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중국 인민들의 진짜 목소리 ‘저 낮은 중국’

중국 인민들의 진짜 목소리 ‘저 낮은 중국’

1/2
중국 인민들의 진짜 목소리 ‘저 낮은 중국’

‘저 낮은 중국’ 라오웨이(老威) 지음, 이향중 옮김/퍼슨웹 기획, 이가서 펴냄/374쪽/2만3000원

“이런 시대에 시를 쓴다면 나는 비열한 놈이다.”

브레히트의 ‘서정시를 쓰기 힘든 시대’를 연상시키는 이 말은, 중국의 시인 라오웨이가 뱉은 말이다. 이 무슨 소리인가. 전세계가 경탄과 두려움의 눈으로 바라보고 있는 중국에서, 어느 때보다도 화려하게 용의 비천을 꿈꾸고 있는 중국에서, 마오쩌둥(毛澤東) 시대의 독재와 가난에서 벗어나 인민들이 등 따습고 배부르게 살게 된 중국에서, 이 무슨 이상한 발언인가.

여기 이 ‘찬란한 발전’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중국 인민의 목소리가 있다. 하나가 아니라 여럿인 그 목소리는 소리 높여 어떤 주장을 하지도 않고 현재 자신의 남루한 삶을 과거 독재자의 탓으로 돌리며 원망하지도 않는다. 그저 하늘을 보며 조용히 뇌까린다. “이놈의 비, 열흘을 줄창 내리네, 아주. 지겨워 죽겠어. 내일은 어쩌려나? 씨바, 누가 알겠어.”

유명한 시인이었던 저자 라오웨이(老威, 본명 랴오이우·廖亦武)는 1989년 천안문사건에 항의하는 시를 발표하고 관련 영화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4년형을 살았다. 출옥해 보니 처자식은 모두 떠났고, 먹고 살기 위해 그는 술집에서 악기를 연주해야 했다. 그러나 라오웨이는 거리의 악사로 살면서도 계속 책을 펴낸다. 1999년 나온 두 권의 책은 “중국의 다른 모습, 소수가 아닌 다수의 중국을 보여줬다”는 호평을 받았지만 그는 또다시 체포되고 책은 몰수당했다.

비루한 영혼의 기록



쫓기고 몰리고 술집에서 악기 연주로 끼니를 때우며 10여년을 보낸 라오웨이는, 그 힘겨운 시간 동안 만난 사람들과의 이야기를 2001년 책으로 펴낸다. 제목은 ‘중국저층방담록(中國底層訪談錄)’. 밑바닥 사람들과의 이야기를 기록했다는 뜻이다. 이 밑바닥에는 그 자신도 들어가 있다.

적나라한 인터뷰를 통해 무명(無名)의 인민들을 생생하게 살려낸 이 책은 ‘중국언론사상 기적’이라는 평과 함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베이징에서 개최된 논평회에서 한 베이징대 교수는 상기된 표정으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민간의 목소리는 결코 완전히 누를 수 없다. 왜냐하면 잔혹한 생활이 모든 것을 빼앗아가더라도, 혀가 남아 있는 한 그들은 말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반응은 정부의 심기를 자극할 수밖에 없었다. 유력한 주간지 ‘남방주말(南方週末)’은 라오웨이와 유명 언론인 루위에강의 인터뷰를 실은 죄로 편집부 인원이 대거 인사이동 조치당했다. 물론 라오웨이의 책은 판금됐다. 문제의 인터뷰에서 루위에강은 라오웨이에게 “당신은 인간의 영혼을 기록한 것이다. 비루하고 적나라하고 위선적인, 그러나 분명히 사회역사의 뿌리를 이루는 그 살아 있는 영혼 말이다”고 말한다.

‘저 낮은 중국’은 인터뷰 60개 중 16개를 골라 번역한 책이다.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는데, 개혁개방이 만들어낸 주변인들(인신매매범, 불법 인력거꾼, 가라오케 아가씨, 마약중독 시인 등), 평범한 생활인들(철거민, 공중변소 관리인, 시체 미용사 등), 정치운동의 희생양들(늙은 홍위병, 지주 할아버지, 우파(右派) 등)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이야기는 서로 일치하지도 않고 특별한 논리도 없다. 그저 자신이 어떻게 살아왔고 무엇을 하며 살고 있는지를 말할 뿐이다. 하지만 그들의 목소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거대한 역사의 소용돌이가 개인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이해되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시골에서 처녀들을 데려다가 유흥업소 등에 팔아 돈을 버는 첸구이바오(錢貴寶)는 ‘사회의 쓰레기’라는 비난에 발끈하면서 말한다. “덩샤오핑(鄧小平)이 개혁개방을 했지만, 누가 산골동네에 가서 투자를 하나? 자기가 직접 나가서 개혁개방을 할 수밖에 없어. 이건 자구책이야, 자구책!”

공산당원이었다가 현재의 부인에게서 난생 처음 계급하고는 상관없는 강렬한 감정을 느끼고서, 우파요 악질분자로 몰리는 위험을 무릅쓰고 부인을 택한 펑중츠(馮中慈)는 말한다. “가난한 사람이 혁명을 하려는 건 밥 먹고 옷 입고 마누라하고 애를 가지기 위해서 아닌가. 영화에서는 ‘누구누구는 인민이 키운 아이다’라고 하지. 인민의 젖꼭지는 대체 어떻게 생겼는데? 나는 모르겠네. 큰 이야기일수록 믿을 게 못 돼.”

이런 밑바닥 사람들의 목소리에서 개혁개방이니 문화대혁명이니 하는 역사적 사건들은 너무나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공중변소 관리인인 저우밍구이(周明貴)에게 있어 문화대혁명 시절은, 똥을 훔쳐가는 사람들에게 “똥 훔치는 건 수정주의자들처럼 자기 이익만 챙기는 거다. 수정주의와 투쟁하자”고 외치던 다소 우스꽝스런 기억으로 남아있다.

1/2
글: 장정아 인천대 교수·중국학 jachang@incheon.ac.kr
목록 닫기

중국 인민들의 진짜 목소리 ‘저 낮은 중국’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