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이 사람의 삶

상처를 보석으로 만든 영적 트레이너 ‘들꽃피는 마을’ 김현수 목사

“지도자와 낙오자는 ‘한끝’ 차이죠”

  • 글: 김서령 자유기고가 psyche325@hanmail.net

상처를 보석으로 만든 영적 트레이너 ‘들꽃피는 마을’ 김현수 목사

1/7
  • 도둑질과 환각제 흡입을 일삼던 가출 청소년들을 제 자식처럼 거둬 보듬은 사람. ‘다친 마음이 다친 마음을 품어줄 수 있다’는 믿음이 상처받은 아이들을 당당한 인격체로 길러냈다.
  • 그가 꾸려가는 공동체엔 낮은 데로 임하는 교감의 향기가 들꽃처럼 번지고 있었다.
상처를 보석으로 만든 영적 트레이너 ‘들꽃피는 마을’ 김현수 목사
‘들꽃피는 마을’은 들꽃이 피는 벌판에 자리잡은 동네가 아니다. ‘들꽃피는 학교’는 교실에 들꽃을 꽂아둔 학교가 아니다. 경기도 안산시 외곽 와동의 자그만 벽돌건물, 이곳 2층이 학교고 3층은 마을이다. 거기 있는 아이들 하나하나가 들에서 피어난 꽃이란 얘기다. 들꽃피는 마을과 학교는 소위 말하는 가출청소년의 집이다. 대안가정이고 대안학교다. 저마다의 사정으로 집을 나온 아이들이 거기 모여 함께 살고 함께 공부한다. 방학인 데도 교실 컴퓨터 앞엔 아이들 대여섯이 싱그럽게 장난을 치며 놀고 있었다. 거기서 그 마을을 ‘창조’해낸 김현수 목사를 만났다. 반쯤 희어진 짧은 머리, 칼칼하나 따스한 눈, 맑은 웃음, 잰 걸음. 이런 묘사는 암만 해봤자 수박 겉핥기다. 수줍고도 열렬하게 자기 삶을 토로하는 그를, 아이들과 함께 땀흘려가며 맛있게 상추쌈을 먹는 그를, 지도자와 낙오자란 한끝 차이에 불과하며 상처가 재산인 것을 발견해내는 힘이 신성이라고 말하는 그를, 내가 엉성한 말의 그물로 포박해낼 수 있을까.

평범과 위대가 둘이 아니란 것쯤이야 나도 안다. 하지만 그가 아무리 목사라 한들 어찌 그리 기운찬 일을 시작했을까. 제 발밑만, 제 가족만 껴안고 사는 보통사람의 삶을 뿌리치고 나선 힘의 근원이 도대체 뭘까. 삶의 질, 그 최고 단계가 뭔지 그는 이미 ‘정답을 알고 있는 사람’이다. 고난에 처한 이웃과 아픔을 나누는 마음 안에 강렬한 만족이 있더라는 생의 비밀을 스스로 찾아냈다.

그를 만나고 돌아오는 길, 내 입에 뱅뱅 도는 시가 있었다. 장돌뱅이 사생아로 자라 그 상처의 힘으로 글을 쓰는 송기원, 그의 시 ‘교감’을 함께 읽으면 들꽃피는 마을에서 내가 느낀 눈부심이 설명될까. 김 목사의 본질을 포착하는 촘촘한 그물이 되어줄까.

터진 입술이 터진 입술을 더듬어마침내 검붉은 멍과 멍끼리 엉키면눈부셔라

밤새 하얗게 지붕을 덮은 눈!



“다친 마음만이 다친 마음을 품어줄 수가 있어요. 영적 지도자란 다른 게 아닙니다. 다른 사람의 상처를 껴안을 수 있는 힘을 가진 사람이에요. 자신의 눈물과 고통을 극복해낸 사람만이 다른 사람의 눈물과 고통을 이해하고 치료해줄 수가 있거든요. 그러니 우리 들꽃피는 마을 아이들의 상처는 그 자체가 개인적 재산이고 동시에 사회적 재산이에요. 제각기 그걸 성찰해서 깨닫고 발견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나와 우리 선생님들이 할 일이지요. 방치되지 않고 사랑으로 극복된 상처는 힘으로 변합니다. 사회도 우리 아이들을 ‘깨달은 자’로 귀히 여길 줄 알아야 해요. 그럴 때 우리 아이들은 세상을 고치는 영적 트레이너가 될 수 있어요. 그런 날이 꼭 올 거라고 믿습니다.”

나는 은연중 송기원의 시가 김현수 목사가 한 이 말의 다른 버전이라고 생각한 모양이다.

교회로 찾아든 거리의 아이들

그의 교회에 거리의 아이들이 찾아온 건 지금부터 10년 전 여름이다. 올 여름처럼 그 여름도 열대야가 계속되어 연일 숨이 턱턱 막히게 더웠다. 새벽기도를 나간 목사 부부의 코에 악취가 진동했다. 교회에서 운영중인 공부방에 열두셋 나이의 아이 여덟 명이 뒤엉켜 자고 있었다. 더럽고 꾀죄죄한 옷, 걸레 같은 양말, 다 떨어진 운동화. 냄새의 진원지는 바로 거기였다. 아이들을 깨워서 내쫓았다. 애들은 비척거리며 물러갔으나 밤이면 또 왔다. 가엾은 마음에 때로는 아침을 먹여 보내기도 했다. 아귀아귀 밥을 퍼먹는 애들을 보며 간절히 타일렀다. “다시는 오지 마라. 얼른 부모님이 기다리시는 집으로 들어가라!”

그러나 애들은 걸핏하면 교회로 몰려왔고 때로는 똥까지 싸놓고 도망갔다. 화가 난 그는 튼튼한 자물통을 네 개나 사서 교회의 셔터문을 잠가버렸다. 10월이 되었다(들꽃피는 학교 개교일이 10월9일이다). 이날 김 목사는 거리에서 자신이 쫓아낸 그 아이들을 또 만났다. 문 잠긴 교회에는 들어가지도 못하고 이미 쌀쌀해진 날씨에 한데서 날밤을 샌 모양이었다. 아이들은 얼굴을 안다고 “목사님, 사모님, 밥 좀 사줘요” 하며 애처롭게 따라왔다.

1/7
글: 김서령 자유기고가 psyche325@hanmail.net
연재

이사람의 삶

더보기
목록 닫기

상처를 보석으로 만든 영적 트레이너 ‘들꽃피는 마을’ 김현수 목사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