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법원 판결에도 부정선거 논란 수그러들지 않는 이유
1월 16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헌재) 탄핵심판 2차 변론 기일에 출석한 윤 대통령 측은 비상계엄 선포의 주된 배경에 ‘부정선거’가 있다며 비상계엄의 불가피성을 주장했다. 윤 대통령 대리인단 배진한 변호사는 이날 “부정…
구자홍 기자 2025년 02월 20일 -
‘보수 결집’에 웃는 與, ‘계엄 특수’ 없는 野
현대적 의미의 선거 여론조사는 18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때 처음 등장했다. 민주공화당 소속 두 후보 앤드루 잭슨과 존 퀸시 애덤스가 맞붙은 선거였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해리스버그의 한 지역 언론은 민심의 향방을 가늠하기 위해 …
이동수 청년정치크루 대표 2025년 02월 19일 -
이재명 오락가락 행보에 중도층 ‘응답 없음’
정당은 당원, 정체성, 대표로 이뤄진다. 당원은 일반 당원과 매월 1000∼2000원 안팎의 당비를 납부하는 진성당원으로 구분되는데 대체로 진성당원을 의미한다. 민주당에선 권리당원, 국민의힘에선 책임당원으로 불린다. 정체성은 특정 …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 2025년 02월 19일 -
헌법재판소서 맞붙은 尹 10대 의혹 vs 선관위 반박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이 부정선거 의혹을 다투는 장이 됐다. 법조계는 ‘계엄군 국회 투입’을 핵심 쟁점으로 전망했으나, 정작 법정에서는 ‘부정선거 검증’이 불붙었다. 도태우 변호사, 황교안 전 국무총리 등 이른바 ‘부정선거론계(界)…
최진렬 기자 2025년 02월 19일 -
[신동아 만평 '안마봉'] 2025년 관세의 씨를 뿌리는 트럼프
“오래지 않아 미국 산업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지어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전 예고한 대로 ‘관세포(砲)’를 쏘아 올리고 있다. 상대국의 ‘관세 보복’에는 “신경 안 쓴다”며 상호 관세를 꺼내 들었다. 상대국이 올…
황승경 문화칼럼니스트·예술학 박사 2025년 02월 18일 -
“尹과 ‘방휼지쟁(蚌鷸之爭)’ 이재명, 절대 대통령 못 돼”
홍준표 대구시장은 “좌우 갈등이 누적돼 양극단 대결 구조가 극적으로 표출된 게 계엄 사태”라며 “나라를 안정시키려면 좌우를 통합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계엄은 부적절했지만 불법은 아니다”라며 “야…
구자홍 기자 2025년 02월 18일 -
“자유세계 지도자들과 함께 평양에서 김정은 만나겠다”
문현진 글로벌피스재단(GPF) 의장은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역사학을 공부하고 하버드비즈니스스쿨(MBA)을 졸업했다. 종교학 석사이기도 하다. 국가대표 승마선수로 올림픽(1988 서울올림픽·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에 출전했다. 미국…
송홍근 기자 2025년 02월 17일 -
“어리다고? 체육 인생 35년…건강한 소통에 앞장서겠다”
누군가는 이변이라고 말한다. 또 누군가는 지금 필요한 변화를 가장 잘 이끌 리더라고 평가한다. 1월 14일 진행된 제42대 대한체육회장 선거에서 3연임을 노리던 이기흥 회장을 제치고 승리를 거머쥔 유승민(43) 전 대한탁구협회장을 …
김지영 기자 2025년 02월 17일 -
테슬라는 전기차 기업 아닌 ‘전기차 ETF’
2024년 미국 주식시장의 주인공은 누가 뭐래도 테슬라였다. 지난해 테슬라의 주가는 62.5% 상승하며 S&P500 지수(23.3%)를 크게 웃돌았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당선이 확정된 11월 6일 이후 주가가…
이주택 미국 럿거스대 로스쿨 교수 2025년 02월 16일 -
“국민은 ‘대통령으로서 이재명’ 고민 시작했다”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지지율이 30%대에 머물러서다. 12·3 계엄 선포에 이은 탄핵 정국은 야권 최고의 호재다. 하지만 야권 대표 대선주자인 이 대표의 지지율은 답보…
박세준 기자 2025년 02월 16일 -
세계시장도, 韓 시장도 ‘中 공습경보’
“Wake-up call.”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월 말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 Seek)’가 출시한 AI 플랫폼(정확히는 챗봇) ‘딥시크 R1’이 세계를 놀라게 한 것을 두고 이런 표현을 썼다. …
김형민 아시아경제 기자 2025년 02월 15일 -
트럼프 ‘관세 발언’, 협상법으로 치부하기엔 심각한 문제
“우리의 위대한 산업을 미국으로 되찾아올 때다. 우리는 제조업이 미국으로 돌아오기를 원한다. 이것은 수많은 조치 가운데 첫 단계다.”2월 1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한 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을 다시 위…
노정태 경제사회연구원 전문위원 2025년 02월 15일 -
[시마당] 벗어나기
주워지는 법을 알고 있는모양과 무늬그리고마음에 드는 것을 주우려는빛과 손그리고딱딱한 소라게가껍데기 없이도 딱딱한 소라게가오로지 원할 뿐인 패각을 입고어둠만을 밟으러 다니는 해안당신이 모른다면무엇을 마음에 들어 하는지당신 마음을 알지…
신이인 2025년 02월 14일 -
패스트 푸드식 ‘도생’ 공급… 빠르지만 시장 건강엔 나빠
대단지 조성이 어려운 도심 내 역세권 등에 청약통장 없이도 분양받을 수 있는 국민평형(30평형대) ‘도시형 생활주택’이 들어서게 된다. 비(非)아파트지만 수요가 높은 아파트를 닮은, 이른바 ‘아파트형 주택’이다.정부는 1월 21일…
김미리내 비즈워치 기자 2025년 02월 14일 -
“‘위법’ ‘불공정’ 투성이…헌재의 尹 탄핵심판을 탄핵해야”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주도로 국회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가결함으로써 헌법재판소(헌재)에서 탄핵심판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헌재의 탄핵심판 과정이 ‘위법’하고 ‘불공정’하게 진행돼 어떤 결과를 …
구자홍 기자 2025년 02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