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2월호

신라 남성 기 살린 해구신?

  • 입력2010-02-03 11:2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신라 남성 기 살린 해구신?

    중국산 가짜 비아그라

    TV드라마 ‘선덕여왕’에 고도(류담 분)가 장터에서 옥연적과 해구신을 맞바꿔 먹는 장면이 나온다. 가능할까? 해구신은 정력제로 잘 알려진 물개의 ‘거시기’다. 해구신은 신라의 특산물이었다. 한방약물학의 결정판 ‘본초강목’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해구신이라는 것은 신라국 해중의 개의 외부성기다. 그것을 배꼽이 부착된 째로 채취하기 때문에 올눌제(·#53817;·#54979;臍)라고 한다.”

    포획방법도 적혀 있다. “해구는 밤낮 해저에 들어가 있으며 번식기에만 섬에 올라가 새끼를 낳는다. 새끼가 조금 자라면 새끼를 거느리고 다시 물에 들어가니 좀처럼 포획하기 어렵다. 엄동설한 날씨 좋은 날에 해구가 무리를 지어 바위 위에서 햇볕에 몸을 쪼이니 그때 잠든 틈을 타 허리를 두드려 잡는다.”

    과거에도 가짜 해구신 성행

    ‘해동석사’라는 책에는 “신라 해구신은 강원도 평해군에서 나는데 매우 귀해 구하기 어렵다”고 씌어 있으며, ‘세종실록’에도 강원도에서 나는 약물 중에 해구신이 기록되어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장터에서 해구신을 사는 건 거의 불가능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신라시대의 토우를 보면 신라인의 성의식은 조금 유별난 측면이 있다. 성애 중임을 표현한 토우에서는 대자연의 섭리와 생식 번영의 기원보다 인간적인 모습이 드러난다. 대체로 두 남녀는 극히 사실적으로 묘사돼 있다. 이들을 빚은 신라인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손 하나, 팔 하나에 사랑과 체험을 담았으리라. 아마도 한국 역사상 가장 강렬한 에로티시즘의 표현일 것이다.



    신라 남성 기 살린 해구신?

    고도. 드라마 ‘선덕여왕’의 한 장면

    이런 표현력을 뒷받침하듯 신라의학의 편린들은 정력 신드롬의 원조라 할 만한 내용들을 담고 있다. ‘신라법사방’ ‘신라법사 유관 비밀요술방’ ‘신라법사비밀방’ 등이 문제의 책들이다. ‘비밀방’이라고 이름 붙인 것은 방중술의 비법을 적었으며, 당시 유행한 중국 수당시대의 내용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책은 남아 있지 않고 내용만 일부 전한다. 일본인 단파가 편술한 ‘의심방’이라는 책에 기록되어 있다. 이 책에 혜충이라는 승려 이름이 등장하는데, 신라 경덕왕 때의 인물로 신라 중기 이후의 저작으로 보인다.

    또 다른 문제의 약물로 노봉방이 있다. 노봉방은 말벌집이다. 8월 중순에 채취해 말려서 성기에 바르면 그야말로 비아그라가 울고 갈 정도라고 한다. 낯 뜨겁지만 물건이 커지고 쇠몽둥이처럼 단단해진다는 장터 뱀 장수 수준의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노봉방은 주로 치통이나 종기에 외용으로 쓰이는 약재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하루 3~10g을 물로 달여 먹거나 밤빛이 나도록 볶아 가루를 내서 먹는다고 되어 있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를 내서 기초제에 개어 바른다. 노봉방 정유는 독성이 강해서 신염을 일으킬 수 있으니 볶아서 정유를 날려 보낸 다음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정도의 이야기다.

    한국의 정력제 문화는 독특한 데가 있다. 동남아 주변 국가의 뱀, 코브라, 곰 쓸개가 씨가 마를 정도라니. 최근에는 중국산 비아그라가 횡행할 정도다. 삼척지방에서 해구신이 자취를 감춘 데도 비뚤어진 보신문화가 한몫하지 않았을까? 가끔 해구신을 들고 와 진짜인지 확인해달라는 사람들이 있다. 대부분 사슴 생식기나 소의 힘줄을 급조해 만든 가짜다 .예전에도 가짜가 성행했던 듯하다. 수오룡이라는 짐승을 포획해 유통한다고 지적한 기록이 있다.

    진짜를 구별하는 방법은 약물의 본질에 대한 설명이나 다름없다. 한겨울에 물에 담가 가장 차가운 바람이 드는 곳에 두어도 얼지 않아야 진품이라는 것이다. 이 점은 부연설명이 필요하다. ‘중약대사전’은 물개의 기름을 짜서 동상에 바르면 금방 낫기 때문에 찬 기운을 잘 이기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찬 기운을 잘 이기는 것은 본성이 뜨거워야 한다. 양기가 뜨겁게 타오르는 불꽃같은 힘임을 생각하면 예부터 전해오는 해구신의 약효는 그럴듯하기도 하다.

    李相坤

    ● 1965년 경북 경주 출생
    ● 現 갑산한의원 원장. 대한한의사협회 외관과학회 이사, 한의학 박사
    ● 前 대구한의대 안이비인후피부과 교수
    ● 저서 : ‘콧속에 건강이 보인다’ ‘코 박사의 코 이야기’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