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은 성리학의 고장, 선비의 고장으로 불린다. 영남학파의 영원한 대부 퇴계 이황의 본거지이기 때문이다. 물론 퇴계가 태어나기 전에도 안동에는 오랜 학문적 퇴적물이 있었다.
저 멀리 고려 말 안향, 이제현, 우탁 이 이 고장 출신으로 성리학의 토대를 만들었다면 거기에 선비정신이라 부를 만한 고고함과 청백(淸白)을 심어준 이가 바로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1431~1517)이다. 그는 일생을 대쪽정신으로 청렴결백하게 살다 간 선비였다.
김계행은 안동이라는 지명이 있게 한 고려건국 공신 삼태사(三太師) 중 한 명인 김선평(金宣平·안동 김씨 시조)의 후예다.
안동 김씨는 조선시대 양반가문의 최상위 그룹에 속한다. 상신(相臣), 대제학을 비롯 청백리를 다수 배출한 명문가다. 그러나 어찌 조상의 이름 석자를 팔아먹는 것이 명문가를 평가하는 기준이 될 수 있으랴.
무릇 명문가라면 높은 자리나 재물을 탐하지 않고 시류에 영합하지 않으며 나라가 누란의 위기에 처할 때면 앞장서 헤쳐나가는,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그런 정신이 살아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보백당의 정신이 그대로 살아 있는 이 종가야말로 진정 명문가라 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