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원 이모 씨(48)는 3년 전부터 간헐적인 허리 통증으로 인근 정형외과에서 약물치료와 물리치료를 받으며 지내왔는데, 최근 말로 표현 못할 통증이 갑자기 찾아왔다. 이전과는 달리 허리를 조금도 구부릴 수 없고, 허리부터 엉치, 좌측 발바닥까지 전기가 오는 것처럼 저리고 땅기는 통증이 일어났다. 허리를 구부리고 엉덩이를 뒤로 뺀 엉거주춤한 자세로 간신히 병원을 찾은 이 씨의 MRI(자기공명영상) 검사결과는 추간판탈출증이었다. 추간판(디스크)이 퇴행성 변화로 흘러나와 좌측 다리로 가는 신경을 심하게 압박했던 것이다.
통증 유발 신경만 차단
허리에 통증이 오면 흔히 ‘허리디스크’라고 알려진 추간판탈출증을 가장 먼저 떠올린다. 척추는 척추 뼈와 디스크라 불리는 추간판으로 이뤄져 있으며, 추간판 안에는 젤리 형태의 말랑말랑한 수핵이 들어 있다. 양파 껍질처럼 생긴 섬유륜이 그 겉을 둘러싸고 있다. 추간판은 인체의 압력과 하중을 흡수하고 척추 뼈가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스프링 노릇을 하는 곳으로 늘 충격에 노출돼 있다. 오래 앉아서 일하거나 허리를 구부리고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드는 직업을 가진 사람의 경우 추간판이 손상될 위험이 크다.
추간판 손상으로 인한 질환은 추간판탈출증과 추간판내장증이 대표적이다. 추간판내장증은 엑스레이로도 알기 힘들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허리디스크’라고도 한다. 어떤 이유 때문에 추간판에서 수분이 빠져나가고 섬유 구조가 약해져 손상되면서 척추로 전달되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해 발생한다. 20~50대의 비교적 젊은 층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허리, 엉치부, 대퇴부 뒤쪽에 통증이 일어나며 추간판탈출증이나 척추관협착증처럼 하퇴부까지 통증이 내려오는 경우는 드물다. 오래 앉아 있거나 앉아 있다 일어설 때, 세안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때처럼 허리를 구부릴 때 통증이 심해지는 특징이 있다.
이 질환은 만성요통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근력 저하나 감각이상 등의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고 엑스레이 검사에서도 정상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아 단순 근육통으로 오인되기 쉽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추간판 조영술이나 MRI 검사를 하는데, 추간판 조영술은 병이 진행된 추간판에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평소와 같은 통증을 유발시켜 진단할 수 있다. MRI 검사를 하면 정상 추간판은 백색으로 나타나는 데 반해 내장증이 진행된 추간판은 흑색으로 변색되고 닳은 상태로 나타난다.
조기에 발견하면 통증으로 긴장된 허리를 휴식을 통해 안정시키거나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방법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보존적 치료를 해서 효과가 없을 때는 고장 난 추간판을 제거한 후 유합술을 하거나 인공 추간판으로 대체하는 수술을 시행해야 한다. 하지만 수술 후 상당 기간 휴식을 취해야 해서 바쁜 환자에게 적용하기에는 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수술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는 디스크 내 고주파 열 응고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주삿바늘 모양의 전극을 디스크에 삽입한 후 고주파 열을 가해 망가진 디스크를 수축시키고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만을 선택적으로 골라 차단하는 치료법이다. 국소 마취 후 얇은 열선만을 삽입하므로 주삿바늘 크기의 상처만 남는다. 열선의 온도가 낮아(65~90℃) 주변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시술시간이 짧으며 합병증이 거의 없어 안전하다. 시술 후 즉시(당일) 일상생활에 복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