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한국의宗家|安東 金氏 寶白堂 宗宅

고고한 淸白정신 깃들인 洗心과 나눔의 산실

  • 사진·글: 정경택 기자

고고한 淸白정신 깃들인 洗心과 나눔의 산실

1/2
  • 폭군 연산에게 직언을 서슴지 않던 청백리 보백당 김계행의 종택은 성리학의 발원지 경북 안동에 있다. 상신 대제학을 비롯 청백리를 대거 배출한 안동 김씨는 선조의 고결한 정신을 널리 알리는 데 그치지 않고 교육사업 지원에도 앞장서고 있다.


안동은 성리학의 고장, 선비의 고장으로 불린다. 영남학파의 영원한 대부 퇴계 이황의 본거지이기 때문이다. 물론 퇴계가 태어나기 전에도 안동에는 오랜 학문적 퇴적물이 있었다.

저 멀리 고려 말 안향, 이제현, 우탁 이 이 고장 출신으로 성리학의 토대를 만들었다면 거기에 선비정신이라 부를 만한 고고함과 청백(淸白)을 심어준 이가 바로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1431~1517)이다. 그는 일생을 대쪽정신으로 청렴결백하게 살다 간 선비였다.

김계행은 안동이라는 지명이 있게 한 고려건국 공신 삼태사(三太師) 중 한 명인 김선평(金宣平·안동 김씨 시조)의 후예다.

안동 김씨는 조선시대 양반가문의 최상위 그룹에 속한다. 상신(相臣), 대제학을 비롯 청백리를 다수 배출한 명문가다. 그러나 어찌 조상의 이름 석자를 팔아먹는 것이 명문가를 평가하는 기준이 될 수 있으랴.



무릇 명문가라면 높은 자리나 재물을 탐하지 않고 시류에 영합하지 않으며 나라가 누란의 위기에 처할 때면 앞장서 헤쳐나가는,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그런 정신이 살아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보백당의 정신이 그대로 살아 있는 이 종가야말로 진정 명문가라 하겠다.

고고한 淸白정신 깃들인 洗心과 나눔의 산실
1. 한말의 문신이자 독립운동가인 김가진이 쓴 보백당 편액. 그도 이 집안 사람이다.2. 늦가을 아침햇살이 든 담장과 후원. 여인네들이 모여 담소를 나누던 곳이다.

1/2
사진·글: 정경택 기자
목록 닫기

고고한 淸白정신 깃들인 洗心과 나눔의 산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