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멘스 설립자 베르너 폰 지멘스.
세계적인 전기전자기업 지멘스의 창립자 베르너 폰 지멘스는 1847년 회사 설립에 즈음해 “직원과 사회, 환경에 책임을 다할 것”을 천명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160여 년 전 산업자본주의의 태동기에 인간과 지구를 괴롭히는 기업과 제품은 지속적인 발전을 이룰 수 없음을 이미 예견했다. 21세기 들어 등 떠밀리듯 지속가능성 또는 지속가능 경영을 외치는 기업들과는 너무나 대조적인 모습이다.
지멘스 사(社)에 ‘지속가능성’은 경제, 환경, 사회 측면에서 미래 세대를 위해 책임 있는 행동을 함으로써 인류, 환경, 가치 창출이 서로 조화를 이루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인류의 생명과 환경을 보호하는 혁신적 사업을 발굴해 지속적으로 더 많은 수익을 올리겠다는 자신감의 표현이다. 지속가능성은 책임감, 탁월성, 혁신성으로 대표되는 ‘지멘스 가치’의 초석이며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책임의 이행은 지멘스 기업전략의 핵심이다. 지멘스의 장기적인 성장목표도 그런 가치 아래에서 짜여진다.
실제로 2011년 지멘스는 친환경 제품과 솔루션을 통해 고객의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3억1700만t 절감했다. 이는 독일의 베를린, 중국의 홍콩, 인도의 델리, 터키의 이스탄불, 영국의 런던, 미국의 뉴욕, 싱가포르, 일본 도쿄의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모두 합친 것과 같다. 당초 절감 목표는 3억t이었지만 지멘스는 이를 초과 달성했다.
지속가능성에 대한 찬사
지멘스는 세계의 각 평가기관과 환경단체로부터 최고 수준의 지속가능한 기업이라는 평가와 찬사를 받고 있다. 2011년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의 다각화 기업 부문에서 사상 최고점인 90점을 획득해 4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지속가능성 투자 전문 기관인 SAM 그룹은 ‘SAM 지속가능성 어워드 2012’에서 가장 우수한 지속가능 기업으로 지멘스를 꼽았다. 2011년에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의 ‘500 탄소 공개 리더십 지수’에 4년 연속으로 이름을 올렸으며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투투모로우의 기업 미래가치평가(TVR)에서는 가장 신뢰 받는 기업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처럼 많은 기관, 단체가 지멘스를 세계에서 가장 지속가능한 기업 중 하나로 꼽은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 또한 이 회사가 밝힌 ‘미래 세대를 위한 책임 있는 행동’은 과연 어떤 것일까. 그 실체를 밝히기 위해 7월 말 독일 뮌헨으로 향했다.

지멘스 뮌헨 본사 전경.
세계적 미술관과 박물관, 대학가에 인접한 지멘스 뮌헨 본사는 오래돼 보였지만 깔끔한 인상을 줬다. 초현대식으로 꾸며진 건물 내부는 지멘스의 보안 기술과 친환경 기술이 접목돼 그 어디에서도 군더더기가 없어 보였다. 모든 곳에서 독일인의 근검절약 정신이 돋보였다. 본사 1층에 전시된 지속가능성 대표 제품과 회사 설립자 지멘스의 동상은 지속가능 경영에 대한 지멘스의 높은 관심을 보여주고 있었다.
바바라 쿡스 지속가능성 최고책임자(CSO·본사 경영이사회 멤버)는 지멘스가 각종 평가기관, 단체로부터 최고의 지속가능 기업으로 선정된 비결을 지멘스만의 고유한 지속가능성 프로그램에서 찾는다.(인터뷰 참조) 그는 “우리는 지속가능성을 하나의 큰 사업 기회로 생각하며 기업 DNA의 한 부분으로 인식한다. 친환경 기술의 잠재력을 초기에 이미 파악해 발전시킨 게 주효했다”고 밝혔다.
친환경이 곧 매출
지멘스의 지속가능성프로그램은 환경보호와 윤리경영(준법경영), 사회공헌활동 등이 서로 융합돼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도록 구성돼 있다. 환경보호는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등 전 세계가 당면한 환경 이슈를 극복하기 위한 개념으로 지멘스의 주요 경영전략 중 하나다. 지멘스는 에너지 사용효율을 높이고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혁신적, 친환경적 기술로 엄청난 수익을 얻고 있다.
2011년 지멘스 친환경 포트폴리오 부문 매출은 총 300억 유로(한화 42조 원 상당)로 이는 전체 매출의 40%에 달한다. 지멘스는 2014년까지 이를 400억 유로로 증가시킬 계획. 그만큼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줄었다. 지멘스는 각종 친환경 제품과 솔루션을 통해 2011년 고객의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3억1700만t 절감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