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가족이 살았음을 말해주는 안채 옆 장독대. 담장 너머 사랑채가 보인다.

① 집안 가양주인 죽주. 죽순이 딱딱해질 무렵 담근다. 새콤달콤한 맛이 일품.<br>②③ 한때 생활 무대의 주인공이었다가 지금은 퇴역한 각종 유물들.
청초 우거진 골에 자난다 누었난다홍안은 어디두고 백골만 묻혔난다잔 잡아 권할 이 업스니 그를 슬허하노라.
요즘에야 낭만적이고 멋있게 보일 수도 있는 일이지만, 당시 사대부와 기생의 신분 관계에선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더군다나 그가 정서적으로 서인에 가까웠기에 동인들의 시빗거리가 되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어쨌거나 그는 이후 정치에 혐오를 느끼고 39세로 타계할 때까지 전국 산천을 주유하며 주옥 같은 시 1000여 수를 토해냈다.
조선 중기 영남지방이 퇴계(退溪)와 남명(南冥)을 중심으로 한 학문적 분위기였다면 호남에선 송순, 정철, 윤선도 등 기라성 같은 문장가들이 중앙정계에서 한 발짝 물러나 음풍농월하며 시가문학을 꽃피웠다. 임제는 호남시단에서도 그만의 독특한 세계를 갖고 있었는데, 정치를 멀리하고 산천을 떠돌면서 얻은 풍부한 감성과 호방함이 시에 담겼기 때문일 것이다. 다음은 그의 감성을 보여주는 일화.
임제가 어릴 적 밤 늦도록 집에 들어오지 않아 동네 사람들이 횃불을 들고 찾아나섰다. 외진 개울가를 헤맨 끝에 그를 찾았는데 영문을 묻자 소년은 까만 눈망울로 하늘을 쳐다보며 이렇게 중얼거렸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