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제주도 올레길 사건, 통영 아동 살해 사건 등 굵직한 사건들이 연일 발생하는 가운데 이런 조사 결과는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어느 정도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치안에 대한 불안, 사법기관에 대한 불신 등이 함께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 사회적 약자 대상 성범죄 양형 기준

성범죄는 특성상 범죄자에 대한 관리와 재발 방지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민은 2·3차 피해를 막기 위한 차원에서 더 강한 법으로 성범죄자를 다스릴 것을 주문했다. 성범죄자에 대한 인권보장보다 재발 방지를 선택한 셈이다.
■ 심신미약으로 인한 감형 판결

범죄에 대해선 어떤 상황에서든 그에 맞는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뜻이다. ‘처벌 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던 조사 결과로 볼 때, 현행 처벌 수위가 낮다는 판단이 심신미약으로 인한 감형은 더더욱 안 된다는 주장으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 아동·여성 대상 성범죄 소식 접할 때의 느낌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성범죄와 강력범죄 사건이 연일 언론 지면을 뒤덮는 상황에서 본인뿐 아니라 가족, 지인들이 언제 어떻게 범죄의 표적이 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엄습한 것이다.
■ [성범죄자 알림e] 확인 경험

범죄의 양형 기준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범죄 예방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비하는 태도는 다소 미약한 것으로 분석된다. 성범죄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관련 부처의 꾸준한 홍보와 국민의 관심을 유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