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약국 판매 한약제제 원료는 대부분 중국산!

약초 재배농민 목 죄는 제약회사들

약국 판매 한약제제 원료는 대부분 중국산!

1/2
약국 판매 한약제제 원료는 대부분 중국산!

예부터 한약은 달이는 정성이 담겨야 약효가 좋다고 했다. 우리 땅에서 나는 약재도 아닌 중국산을 몇 t씩 함께 달이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사진은 특정 제품과 관계없음)

약국에서 파는 한약제제(생약, 천연물신약 포함)의 원료가 중국산이라면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가면서 ‘신토불이’를 넘어 자기가 사는 곳에서 생산된 음식을 먹자는 ‘로컬푸드’운동까지 일어나는 마당에, 음식도 아닌 한방 의약품의 원료가 중국산이라면 기분이 좋을 사람은 별로 없다. 기자는 최근 약국에서 흔히 판매되는 한약제제의 원료 대부분이 중국산이라는 ‘불편한 진실’과 마주했다.

8월 초 우연한 기회에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의수협)에서 나온 ‘2011년 원료의약품 수입현황’자료를 접하게 됐다. 의수협은 완제의약품, 원료의약품, 한약재, 의약외품 등의 수출입 업체로 구성된 사단법인이다. 원료의약품은 국내에서 제조되는 의약품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가리키는데, 이를 수입하려는 업체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요구하는 자격요건을 갖춰야 한다.

원료의약품 수입현황을 보면 국내에서 시판되는 의약품에 어떤 재료가 얼마나 쓰이는지 훤히 알 수 있다. 수입현황 서류를 살피다 생약추출물 부분이 눈에 들어왔다. 생약추출물이란 감초, 당귀, 쑥 등과 같은 약초(한약재, 원생약)를 달이고 졸여낸 정수나 이를 말려 수분을 뺀 건조물, 그것을 다시 빻은 가루 등 원생약을 1차 가공을 거쳐 농축한 것들을 가리킨다.

거의 완제품 상태로 수입

각 제약사는 이들 생약추출물을 들여와 일부 성분을 더 섞거나 희석하는 방법으로 드링크, 정제, 과립을 만들어 약국에 공급한다. 1t의 약초를 추출물 상태로 만들면 전체 부피와 무게가 최대 500분의 1로 줄기 때문에 제약사는 추출물을 주로 사용한다. 특히 관세와 물류비용 등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제약사에서 쓰는 한약제제의 원료 수입품은 100% 추출물밖에 없다.



제약사가 만들어 약국에 제공하는 한약제제에는 생약제제와 천연물신약이 포함된다. 약사법은 한약을 한방 원리에 따라 배합해 제조한 의약품을 한약제제라고 하고, 생약을 서양의학의 원리에 따라 배합해 제조한 의약품은 생약제제로 구분한다. 이는 약품 허가상 분류기준이며 한약과 생약의 구분이 애매해 약국에서 판매될 때는 통칭 ‘약국용 한약’으로 불린다.

천연물신약은 천연물신약연구개발촉진법상의 개념으로 천연물 성분을 이용해 연구개발한 의약품 중 조성 성분, 효능 등이 새로운 의약품으로 규정돼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허가가 난 천연물신약의 원재료는 대부분 한약재이고 조성 성분과 효능도 한의학 처방을 차용한 것이 많다. 그런데 무슨 영문인지 한방의 주인인 한의사에겐 처방권이 없고 양의사들만 이들 약을 처방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한의사들은 양의사의 처방권을 없애고 자신들만이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요즘 병의원에서 받은 처방을 보면 이들 천연물신약이 끼워 넣기 식으로 들어가 있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소비자인 환자 입장에서 단순하게 분류하면 약국에서 파는 한약 성분의 일반의약품은 한약제제고, 의사 처방을 받아야 하는 한약 성분의 전문의약품은 천연물신약이다.

의수협 생약추출물 수입현황 자료에는 우리가 평소 즐겨 먹거나 취재를 통해 알게 된 유명 한약제제가 즐비했다. 서양 생약인 허브로 분류되는 몇 개 품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중국산이었다. 감기약으로 유명한 갈근탕부터 마시는 소화제인 가스명수(까스명수), 살 빼는 약으로 유명해진 방풍통선산(살사라진 등)까지 있었다. 우리가 약국에서 사 먹는 약국 한방제제 원재료의 대부분이 수입현황 목록에 들어 있었다.

한의학 의서(醫書)에 나오는 주요 처방명만 열거해보면 사물탕(월경불순, 불임증 치료), 십전대보탕(건강증진), 반하사심탕(소화불량, 구역, 구토), 가미소요산(갱년기, 스트레스), 보중익기탕(건강증진), 가미귀비탕(빈혈, 불면증), 반하백출천마탕(어지러움, 두통), 반하후박탕(두통, 변비, 비만), 당귀작약산(월경불순, 월경통, 갱년기장애) 등 수십 종에 달한다. 이들은 아예 중국 공장에서 여러 한약재를 구입해 섞은 후 추출물을 만든 경우다. 사실상 의약품을 만들어 들여오는 것과 다를 바 없다. 나머지는 인삼, 쑥, 당귀, 길경, 반하 등 단일품목을 추출물 상태로 들여오는 경우다. 이들 추출물은 약국에서 한방제제 포장단위 그대로 팔리거나 과립제의 경우 약사가 한 포 단위로 포장해 파는 경우도 있다.

1/2
최영철 기자│ ftdog@donga.com
목록 닫기

약국 판매 한약제제 원료는 대부분 중국산!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