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연(金昇淵) 그룹 회장이 주거래은행인 한일은행과 임창열 당시 경제부총리를 찾아가 호소한 끝에 1998년 1월 어렵사리 3000억원의 협조융자를 얻어냈지만, 융자를 받은 후에도 자금사정은 좀체 나아지지 않았다. 한화에너지에 대한 수입신용장 개설이 이뤄지지 않고 매각추진 사실이 알려지자 원유공급사들은 현금 거래가 아니면 원유를 주지 않았다. 한화바스프우레탄 등 몇 개 기업을 팔았지만, 매각대금은 주력기업에 투자할 틈도 없이 단자사인 종금사 등에서 곧바로 회수해갔다.
한화는 협조융자를 받은 지 한 달 만에 다시 협조융자를 요청하는 지경에 이른다. 1차 협조융자를 받고도 자금 경색이 계속되자 화의 준비에 들어가기까지 했던 한화는 김승연 회장의 계열사 주식과 집문서 등 사재(私財)와 경영포기각서를 담보로 내놓고 2차 협조융자를 신청, 4420억원을 긴급 수혈받았다. 한화 관계자는 “당시 김대중 대통령 당선자가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소유주의 사재 출연을 요청한 이후, 실제로 재벌회장이 사재를 담보로 잡히고 기업 운영자금을 마련한 것은 김회장이 처음이었다”고 밝혔다.
한화는 협조융자를 얻는 대가로 금융권에 대대적인 기업 구조조정을 약속했다. 외형만 잔뜩 비대해진 한화는 설사 이런 약속이 없었다 해도 그룹을 살리기 위해 부실 계열사는 물론, 몇몇 전략업종 외에는 흑자사업이라도 손을 떼는 ‘선택과 집중’이 불가피했다. 김회장은 절친한 사이였던 삼미 김현철 회장, 동아 최원석 회장, 대농 박영일 회장 등의 오너들이 잇달아 부도를 내고 하루아침에 무너지자 구조조정 말고는 대안이 없음을 절감했다고 한다.
IMF체제 이후 한화는 ‘실험적’이라 할 만큼 다양한 유형의 구조조정을 실시했다. 대표적인 형태가 외국업체와 합작한 기업의 지분을 합작 파트너에게 매각한 경우다.
그 첫 케이스는 1997년 12월 한화바스프우레탄의 한화측 지분 50%를 합작법인인 독일 바스프사(社)에 매각한 것. 단열재, 합성피혁 등의 필수 재료인 MDI를 생산하는 한화바스프우레탄은 1996년에 매출 955억원, 당기순이익 87억원을 기록한 우량기업이었지만, 유동성 부족으로 그룹의 명운이 흔들리던 한화로선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마침 바스프는 아시아지역 사업전략에 따른 생산기지로써 한화바스프우레탄을 활용하려는 의사를 갖고 있었기에 매각협상은 빠른 속도로 진행됐다. 한화는 양해각서를 교환한 지 불과 2주일 만인 12월9일에 매각계약이 체결되자 곧장 계약서를 들고 은행으로 달려가 800억원을 차입, 위기를 넘겼다.
한화는 매각과정에서 환율변동을 이용해 260억원에 달하는 환차익까지 챙겼다. 당시 원화 가치가 연일 급락하자 한화는 국가간 거래에서 자국 화폐를 단위로 삼는 관례를 깨고 독일 화폐인 마르크화(1억2600만마르크)로 계약을 했는데, 12월9일 계약체결 당시 환율은 1마르크당 745.37원이었다. 하지만 매각대금이 입금된 12월19일에는 1마르크당 838.12원으로 올라 있었다. 이로 인해 117억원의 환차익이 발생했다.
또한 한화는 최악의 신용경색으로 금융권에서 선물환 거래를 꺼리는 상황에도 5개 금융기관을 통해 선물환을 거래, 바스프로부터 유입된 금액의 실제 환율을 1마르크당 951.22원까지 끌어올려 143억원의 환차익을 남겼다.
한화바스프우레탄처럼 경영을 같이 해온 외국 합작사에 지분을 매각할 경우 몇가지 이점이 있다. 바스프는 한화와 공동으로 이사회를 구성, 운영했기 때문에 회사의 현황과 가치를 속속들이 알고 있었다. 따라서 한화의 자금난을 기화로 헐값 인수를 시도하지도 않았고, 금융컨설팅이나 자산 실사작업도 생략해 협상을 신속하게 매듭지었다.
뿐만 아니라 이 회사에서 일하는 한화측 임직원의 업무능력을 신뢰, 계약서에 100% 고용승계를 명문화했다. 바스프는 오히려 한술 더 떠 한화측 임직원이 지분매각 이후 한화로 복귀하는 것을 우려해 이를 계약일 6개월 전까지 소급해 막는 조항까지 넣었다.
한화는 한화바스프우레탄 외에도 한화NSK정밀, 한화GKN, SKF한화자동차부품 등의 합작법인 지분을 해외 합작사에 매각했다.
한화NSK정밀은 일본 NSK와 한화기계가 합작해 세운 초정밀 볼 베어링 회사로 연 24억원의 적자를 보고 있었다. 1998년 1월 한화는 지분의 50%를, 액면가의 두 배인 200억원을 일시불로 받고 매각했다. 이와 함께 한화NSK정밀에 대한 한화 계열사의 지급보증 402억원도 해제됐다. 아울러 직원 270여 명의 고용안정도 보장됐으며, 한화기계와 NSK는 매각 후에도 기술교류와 제품거래 등 협력관계를 지속하기로 했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