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6월 2일 해군은 한국 최초의 잠수함 ‘장보고함’을 진수했는데, 이 장보고함이 2004년 림팩훈련에서 신화를 만들었다. 항공모함을 비롯한 상대의 모든 군함(15척)과 잠수함(2척)에 가상 어뢰를 명중시키고 자신은 단 한 번도 탐지되지 않은 기록을 세운 것이다. 그래서 붙은 별명이 ‘퍼펙트 장보고’. 그날 이후 한국은 “잠수함 작전을 잘하는 나라”란 소리를 들었다. 한국은 이 잠수함을 9척 갖고 있다.
2번함부터 바로 제작한 한국
장보고함의 원형은 독일 HDW(‘하데베’로 읽는다) 조선소가 만든 209 잠수함. 1, 2차 세계대전 때 독일은 ‘U-Boot(독어 Untersee Boot를 줄인 것이라 ‘우부트’로 읽는다. 영어로는 Un-dersea Boat)’를 만들어 연합군 해군을 괴롭혔다. HDW는 이 전통을 이어받아 209(600t)라는 작은 잠수함을 만들어 독일 해군에 납품했다. 이어 이를 키운 1200t급 209를 제작해 세계를 두들겼다. 1990년대 초 209는 11개국에 49척이 수출돼 잠수함 분야의 베스트셀러가 됐다.
잠수함 사업을 시작할 때 국내 최대의 조선소인 현대중공업이 관심을 보이지 않았기에 정부는 대우조선을 유일한 잠수함 건조회사로 지정했다. 대우는 정부로부터 장비와 시설에 대한 감가상각비를 지원받아 잠수함 건조 시설을 갖췄다. 잠수함은 주변국 정찰위성에 찍히지 않고 제작해야 하기에 지붕이 있는 도크에서 건조한다. 대우도 ‘유개(有蓋) 도크’를 만들었다.
디젤 잠수함은 보통 5개 섹션으로 나눠 제작한 후 이를 합치는 식으로 건조한다. HDW 측은 1~3번함은 자신들이 건조할 테니 대우는 사람을 보내 기술을 배우고, 4번함부터 HDW가 만들어준 섹션을 가져가 조립해보라고 권했다. 그러나 대우는 2번함부터 HDW가 준 설계도를 토대로 HDW가 알려준 장비와 부품을 구입해 바로 섹션을 제작해 조립했다.
대우는 한발 더 나아갔다. HDW가 설계도 없이 그냥 내준 핵심 부품을 분해해 도면을 만들고, 그것을 토대로 똑같이 만드는 역설계(re-engineering)를 해낸 것이다. 그때 HDW는 209 분야에서는 따라올 조선소가 없다고 봤는지, 지적재산권 보호기간을 짧게 잡았다. 209 8척을 건조하는 동안 그 기간이 지나갔기에, 대우는 자유롭게 209 복사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됐다.
2001년 HDW는 209보다 큰 212 잠수함을 만들어 독일 해군에 납품하고, 이를 확대한 수출형 214를 내놓았다. 214는 209보다 오래 잠항하고 더 우수한 소나와 잠망경을 탑재한다. 그해 한국은 HDW와 214의 설계도와 필요한 장비·부품을 받아 1번함부터 바로 섹션을 제작해 조립한다는 데 합의했다. 이것이 바로 2006년 진수를 시작해 4번함까지 나온 ‘손원일급’이다.
이 사업이 시작되자 현대중공업이 참여를 선언했다. 잠수함은 LNG 운반선, 크루즈선과 더불어 가장 건조하기 어려운 함선으로 꼽힌다. 세계적인 조선소로 인정받으려면 이 함선을 건조해야 한다. 당시 현대그룹은 김대중 정부와 사이가 좋았다. 김대중 대통령이 1차 남북정상회담을 하려 방북하기 전인 1998년,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501마리 소떼를 이끌고 방북하는 이벤트를 허락했다.

대우조선은 김대중 정부 시절 손원일급 잠수함 건조에서 배제됐으나 국산 잠수함 최초 수출이라는 개가를 올리며 복귀, 손원일급 제4번함인 김좌진함을 건조했다. 지난해 8월의 김좌진함 진수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