KT 노-사 유착 논란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