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상호 이사장(왼쪽)은 직원과의 대화를 중요시한다. 소통해야 생각도 바뀐다는 것.
“노사 간에 대립투쟁적인 관계도 문제지만 공기업의 경우 노사상생이라고 하면 외부에서 볼 때는 노사가 짜고 상호공모한다고 욕을 해요. 그래서 가장 발전적인 노사관계는 가치창조적인 관계라고 봅니다. 노사가 왼손과 오른손이라고 한다면 가치창조적인 노사관계는 회사발전을 위해 같이 박수를 치는 겁니다. 올해를 기점으로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20년 무분규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엄정하고 객관적인 평가관리시스템이 구축되어 보수와 인사가 제대로 이뤄지면 성과관리가 됩니다. 제가 취임 후 두 번 인사를 했는데 그야말로 성과지향적으로 했어요. 지사장 자리에 젊고 능력 있는 사람들을 보내는 등 관행을 타파하니까 직원들 눈빛이 달라져요. 2008년에는 40억원 적자였는데 2009년에는 70억원 흑자입니다.”
▼ 페널티와 인센티브가 확실합니까?
“청렴 의무를 한 번이라도 어기면 아웃입니다. 성과 부진자로 2년 연속 걸리면 퇴출됩니다. 2008년에 세 명이 퇴출됐어요. 정부에서 주는 성과급은 큰 차이가 없어 직무등급에서 1000만원 정도 차이가 나게 했어요. 제가 취임했을 때는 그 차가 200만원 정도였는데 5배 늘린 겁니다. 그래서 하위 직급에서 잘하는 사람이 상위 직급에서 못하는 사람보다 더 많이 받도록 했어요.”
그는 업무성과가 있을 때는 칭찬하고 없을 때는 질책한다고 한다. 특히 업무 추진 과정에서 아무런 생각 없이 예전에 하던 관습대로 하고 혁신하지 않는 것을 제일 싫어한다고 한다.
4C모델과 혁신시계 만들어 사고 줄여
▼ 교통안전공단 CEO 평가는 우수한데 조직 평가는 좋지 않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평가 시기는 비슷한데 평가 지표가 달라서 그렇죠. 저는 2008년 7월 취임 이후부터 평가받았고 조직은 1년 동안 업적을 평가받는데 이미 인건비가 과다지출되고 자동차검사 점유율이 떨어져 있으니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었죠.”
▼ 경영 혁신을 위해서는 어떤 일을 했습니까.
“4C 모델을 개발했어요. 공감대 형성(Consensus building), 시스템 변화(Change system), 과정 변화(Change process), 문화 변화(Change culture)입니다. 어느 조직이든 성과를 내는 일류조직으로 변화하려면 4가지가 달라져야 합니다. 혁신시계(Innovation clock)를 만들었어요. 4C가 한 바퀴 돌면 1시입니다. 현재 우리 교통안전공단의 혁신시계는 2시10분입니다. 6시까지 가면 제 임기가 끝나는데 2시10분이라는 말은 공감대 형성에서 문화 변화까지 두 번 하고 3시에 접어들었다는 겁니다. 처음에는 한 바퀴 도는 데 8개월 걸렸지만 두 번째는 6개월 걸리는 등 가속도가 붙어 갈수록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듭니다. 올해에는 두 바퀴 더 돌리려는데 지금까지 하던 것에 더 속력을 낼 겁니다. 지난해 사고를 7.3% 줄였는데 올해에는 14% 줄일 겁니다.”
▼ 올해 특별한 계획은 있습니까.
“자동차검사를 명품으로 만들어 해외에 수출하려고 합니다. 자동차검사 시스템, 즉 시설과 절차를 동남아 개발도상국과 몽골에 수출하려고 협상 중입니다. 그러면 우리나라 자동차가 진출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낙관적으로 보면 세 나라, 비관적으로 봐도 한 나라에는 진출할 겁니다.”
▼ 녹색산업과 관련해서는 어떤 사업을 펼칠 계획입니까.
“요즘 녹색산업이 유행하는데 교통사고와 무관하지 않아요. 에코드라이빙(친환경운전)을 하면 사고가 줄어요. 자동차검사 때 배출가스검사를 철저히 하면 CO₂ 감축에도 기여하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법에 의거, 지역별로 차량을 통제한다든지 하는 온실가스관리시스템을 구축하게 되면 여기에 참여하려고 합니다.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상주체험연구교육센터에서 에코드라이빙을 교육하려고 합니다.”
▼ 아직도 시꺼먼 연기를 내뿜고 달리는 화물차 등이 보이는데 검사는 누가 한 겁니까.
“쉽게 말하면 그런 차들은 자신이 없으니까 민간업체로 갑니다. 길에서 스폿 체크를 하는데 잘 안 걸리죠.”
▼ 교통안전공단이 민간업체도 관리하지 않습니까?
“기본적으로 관리권이 지자체에 있어요. 물론 지자체와 교통안전공단, 때로는 국토해양부가 같이 나가서 하고 행정처분권은 지자체가 행사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