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아침 신문 가지러 1리씩 걷는다
99년 9월 조치원읍 신안리의 한 골짜기, 속칭 서당골에 자리를 잡았다. 풍수지리를 아는 분들은 ‘좌청룡 우백호’로 둘러싸인 명당이라고 기뻐한다. 연로하신 어머니와 우리 부부, 아이들 셋, 강아지 세 마리, 닭 두 마리…이렇게 우리는 대가족이다.
집 뒤는 온통 산이다. 저 멀리 비단결 같던 금강의 지류인 미호천이 조용히 흐른다. 좌우 산자락에는 복숭아 과수원이 아래쪽으로 뻗었으며, 중간 골짜기를 절묘한 곡선의 논들이 계단을 만들었다. 우리 집터는 원래 고추와 들깨농사를 짓던 밭이었다. 그러나 ‘푸성귀라도 자급해야 한다’는 생각에 내가 텃밭을 일굴 때면 간간이 기와 쪼가리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 아주 오래 전 서당이나 절이 있던 곳이 아닌가 한다.
우리집에서 가장 가까운 이웃은 500m 이상 떨어진 아랫마을에 살고 있다. 마을에서 우리집까지는 경사진 좁은 흙길이 이어져 있다. 지난 겨울 눈이 올 때마다 음지 쪽으로 빙판이 생기더니 하루는 손자손녀를 거느리고 며느리와 시장구경을 나섰던 어머니가 미끄러지면서 손목골절로 6주 정도 고생을 하는 일도 생겼다.
그러더니 드디어 아침신문을 배달하는 분이 손을 들었다. “도저히 집까지는 배달이 어렵다”며 고개를 흔들었다. 그 뒤로 집에서 약 400m 아래쪽 바위 틈에 신문을 두고 간다. 미안했던지 신청하지도 않은 다른 신문을 한 장씩 더 놓고 간다.
아침마다 신문 가지러 가는 길은, 내게 신선한 공기를 쐬며 산책하는 길이요 산새들과 즐거운 아침 인사를 나누는 길이다. 녹지 않은 눈과 빙판을 조심스레 밟다가, 붉은 무늬 옷을 입은 흰 딱따구리가 벌레를 파먹는 타악기 소리를 듣고 모처럼 막내둥이 꼬마처럼 신기한 눈으로 물끄러미 쳐다보기도 한다.
추운 날에도 여전히 풋풋한 소나무들, 가시덤불 사이에 삼삼오오 놀다가 사람소리를 듣고 쪼르르 놀라는 참새들, 파란 하늘을 여유로이 비행하는 매와 산비둘기, 산까치들…. 별로 재미없는 기삿거리와 돈 냄새 물씬 풍기는 광고물로 얼룩진 대개의 일간 신문보다 훨씬 더 소중하고 진지한 생명의 숨소리들이 나의 아침을 풍요롭게 해 준다. 신문 한 장 읽기 위해 번거로운 것도 사실이지만 ‘간단하고 편리한 것은 대개 생태적인 건강성에 배치된다’는 것을 이곳에 살면서 비로소 깨달았다.
‘일 포스티노’와 우리집 우편함
이탈리아의 아름다운 섬마을을 배경으로 한 영화 ‘일 포스티노’는 칠레에서 망명한 민중시인 파블로 네루다와 젊은 집배원 사이의 우정을 그렸다. 요란한 말보다는 조용한 눈빛, 많은 말보다는 필요한 말, 화려한 관광지보다는 평화로운 바다 풍경 속에 깊이 교감하는 두 사람의 관계는 사족이 전혀 없는 깔끔한 시 한 편과도 같았다.
솔직히 나는 우리집을 찾아오는 집배원과 바로 그런 관계를 맺고 싶었다. 그래서 서툰 솜씨로 큼직한 우편함을 만들며 ‘일 포스티노’를 상상했다. 자전거를 타고 즐거운 마음으로 나를 찾아오는 친구, 따스한 햇살을 받으며 차 한 잔의 여유를 나누는 친구, 때로는 감동적인 이야기를 들려주고 가는 친구….
그러나 현실은 현실이었다. 가을 햇살 속에 서너 차례 땀 흘리며 우리집까지 올라온 젊은 집배원은 “공기가 참 좋네요” 하더니 끝내 “여기까지 올라오는 것이 너무 힘드니 혹시 아랫집에 우편물을…” 하는 것이었다. IMF체제에 진행된 공공부문 구조조정의 파도가 내가 사는 귀틀집 흙벽에 와락 부딪쳐 갈가리 부서지는 순간이었다. 그는 사람은 줄고 일거리는 늘어나 힘들다고 말했다. 그런 그에게 한 집 때문에 500m 골짜기 언덕길(그것도 비포장)을 왕복한다는 것은 노동강도가 세지는 것 이상 아무런 의미도 없었다. 노동강도의 강화에 대해 일상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취해온 나로서는 집배원의 고충을 풀어주는 것이 마땅했다.
나는 아랫집과 우리집을 이어주는 흙길 중간쯤에 말뚝을 세우고 엉성하게나마 내손으로 만든 우편함을 걸었다. 멀리서도 우편물이 왔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뚜껑에 작은 장난감을 올리고 가느다란 줄로 묶어 이 줄 일부를 끼워 놓았다. 집배원이 뚜껑을 열고 우편물을 넣는 순간 이 장난감이 무게 때문에 아래로 떨어지게 해 놓은 것이다. 식구 중 누군가 우편물을 꺼내면서 다시 원래 위치로 해 놓으면 우편함이 비었다는 표시다.
한쪽 벽면이 통유리창으로 된 두레방(거실)에서 우편함까지는 대략 250m. 우편함 위의 작은 장난감이 보일락 말락한다. 그래서 산새들을 관찰하려고 마련한 망원경을 아예 유리창 가까이 걸어놓고 ‘우편함 뚜껑이 위에 있는지 아래로 떨어졌는지’ 조심스레 살피기도 한다. 처음에는 세 녀석이 서로 망원경을 보겠다고 난리를 치더니 요즘은 조금 잠잠해졌다.
우편함이 집에서 멀어진 대신 집배원 일은 예전보다 쉬워졌으리라. 그러나 슬프게도 우편함이 멀리 떨어져 있다 보니 집배원과 인간적 교류가 불가능하다. 더욱 슬픈 것은 그가 일에 쫓기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을 때다. 지난 연말 집배원에게 주려고 우편함 속에 카드와 작은 선물을 넣어 두었다. 그런데 하루 이틀이 가고 1주일, 2주일이 가도 집배원은 이 선물을 가져가지 않았다. 겉에다가 ‘집배원 아저씨께’라고 크게 써놓았는데도 그리고 ‘포장’이 꽤 커서 잘 보였을 텐데도….
우편함이 약간 깊어서 선물을 보지 못한 것인지 아니면 선물 자체가 싫어서 거부한 것인지 여러 가지 의문이 들었다. 그래서 분실 위험을 무릅쓰고 아예 뚜껑을 열어 선물이 밖으로 드러나도록 해놓았다. 과연 효과가 있었다. 집배원은 그동안 거의 무감각하게 뚜껑을 열고 우편물만 ‘툭’ 집어던지고 가버렸기에 선물을 보지 못했던 것이다. 생태적 건강성, 사회적 건강성은 약간의 불편함과 귀찮음을 기꺼이 감수할 수 있을 때 가능한 것임을 또다시 깨달았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