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시장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hTC의 구글폰 넥서스원.
급성장 이후의 시장 판도
현재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대수는 500만대에 육박한다. 2009년 11월 아이폰 출시 후 1년여 만에 무려 10배 이상 성장한 것이다. 스마트폰이 이처럼 급속하게 보급되면서 가장 큰 이득을 보는 산업, 기업은 어디일까.
우선 스마트폰을 제조하는 애플, 삼성전자, hTC, RIM(블랙베리) 등이 큰 혜택을 입고 있다. 스마트폰이 휴대전화보다 수익률이 훨씬 더 높은 효자상품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뒤늦게 휴대전화 시장에 진출한 애플은 아이폰 하나로 대박을 터뜨리며 단숨에 세계 휴대전화 시장 5위로 올라섰다. 삼성전자의 휴대전화사업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올리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스마트폰을 판매하는 SKT, KT 등의 통신사들이 큰 수혜자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매달 통신사에 지급하는 비용은 기존 휴대전화보다 적게는 2배, 많게는 3배 이상 많다. 스마트폰으로는 통화만 하는 것이 아니라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료를 그만큼 더 내야 한다.
이처럼 스마트폰이 모바일 시장에 불을 붙이면서 제조사와 통신사가 막대한 수익을 거두고 있다. 과연 앞으로도 이러한 성장은 계속될까. 이를 전망하려면 과거 PC 기반의 웹 시장을 돌이켜보면 된다. 컴퓨터와 인터넷이 빠르게 성장하던 인터넷 시장 진입기에도 역시 컴퓨터를 만들던 제조사와 인터넷을 제공하는 통신사가 큰 수익을 올렸다. 하지만 시장이 진입기를 지나 성숙기에 접어들면 수익률은 급감하게 마련이다. 컴퓨터 시장과 초고속 인터넷 시장은 이제 더 이상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아니다.
모바일 시장도 마찬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스마트폰 보급대수가 2000만대를 넘어가면 시장은 급성장기를 지나 완만한 성장을 하다가 안정기로 접어들 것이다. 2011년 6월 이전에 1000만대가 보급되고 하반기엔 적어도 1500만대, 많게는 2000만대에 접어들면서 시장은 완만한 성장세를 보일 것이다.

연 매출 1조원 시대를 연 네이버.
다음은 한메일과 카페를 기반으로 성장했고, 네이버는 검색과 한게임으로 성장했다. 한메일, 카페, 검색, 게임 그리고 블로그 등이 바로 인터넷의 킬러앱이다. 사용자가 가장 많이, 자주, 오래 사용하는 서비스들이 킬러앱이다. 모바일에서도 킬러앱을 지배하는 기업이 서비스 시장을 평정할 것이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어떤 모바일 서비스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지 주의 깊게 살펴보고 그러한 서비스에 투자하는 것이 미래 부가가치를 극대화하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