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동안 255명의 단원고 학생·교사 유가족의 목소리는 언론을 통해 자주 전달됐다. 하지만 일반인 희생자 43명의 얘기는 듣기 힘들었다. 수적으로도 압도적인 데다 어린 학생들의 집단 사망이라는 점에서 국민 정서를 크게 자극한 단원고 희생자들에게 초점이 맞춰진 탓이다.
“가족 확인증 가져오라”
이런 상황에서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대책위원회 지성진 부위원장을 만났다. 지 부위원장은 세월호 참사로 부모와 형을 잃은 조요셉(7) 군의 외삼촌이다. 그는 세월로 사고 직후부터 일반인 대책위 임원을 맡았다. 그는 세월호 사건이 터진 4월 16일부터 지금까지 일반인 유가족이 받은 설움을 토로했다. 단원고 희생자 유가족에 대한 서운한 감정도 여과 없이 드러냈다.
▼ 사고가 난 4월 16일 얘기부터 해주시죠.
“그날 오전 어머니에게 전화를 받았어요. ‘애들(여동생 가족)이 저 배를 타고 제주도에 갔는데 알아보라’고. TV에서 ‘학생들 전원구조’라는 자막이 나와 별걱정은 안 했어요. 일반인 구조 얘기는 없었어요. 그때부터 일반인 희생자는 외면당한 겁니다. 학생들이 구조됐으면 일반인도 당연히 구조됐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12시가 넘어가면서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전화를 수십 군데 돌렸어요. 중앙재난기구니 뭐니 하는…. 그런데 상황을 제대로 파악한 부처가 없었어요. 전화도 잘 안 받고. 진도로 출발하기 전 청와대 홈페이지에 글을 올렸어요. ‘우리나라는 아직 후진국이다. 이런 사고가 터졌는데도 서로 책임만 미룬다’고.
출발 직전 진도군청에서 첫 생존자 명단을 발표했는데, 거기에 조카(요셉)가 있었어요, 다른 가족은 없었고. 저녁 7시쯤 진도에 도착해 보니 진도군청 공무원이 요셉이를 돌보고 있더라고요. 공무원들이 뭘 해야 할지 몰라 우왕좌왕하고 있었어요. 그날 요셉이는 진도군청 공무원 집에서 잤어요.”
▼ 이후 정부 지원은 어떻게 이뤄졌습니까.
“일반인 실종자 가족에 대해선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았어요. 실종자 가족임을 나타내는 표지도 단원고 실종자 가족에게만 지급됐어요. 단원고 가족들은 학부모 대책회의하는 천막도 만들었는데, 거기에 일반인 가족은 있을 곳이 없었어요. 언론도 모두 실종 학생들에게만 관심을 갖고. 언론이 다루지 않으니 공무원들도 신경을 안 쓰더라고요.”
▼ 처음부터 차별이 심했다….
“하나부터 열까지 차별을 받았어요. 밤이 되면 제법 쌀쌀했는데 옷 같은 지원품도 못 받았어요. 학생 가족에게는 반별로 옷이나 신발을 내줬거든요. ‘실종자 가족 확인증’을 가져오면 지원품을 준다고 하던데, 도대체 그런 확인증을 어디서 받겠어요? 화가 치밀어 ‘더러워서 안 받는다’고 했어요. 나중엔 자원봉사자들도 차별하더군요. 단원고 학부모 기세가 워낙 드세 진도군실내체육관엔 들어가지도 못하고 천막에만 있었어요.”
▼ 안산에 합동분향소 만들 때도 차별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안산에 임시 정부합동분향소를 만들 때였어요. 가 보니 일반인 희생자 위패가 없는 거예요. 공무원에게 항의했더니 ‘생각을 못했다’고 하더라고요. 너무 화가 나서 마구 따졌어요. 그러자 부랴부랴 구석에다 공간을 만들어 위패를 갖다놓더라고요. 그때 제가 몇몇 방송과 인터뷰를 하면서 그런 사정을 얘기했어요. 그 후 세월호 사고로 피해를 당한 일반인이 있다는 게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죠.”
“실종자 수색 때도 차별”
▼ 누구한테 가장 서운합니까.
“누구일 것 같아요? 솔직히 단원고 유가족들이에요. 일반인 희생자 유가족을 가장 차별한 게 그분들이라는 생각도 들어요. 저는 두 달여 진도에 머물면서 일부 단원고 유가족에게서 극단적 이기주의를 봤습니다.”
▼ 뜻밖이네요. 같은 희생자 가족끼리….
“그들은 일반인 희생자를 전혀 배려하지 않았어요. 물론 자식 잃은 부모 심정이 얼마나 참담할지 이해는 돼요. 그래서 저희는 실종자 수색을 할 때도 거의 의견을 내지 않았어요. 학생 위주로 수색하라고 양보했습니다.”
▼ 학생 위주로 수색한다는 게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인가요.
“학생들이 많이 모여 있던 4층 중심으로 수색을 벌였잖아요. 우리가 양해를 한 거예요. 4층 선미 부분 수색이 늦게까지 안 됐는데, 수색을 하려면 일부를 잘라내야 했어요. 그렇게 하면 일반인 실종자들이 주로 있던 3층은 수색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그래도 저희는 학부모들을 배려해서 4층 먼저 하라고 했어요. 어떤 학부모는 우리한테 대놓고 ‘4층 끝나면 3층 하라’고 하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