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단독공개

서해 NLL 인근 북한군 기지 위성사진

총 전력 60% 전진배치 ‘2분 거리’ 비행장 격납고 지하화 완료

  • 황일도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shamora@donga.com

서해 NLL 인근 북한군 기지 위성사진

2/3
옹진반도 8전대 전진기지

역시 8전대 소속인 옹진반도 안쪽의 전진기지(위 전경사진)는 NLL 해상과 직선으로 연결되는 최단거리 지점(북위 37.54.3。, 동경 125.14.4。)에 자리하고 있다. 뭍 위에 고속정 9척이 올라와 있는 이 특이한 형태(사진①)의 시설은 유사시 위쪽의 레일에 얹어 고속정을 바다에 내리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절벽이 많은 해안에서 접안시설 구축 없이 최단시간 안에 출동하기 위한 고육지책인 셈. 2005년 3월 촬영된 사진이다.

서해 NLL 인근 북한군 기지 위성사진
서해 NLL 인근 북한군 기지 위성사진
태탄비행장

NLL에서 가장 가까운 공군기지인 태탄비행장(바로 위 전경사진)은 북위 38.07.5。, 동경 125.14.4。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백령도까지 직선거리로 30km 남짓. 2005년 3월 촬영된 이 사진에서는 유도로 남쪽의 계류장에 MIG-21기로 추정되는 항공기 10여 대가 늘어선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사진①). 활주로는 열악한 경제상황을 반영하 듯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쳤음에도 수미터 크기의 웅덩이가 보이는 등 상태가 좋지 않다(사진②). 비행장 남서쪽에는 유도로로 연결된 지하 격납고 입구가 보인다(사진③). 800m가량 떨어진 지점에 이와 연결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하시설 유도로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이 봉우리 전체가 지하화된 격납고임을 알 수 있다.

서해 NLL 인근 북한군 기지 위성사진
서해 NLL 인근 북한군 기지 위성사진
초도 9전대 기지



남포만 앞바다 초도에 자리한 9전대 기지는 북위 38.29.5。, 동경 124.52.2。 지점에 해당한다(바로 위 전경사진). 본 섬에 사령부 건물과 연병장 등 전대 시설이 있고(사진①) 작은 섬과 이를 연결하는 방파제를 구축해 접안시설로 활용하고 있다. 접안시설의 남쪽 끝에는 경구축함과 경비함이 출동태세를 갖춘 채 대기 중이고(사진②), 항구 안쪽에는 어뢰정과 유도탄정이 무리 지어 있다(사진③). 2006년 9월 촬영된 사진이다.

서해 NLL 인근 북한군 기지 위성사진
서해 NLL 인근 북한군 기지 위성사진


2/3
황일도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shamora@donga.com
목록 닫기

서해 NLL 인근 북한군 기지 위성사진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