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신동아-한길리서치 여론조사

高建출마’가 변수, 홍사덕 노무현 정동영 막상막하

大選가도의 변수 ‘서울시장선거’ 민심

  • 김기영 <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hades@donga.com

高建출마’가 변수, 홍사덕 노무현 정동영 막상막하

1/4
  • 대선 길목의 최대 접전이 될 서울시장 선거에 서서히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여야 모두 양보할 수 없는 지역. 아직은 뚜렷한 강자가 없는 상황에 한나라당 홍사덕, 민주당 고건, 노무현, 정동영씨 등이 강력한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고건(高建)서울시장의 지난해 하루 업무추진비(판공비)는 110만1369원이었다. 서울시장에게 배정된 한해 업무추진비는 모두 5억200만원. 고시장은 지난해 그 가운데 4억200만원을 사용했다. 배정된 예산을 다 썼을 경우 하루에 지출할 수 있는 가용 판공비는 137만5342원. 서울시장은 판공비 규모만으로도 만만치 않은 자리임을 알 수 있다.

서울시장은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자리다. 미래의 대통령을 꿈꾸는 정치인들이 한번쯤은 욕심을 내는 자리다.

현행 선거법 제34조는 ‘임기 만료 30일 전 이후의 첫째 목요일’을 선출직 공무원의 선거일로 규정하고 있다. 현행 선거법대로 지방선거가 치러질 경우 2002년 6월13일이 다음 서울시장 선거일이다. 2002년 12월에 가서야 대통령 선거가 치러질 예정이니까 타임테이블대로라면 그보다 여섯 달 앞서 전국은 또 한번 선거열기에 사로잡힐 전망이다.

그런데 웬일인지 지방선거에 대해서는 국민들은 물론, 정치권도 관심이 높지 않아 보인다. 대선이 차지하는 정치적 비중이 압도적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지방선거가 지금처럼 홀대받는 이유를 설명하기는 어렵다.

올해 들어 지방선거에 대해 논란다운 논란도 없었거니와 그나마 논쟁거리로 부상한 것도 “지방선거 시기가 월드컵 개최 시기와 겹치니 앞당기자”는 한나라당의 문제제기에 대해 민주당이 “굳이 그럴 것 없다. 월드컵대회를 이유로 지방선거 일정을 앞당기지는 않겠다. 법대로 하자”는 반론을 제기한 것이 전부다.



여야간에 지방선거 실시 시기를 두고 논쟁이 한창일 때 일각에서는 “월드컵 대회 기간에 지방선거를 치를 경우 자칫 우리 나라 축구가 16강에 들지 못하면 선거결과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서울이 대선 최대 변수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이번 지방선거 결과는 다가올 대선에 결정적 영향을 끼칠 중요한 정치행사가 될 전망이다. 특히 서울시장과 경기도지사 선거결과는 2002년 대선 결과와도 맞닿아 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첫째, 15대 대선과 마찬가지로 다가올 대통령 선거도 지역대결 양상으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다. 전라·경상·충청도 등 3남 지방의 경우 여야 후보에 대한 지역민들의 호불호(好不好)가 분명하게 드러난 상태. 지역간 표대결 구도가 심해질수록 수도권의 선택은 사실상 당락에 결정적 요인이 된다. 수도권의 자치단체장을 어느 당의 누가 맡느냐는 그래서 더더욱 중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민주당의 서울시장 후보가 누가 되느냐는 당내 대선후보 경선 결과에도 중대한 변화를 초래할 공산이 크다. 서울은 전통적으로 민주당의 텃밭이었다. 김대중 대통령은 자신이 나선 대부분의 선거에서 서울지역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민주당의 지지율이 답보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일부 여론조사에서는 대선후보 맞대결 결과 서울에서 이회창 한나라당총재의 지지율이 민주당 후보들보다 근소한 차이나마 앞서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들도 서울의 이상징후를 인정한다. 민주당 관계자들은 “일시적 현상일 뿐 서울 민심은 반드시 우리에게 돌아온다”고 장담은 하지만 초조한 기색이 역력하다. 민주당으로서는 ‘비상상황’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웬만한’ 후보로는 ‘서울 수성’을 장담할 수 없다는 위기감마저 감돌고 있다.

만약 민주당이 ‘서울 사수’를 목표로 거물급 인사를 시장 후보로 내세운다면, 그 거물급 인사는 최소한 민주당내 대권후보 가운데서도 ‘선두권’을 달리는 인물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선두권 인사 가운데 한 명이 서울시장에 출마할 경우, 당장 민주당내 대권경쟁의 판도가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

즉 ‘빅3’ 후보라 불리는 이인제 최고위원이나 노무현 전장관 김중권 대표 등 민주당의 차기주자로 부상하고 있는 인물 가운데 서울시장 출마자가 나올 경우 당내경선은 판짜기를 다시해야 할 정도로 어지러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경기도지사의 경우 한나라당 손학규 의원이 출마할 경우 마땅한 대항마(對抗馬)가 없다는 점이 민주당의 고민거리다. 경기도지사 선거만을 놓고 벌인 일부 여론조사 결과 손의원은 임창렬 경기도지사에 대해 압도적 우위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3월 중순 실시한 한길리서치의 경기도지사 선거 가상대결 결과 민주당 임창렬 지사가 28.0%에 그친 반면, 한나라당 손학규 의원은 50.9%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본설계

모집단: 2001년 4월 현재 서울거주 만 20세 이상 성인남녀

조사기간: 2001년 4월 12일~13일

표본크기: 500명

조사방법: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 4.4%

高建출마’가 변수, 홍사덕 노무현 정동영 막상막하


1/4
김기영 <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hades@donga.com
목록 닫기

高建출마’가 변수, 홍사덕 노무현 정동영 막상막하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