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미다 나가요시(住田良能) 주필
―산케이는 중국을 반대하고 대만을 지지하는 것 같다.
“많은 사람들이 산케이가 ‘친(親)대만 반(反)중국’ 노선을 걷는다고 말하고 싶어하는데, 그렇지 않다. 산케이는 좋은 것은 좋고 나쁜 것은 나쁘다고 말하고 싶어할 뿐이다. 대만은 선거로 정부를 구성하는 자유민주 국가고 중국은 일당독재 국가니, 어디가 좋은지는 자명할 것 아닌가. 산케이는 중국과 친하게 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중국이 대만지국 폐쇄를 조건으로 베이징지국 재개를 제의했을 때 산케이는 이를 따르지 않았다. 언론 보도기관에 대해 다른 사람이나 기관이 이래라 저래라 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이 산케이의 의지다.”
―산케이가 다른 언론과 차별화 전략을 펼쳤음에도 판매 부수가 5위인 것은 무슨 이유인가.
“그러나 산케이는 일본 국민에게 산케이가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데는 성공했다. 그 결과 오사카에서는 아사히를 이기고 2위로 부상했다. 일본 국민들에게 산케이의 존재를 심어준 점은 판매부수가 늘어나는 것보다 중요하다. 산케이는 일본 지식인을 움직여 왔다고 자부한다.”
―산케이는 북한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반면 군사독재를 펼친 한국의 박정희 대통령에 대해서는 좋게 평가하는 것 같다.
“북한에 비판적이지 않은 사람이 있는가? 한국은 자유로이 갈 수 있는 나라지만 북한은 그렇지 않다. 과거 박정희 대통령이 펼친 방법이 혐오감을 줄 수는 있어도 그는 한국에 발전을 가져왔다. 현재의 가치관으로 박정희 대통령과 북한을 같은 위치에 놓고 비교하는 것은 옳지 않다.”
―전두환 정부는 어떻게 평가하는가.
“전두환 정부의 탄생 배경과 광주사태 등과 관련해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있어 뭐라고 말하기 어렵다. 하지만 일본의 안전보장을 위해서는 한반도의 안정이 소중하다고 생각한다. … (이어 요시다 논설위원장이 답변) 전두환 정권이 들어섰을 때 우리는 과연 일본의 안전이 보장될까 매우 불안해했다. 그래서 나카소네 총리 시절 45억 달러를 지원했는데 그것이 좋은 결과를 낳았다. 전두환 정부가 단임을 실천하고 올림픽을 유치한 것은 잘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빚고 있는 센카쿠 제도에 대한 산케이의 의견은 무엇인가.
“일본의 고유 영토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영유권 분쟁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풀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과 마찰을 빚고 있는 독도 영유권 분쟁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 질문에는 답하고 싶지 않다. 그 문제를 거론하는 것은 한·일 양국에 득이 되지 않는다. 다만 독도 문제가 불거질 때 한국 국민들이 보여주는 행동력만큼은 매우 부럽다.”
―산케이가 아사히 비판에 열심인 것은 무슨 이유인가. 1994년 TV아사히의 보도국장이 자민당을 지지하라고 지시한 것을 밝혀내 맹공을 퍼부은 것도 산케이였다.
“전후 언론자유와 인권이 신장된 데는 우리도 대찬성한다. 그러나 일본의 전통적인 가치관을 무조건 배격하는 데는 반대한다. 일본 고유의 가치관과 전후에 들어온 새로운 가치관을 균형 맞춰 계승하는 것이 중요하다.
TV아사히의 국장 발언 건에 대한 산케이의 보도는 다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신문은 읽고 싶은 사람들이 돈을 내고 사보는 것이기 때문에 자기 논조를 드러내도 되지만, 전파는 전국민이 공유하는 것이라 편파적이어서는 안 된다고 방송법 등은 규정하고 있다. TV아사히 국장은 이러한 원칙을 깼기 때문에 산케이가 비판한 것이다. 그러나 만약 정부가 TV아사히에 대해 ‘그런 말(자민당을 지지하라)을 하지 말라’고 간섭했다면, 산케이는 정부를 비판했을 것이다. 방송 매체가 공정성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부가 언론에 개입하는 것도 옳지 않기 때문이다.”
―고이즈미 총리는 집단자위권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아주 당연한 주장이다. 일본은 보통국가가 되어야 한다.”
―맥아더 군정 때 제정한 일본의 평화헌법 개정에 대해서는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가.
“평화헌법, 평화헌법 하는데, 일본에는 평화헌법이라는 것은 없고 일본국 헌법만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하자. 많은 사람들은 일본의 교전권을 부인한 헌법 9조만 거론하는데, 9조가 일본국 헌법의 전부는 아니다. 일본이 새로운 시대에 대응하려면 헌법일지라도 고칠 것은 고치고 뺄 것은 빼야 한다. 9조가 국제사회에서 공헌하려는 일본을 제약한다면, 그리고 일본의 안전보장을 위해 필요하다면 고쳐야 한다.”
―산케이 산하의 후소샤가 역사교과서 출판에 관여한 것은 무슨 이유인가.
“후소샤는 후지-산케이 그룹사 중 하나지, 산케이 산하가 아니다. 그 문제는 후소샤에 물어보라. 우리는 현재의 일본 역사교과서에 잘못된 것이 있다는 데는 같은 의견을 갖고 있다고만 말할 수 있다.
이는 중국에 대한 침략전쟁과 한국에 대한 식민지배를 미화하려는 것이 아니다. 중국과 한국을 침략하고 지배한 것에 대해서 깊이 반성하고 미안하게 생각한다. 다만 일본의 역사교과서는 메이지 이후의 일본 역사를 어둡게 기술해 왔다. 2차 세계대전 때 일본은 나쁘고 외국은 다 잘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시대 환경과 내부 상황이라는 것이 있다. 역사에는 빛도 있고 그림자도 있다. 이러한 것을 균형 있게 기술해서 후손에게 넘겨주자는 것이 우리의 주장이다.
예를 들어 45년 8월 초(구체적으로 소련의 對일전 참전 등이 거론된 포츠담 선언이 있은 후)를 살펴보자. 이때 일본은 미국과 전쟁을 벌이고 있었는데, 이 전쟁은 국익과 국익이 맞부딪친 전쟁이었다. 반면 중국과의 전쟁은 침략전쟁이었기에 우리는 잘못됐다고 시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소련과의 전쟁은 우리가 침략한 것이 아니라 소련이 침략해서 일어난 전쟁이다. 당시 일본은 소련과 불가침조약을 맺고 있었는데, 소련은 이를 깨고 일본을 공격했다(그 결과 구나시리 등 북방 4개 섬까지 불법으로 가져갔다). 이렇게 여러 가지 상황이 있으니 이를 균형 있고 객관적으로 기술해 후세에게 전달하자는 것이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