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신경병리학자 양기화의 ‘광우병 사태’ 500일 기록

“이념과 과학을 혼동한 학자들과 ‘PD수첩’떠올리면 지금도 기가 막힌다”

신경병리학자 양기화의 ‘광우병 사태’ 500일 기록

1/8
  • 그는 “뭔가 잘못 돌아가고 있다”고 혼자서 중얼거리지 않았다. ‘PD수첩’ 명예훼손 소송 재판정에도 섰다. 이념과 과학이 뒤엉킨 진흙탕 싸움판에서 상처 입은 ‘의사 양기화’의 광우병 사태 참전기.
신경병리학자 양기화의 ‘광우병 사태’ 500일 기록
“아니라고 말하기는 쉽다. 그러나 ‘예’라고 하려면 땀을 흘리고 팔을 걷어붙여야 한다. 비록 그 말이 죽음을 뜻하더라도 아니라고 하기는 쉽다. 아니라고 하면 조용히 앉아 기다리기만 하면 된다. 살아가면서 죽기만 기다리면 된다. 이것이 비겁한 자의 역할이다.”

양기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위원(56·의학박사)은 가톨릭대 의대 다닐 적 연극동아리에서 조명을 들었다. 본과 1학년 때 공연한 작품 ‘안티고네’의 한 대목이 지금도 생생하다. 극중 크레온의 대사가 가슴패기를 때렸다.

크레온은 국법을 어긴 안티고네를 옥에 가둔 뒤 죽이라고 명하면서 “아니라고 말하기는 쉽다”고 말한다. 안티고네는 조카이면서 아들의 약혼녀. 대중이 인륜을 앞세워 사면을 요구했는데도 크레온은 이렇게 결론짓는다.

“멋대로 법을 어기거나 왜곡하는 이는 내 집안사람이라도 용서할 수 없다. 지도자는 사소한 문제라도 그것이 옳든, 심지어 옳지 않든 국법에 복종해야 한다.”

신탁(神託)을 받아 나중에 조카를 석방하겠다는 게 크레온의 속셈이었으나 안티고네는 감옥에서 목을 매 목숨을 끊는다. ‘안티고네’는 이름난 그리스 비극.



폭풍 속으로

그는 크레온처럼 행동했다. “뭔가 크게 잘못됐다”고 숨어서 중얼거리지 않았다. 나서서 뭔가를 해야 했다.

 “정부가 잘못했다고 비판하기는 쉬웠습니다. 하지만 분위기가 ‘예’라고 말하긴 어려운 상황이었어요. 욕먹을 걸 뻔히 알았지만 ‘그래도 지구는 돈다’는 과학적 사실을 전하고 싶었습니다.”

2008년 여름, 그는 폭풍 속으로 들어갔다. 뭇사람에 맞서 “정부 말이 옳다”고 했다. 진보가 뭔지, 보수가 뭔지도 잘 몰랐다. 그저 팔을 걷어붙이고 과학과 이념의 혼돈을 정리하려고 했다.

“폭풍 속으로 휘말렸어요. 솔직히 광풍을 예상하지는 못했습니다.”

폭풍은 상처를 남겼다. 악성 덧글이 그의 블로그를 도배했다.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는 무서웠다.

“길 가다 칼 맞는 수 있으니 가면 쓰고 다니라.”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다니던 직장에서도 잘렸다. 6개월을 집에서 놀았다. 의대생인 차남도 “미국산 쇠고기 먹어도 되느냐?” “아버지가 틀린 것 아니냐?”고 물었다.

“아들 녀석 둘이 모두 의대를 다녀요. 큰애는 정치 성향이 없어요. 둘째는 ‘보수적 진보’라고 스스로 말할 만큼 사회 문제에 관심이 많아요. 그 녀석하곤 몇 번 붙었죠. 결국은 과학으로 설득했습니다.”

야화(野火)가 광화문을 점령했다. MBC ‘PD수첩’이 불을 질렀다. 뿔난 민심은 ‘명박산성’ 앞에서 외쳤다.

“너나 먹어라.”

그는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일했다. 2008년 5월2일 농림수산식품부, 보건복지가족부가 정부종합청사에서 마련한 ‘끝장토론회’자리에 앉으면서 폭풍 속으로 들어갔다. 4월부터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의 광우병 관련 자문에 응하던 터였다. 5월7일엔 국회 청문회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미국산 쇠고기가 안전하다”고 말했다. 조인스닷컴 블로그(‘눈초의 블로그’)에 광우병 공포의 오류를 밝히는 글도 썼다.

“인터넷 괴담에 휩쓸린 사람들에게 전문가로서 진실을 알렸어요. 전문가 아닌 사람이 전문가로 행세하면서 턱없는 얘기가 나돌았거든요.”

1/8
이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목록 닫기

신경병리학자 양기화의 ‘광우병 사태’ 500일 기록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