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쇳물을 쏟아내고 있는 포항제철소의 고로
지난 7월3일은 포스코의 고로(포항 1기)가 그 첫 쇳물을 토해낸 지 꼭 30년이 되는 날이었다. 이날 경북 포항제철소에서는 박태준 명예회장, 이구택 회장, 1기 설비 참여 근로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포항제철소 역사관 개관식이 열렸다. 국내 최초로 용광로에 불을 지핀 화입봉과 초기 근무복, 부실공사로 폭파된 포항 3고로의 콘크리트 파편 등 대한민국 ‘철의 역사’를 보여주는 물품 600여 점이 전시됐다.
포스코의 역사는 곧 한국 산업화의 역사이며 그 뿌리를 든든히 떠받쳐온 노동의 역사이기도 하다. 영일만 모래펄의 맨주먹 신화가 두고두고 우리에게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그 속에 ‘생존을 위한 근대화’를 향한 전(前) 세대의 강렬한 열망과 고투가 서려 있기 때문일 것이다.
대일청구권 자금으로 시작
포스코 이전 우리나라에는 철강산업이란 것이 사실상 전무했다. 제선(쇳물 만들기), 제강(강철 만들기), 압연(금속가공) 시설을 갖춘 몇몇 군소업체가 있었으나 거의 가동이 중단된 상태였다. 전후 복구사업으로 철강재 수요가 급증하자, 정부는 일관(종합)제철소 건설을 위한 각종 계획을 수립하기에 이르렀다.
첫 시도는 1958년 자유당 말기에 있었다. 강원도 양양에 종합제철을 지으려 했지만 외자 도입 실패와 4·19 등 정국 혼란으로 인해 무산됐다. 민주당 정부 또한 대한중공업을 사업주체로 해 동해안에 제철소 건설을 계획했으나 역시 실패했다.

연 1580만t의 생산체제를 갖춘 광양제철소
이때 뜻하지 않은 돌파구가 마련됐다. 농업지원분야에 사용키로 돼 있던 대일청구권 자금을 전용하고, 일본으로부터 차관과 기술을 제공받기로 한 것이다. 1970년 4월1일, 마침내 포항 1기 설비가 착공됐다.
제철소 건설은 제품을 생산하는 순서에 따라 제선공장, 제강공장, 압연공장, 열연공장의 순으로 건설하는 것이 상례다. 이를 포워드(Forward) 방식이라 한다. 그러나 포스코는 역으로 열연공장부터 건설하는 백워드(Backward) 방식을 택했다. 압연·제강 공장은 생산공정이 짧아 이를 먼저 완성하면, 외국으로부터 반제품을 수입해 완제품을 만들어 공장 건설에 재투자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한 것이었다.
이러한 계획에 따라 포스코는 1기 총 22개 공장설비 가운데 1972년 7월 중후판공장을 준공하고 같은 해 10월 열연공장을 준공했다. 그리고 1973년 6월9일, 우리나라 최초의 용광로를 준공해 첫 쇳물을 생산했다. 같은 달 19일 분괴공장과 강편공장을 준공함으로써 제선·제강·압연·지원 등 총 22개 공장 및 설비로 구성된 종합제철 일관공정을 모두 완성할 수 있었다. 그리고 1973년 7월3일, 마침내 포항제철소에서 포항 1기 설비의 종합준공식을 가졌다. 연인원 581만명, 경부고속도로 건설비용의 3배에 해당하는 1205억원의 자금을 쏟아 부은 결과물이었다.
이후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2~4기, 광양제철소 1~4기, 광양 5고로 증설 등 30여 년 동안 끊임없이 설비를 확장해 왔다. 1기 준공 원년 44만9000t이던 조강 생산량은 올해 2800만t으로 늘어났으며, 2005년에는 3000만t 시대를 열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