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타게 수잔을 찾아서(desperately seeking susan)’. 미국의 여성 감독 수잔 세이들먼이 연출한 영화다. 주인공은 뉴저지주의 ‘정숙한’ 주부 로버타(로잔나 아퀘트)와 애틀랜타에 사는 ‘헤픈’ 여자 수잔(마돈나). 어느날 지루한 일상에 지친 로버타는 신문에서 ‘애타게 수잔을 찾습니다’라는 광고를 보고 강한 호기심을 느낀다. 수잔을 찾아나선 로버타는 정말 그녀를 만나고, 일련의 소동 끝에 자신을 수잔이라 착각하는 지경에 이른다. 로버타와 수잔, 수잔과 로버타. 전혀 다른 삶을 살아온 두 여성은 우여곡절을 겪으며 마침내 ‘한몸’이 된다. 자아찾기의 끝, 이들은 서로의 모습에서 자기 내부에 숨어 있던 ‘또 하나의 나’를 발견하는 데 성공한다.
한몸, 혹은 한정신이 품고 있는 극단의 두 성향. 대개의 사람이 그중 하나를 자신의 얼굴로 선택해 살아가는 건 그 편이 훨씬 수월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간혹 우리는 둘 중 어느 하나도 포기함이 없이, 그리하여 일견 모순되고 맥락 없어 보이지만 그 자체로서 실존이요 완성인 압도적 인간을 만난다. 물론 거기에는 그를 단지 자아분열적 인간으로 폄훼할 수만은 없게 만드는 강렬한 재능, 자존감, 치열성이 있다. 누가 뭐래도 ‘그 자신’인 존재 앞에서 사람들은 종종 분노나 당혹감, 혹은 끝 모를 찬탄의 염을 느낀다. 도올() 김용옥(金容沃·53)은 우리에게 바로 그런 사람이다.
지난 두 주일, 애타게 그를 찾았다. 도올을 찾아나선 길에 만난 것은 늙고 어리며, 천재(天才)이자 천재(賤才)이고, 스승인 한편 학생이며, 투사인 동시에 간부(奸夫)이자, 열정 그 자체이면서 철인(哲人)인 수많은 얼굴, 얼굴들이었다. 더욱 놀라운 것은 도올이 그중 어느 하나도 애써 숨김없이 모두 ‘나’임을 드러내놓고 산다는 점이었다.
그 역설과 모순이 만들어내는 혼돈의 아우라 속에 분명 그가 있을 것이었다. 진면목(眞面目)이 있을 것이었다. 애타게 도올을 찾아서, 인간의 마을을 헤매이다….
人의 장막, 매스컴의 장막
대중(大衆)은 도올을 어떻게 만나는가. 이전의 그는 ‘글’이었다. 40여 권에 달하는 저서와 각종 기고를 통해 그는 비교적 소수의 지식인들과 얼굴을 마주했다.
오늘날의 도올은 ‘몸’이다. TV 속에서 그는 온몸으로 전국민에게 육박한다. TV는 ‘몸의 철학’을 주창하는 그가 찾아낸 최고의 소통 도구이자 ‘천재성’의 탈출구다. 그는 일찍이 저서 ‘여자란 무엇인가’에서 천재성이란 ‘천재를 천재답게 만드는 것, 자기의 살아 있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표출할 수 있는 용기’라고 정의했다.
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굴에 들어가야 한다. 도올을 잡으려면 도올 코앞에서 쌈을 걸어야 한다. 그러나 그의 주변에는 바리케이드가 쳐 있다. 인(人)의 장막이요 매스컴의 장막이다. 장벽을 사이에 두고 만나는 그가 ‘인간 김용옥’의 모든 것일 수는 없다. 애초 한 인간의 모든 것을 알아버리겠다고 덤비는 것 자체가 하느님 앞에서 우주를 논하는 것처럼 본데없고 성공 불가능한 작업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러니 어쩌겠는가. 사람의 눈으로 본 사람, 김용옥을 이야기할 밖에.
도올을 이해하려면 자(子)가 아니라 컴퍼스를 들이대야 한다. 도올이 도달해 있는 최고치의 무엇, 그것이 지식이건 철학이건 열정이건, 그 절정의 것에 초점을 맞춰 크고 둥근 원을 그려야 한다. 뜻밖에도 그가 지닌 그 많은 ‘얼굴’은 모두 한 원 안에 살고 있는 존재의 나사 같은 것들인지도 모른다.
감성·고집·탐구욕·집중력
도식적이지만 사람 얘기를 풀어가는 데는 아무래도 편년체가 제격이다. 도올은 48년 충남 천안에서 태어났다. 4남2녀 중 막내였는데 장형 김용준 박사(金容駿·74)와는 21세, 형제 중 넷째인 누이 김숙희 전 교육부장관(金淑喜·64·재임기간 93년 12월~95년 5월)과는 11살 차이가 난다. 김용준 박사에 따르면 도올은 “어머니가 오래 병을 앓다 38세 무렵 어렵게 본 막내”, 그러니까 늦둥이다. 노산에 난산이 겹쳐 겸자를 써 겨우 ‘끄집어냈다’. 조금은 특이한 눈매도 “노산 탓”이라는 것이 집안 사람들의 중론이다.
아버지 김치수씨(金致洙·작고)는 천안에 두개밖에 없는 병원 중 하나인 광제의원 원장이었다. 아버지는 아들이 ‘용돈을 달라고 병원 문을 열고 들어가면 그때마다 병자들이 들락날락하는 병원 문고리를 만졌다고 간호원에게 손을 소독수로 씻게’ 할만큼 철저한 분이었다. 한편으론 ‘퍽이나 취미가 없는 무미한 사람’으로 ‘개화문물을 무척 좋아했다’. 엄하지는 않아 자녀들에게 매를 든 적은 한 번도 없었다고 한다. 반면 어머니 홍희남 여사(洪喜男·91)는 대단히 엄격했다. 자녀들이 잘못하면 가차없이 회초리를 들었다. 도올의 부모는 모두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다. 도올 역시 태어나서부터 ‘하나님의 자녀’로 양육 받았다.
“나는 어려서부터 머리는 좋지 않았으나 탐구력이 강했다. 그리고 매우 섬세한 감성과 탁월한 손재주의 소유자였다. 나는 홀로 있기를 좋아했으며 작은 일에 아픔을 감지하는 일이 많아 눈물이 특히 많았다. 지나가다가도 풀 한 포기가 이상하게 눈에 띄면 그것에 대한 궁금증이 풀릴 때까지 쭈그리고 앉아 시간가는 줄 몰랐고 혼자 어두운 골방에 하루종일 앉아 생각하느라 배고픈 줄을 몰랐다.”
도올이 말하는 자신의 어린 시절이다.
어머니 홍여사도 “용옥이는 고집이 셌다. 길 가다가도 뭔가 궁금한 것이 있으면 묻고 대답이 나올 때까지 움직이지 앉았다”고 회상한 적이 있다. 고집, 집중력, 탐구욕, 탁월한 감성. 이 네 가지는 도올의 타고난 유산인 셈이다.
아버지가 의사인만큼 도올은 유복한 가정에서 자랐다. 일주일에 한번은 온 가족이 시발택시를 대절해 온양온천으로 목욕 나들이를 갔다. 온양온천 관광호텔에 가족탕을 두 개쯤 세내 푸근하게 씻고 돌아왔다. 도올은 한 수필에서 “당대 이러한 풍광은 사실 지극히 귀족적인 것이었다”고 술회하고 있다.
그의 온양나들이는 ‘귀족적 습관’을 넘어 놀이로 이어졌다. 동년배들과 버스를 타고 가족탕이 아닌 공동목욕탕 나들이를 자주도 했던 것이다. 물론 그 비용은 대강 도올이 부담했다.
그렇다 해도 사실 도올에게 ‘귀족적 취향’은 생애를 두고 이어온 습속이다. 어쩌면 막걸리를 즐겨 마실 듯한 도올이 자주 찾는 술은 조니워커블랙이라고 한다. 또한 그의 미식 취향은 유명한 것이어서 저잣거리에서 파는 ‘기가 다 빠진 주꾸미’ 따위로는 도저히 만족하지 못한다. 그렇다고 무조건 비싼 음식만 찾아다니는 것은 아니다. 인공조미료가 들어 있지 않은, 그만의 독특한 ‘최고의 심미적 경지’를 만족시키는 음식이어야 한다. 그래서 그에게는 자주 찾는 식당, 술집이 따로 있다.
그의 ‘취향’은 완고한 것이어서 때로는 집착으로 화하기도 한다. ‘은귀이개 분실사건’이 대표적 예다.
지난해 4월경, 연세대 중문과 교수인 아내 최영애 박사(崔玲愛·55)가 도올이 40여 년 간 간직해온 은귀이개를 잃어버리는 ‘대사건’이 발생한다. 맘에 드는 것이면 작은 물건이라도 귀히 간직하는, 그래서 고등학교 때 쓰던 필통을 아직도 쓰는 그로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순은으로 만든 귀이개는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것이었다. 도올 부부는 그 귀이개를 이용, 아이들의 귓밥을 파주곤 했다. 그런데 최교수가 그걸 내다 쓰고는 늘 두던 자리에 갖다놓지 않은 바람에 잃어버리고 만 것이다. 부부는 꼬박 사흘 동안 집안을 뒤지고 또 뒤졌지만 끝내 물건을 찾을 수 없었다. 맘이 상한 도올은 친구인 가수 조영남에게 전화를 걸어 아프고 안타까운 마음을 호소했다.
도올은 자신이 운영하는 도올서원의 간행물 ‘도올고신(故新)’에 쓴 수필 ‘삼십여년일순간(三十餘年一瞬間)’에 당시의 참담한 심경을 이렇게 적고 있다.
“지금도 그때 생각만 하면 통곡의 눈물이 쏟아져 나올 지경이다. 자연히 우리 둘 사이의 싸움은 프로이드 이론으로 귀착되고 말았다. 나는 아내가 나의 사랑하는 ‘은귀지’를 분실한 것이,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나에 대한 사랑과 유념의 정이 희박해진 의식의 사태를 반영하는 중대한 사건이라고 휘몰아쳤다. 아내는 논박의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 나는 참으로 악랄한 남편이었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