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리에 따르면 ‘사상의 자유시장’과 같은 존 스튜어트 밀의 이론은 태어나지 말았어야 한다. 그러나 돌아가는 상황은 밀의 말이 옳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어산지가 폭로했지만 세상이 특별히 더 위험에 빠졌다는 징후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사람들은 외교관들만큼이나 분별력 있게 그 정보들을 즐기고 이해하고 있을 뿐이다.
오히려 기자의 생각으로는 어산지는 한국, 북한, 중국 등 동아시아의 사람들에게 뜻하지 않은 크리스마스 선물을 안겼다고 본다.
어산지가 운영하는 위키리크스는 12월6일 “중국 공산당 최고 지도부는 중국 경제의 ‘파이(pie)’를 나눠 가진 이익 그룹들의 연합체”라는 주중 미대사관의 외교 전문을 공개했다. 이 문건은 중국 권력 내부 인사의 증언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었다.
한반도에 불어올 폭풍

위키리스크 설립자 어산지.
이 폭로는 세계의 어떠한 언론도 해내지 못하는 일이다. 중국 언론은 용기가 없어서, 한국이나 서구 언론은 정보접근 능력이 없어서 할 수 없다.
이 폭로는 중국인을 비롯한 세계인에게서 절대적 신뢰를 획득하고 있다. 왜냐하면 미국에 맞서 진실을 위해 싸우는 어산지가 보증하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이 폭로는 실로 충격적이어서 수십 년 만에 동아시아 사람들의 정신을 번쩍 들게 하는 일이다.
중국은 그간 언론자유를 억압하고 공산당 일당 독재를 중국식 사회주의라는 이름으로 민주주의와 등치시켜왔다. 이것은 중국 공산당 내에선 민주주의 선거제도에 필적하는 합리적인 국가지도자 선출방식이 작동하고 있다는 믿음, 이렇게 선출된 국가지도자는 윤리적이며 권력을 개인이 아닌 국가와 인민을 위해 사용한다는 믿음에 의해 정당화되어왔다. 그 대표적인 상징물이 바로 ‘평민 총리’ 원자바오다.
어산지의 폭로는 원자바오의 낡은 점퍼 주머니 속의 보석들을 들춰냄으로써 그의 ‘청렴 신화’를 허물고 있다. 어산지는 중국식 철인정치에 대한 믿음체계가 하나의 허구에 지나지 않고, 중국의 국가지도자는 더 위선적인 탐욕가이며, 현재의 중국식 일당 체제는 민주주의의 대안일 수 없는 짝퉁 이데올로기에 지나지 않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중국 공산당국은 인터넷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어산지의 폭로로부터 중국인들을 격리하려고 한다. 그러나 최고 권력자의 특권과 부패만큼 빨리 퍼지는 소문은 없다.

어산지의 폭로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 사실은 사람을 그릇된 미망에서 깨어나게 해준다. 탐욕스러운 정권에 금이 가도록 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중국과 나아가 한반도에 불어올 폭풍을 예고하는 미풍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