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사장에 점점이 박힌 망양정의 해당화
하늘이 맑고 푸르면 바다 또한 쪽빛으로 여유롭게 가라앉는다. 두둥실 흰구름이 먼바다에 그림자를 드리운다. 하늘의 구름인지 바다의 구름인지, 하늘이 바다인지 바다가 하늘인지 모호해지고 갯바위에 오르면 하늘과 바다가 한몸이 되어 품안 가득히 달려든다.
관동제일경, 바다와 소나무의 조화
경북 울진 망양정(望洋亭)에 섰다. 옛사람들은 하늘과 바다가 하나되어 눈 가득 듦으로써 그 안에 빠져들고 싶은 유혹을 뿌리치는 묘책을 이미 알고 있었던 것 같다. 소나무와 해당화가 바로 답이었다.
정자 바로 밑으로 붉은 옷 푸른 모자 장송(長松)을 심어 바다와 하늘을 단번에 보는 시선을 차단했다. 그래도 한눈에 안기려는, 일렁이는 바다에 넋을 앗길세라 눈높이를 조금만 낮추면 해당화가 삐죽 고개를 내밀게 모래밭을 꾸몄다.
자, 이러니 맑은 날은 맑은 날대로 푸르름 일색만을 보는 것이 아니다. 또 찌푸린 날이라고 해서 하늘과 바다가 함께 잿빛으로 찡그리며 포효하는 모습만 보는 것도 아니다. 기품 있게 쭉쭉 뻗은 소나무 무리와 백사장에 점점이 박힌 여리여리 붉은 해당화들이 바다와 하늘을 가르며 한편으론 감싸안듯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관동의 명승을 꼽은 팔경 중 두 곳이 울진에 있다. 망양정이 그 하나고 다른 하나는 월송정(越松亭)이다. 둘 다 출렁이는 바다를 내려보며 소나무에 둘러싸인 정자들이다. 동해의 만경창파를 한눈에 굽어보는 망양정은 관동팔경 중에서도 으뜸 경치라 하여 조선 숙종이 ‘관동제일루’라는 친필 편액을 하사하기도 했다.
또 다른 해변 정자 월송정은 만 그루가 넘는 빽빽한 송림에 둘러싸여 있다. 신라시대에는 화랑들의 수련장으로, 낮엔 백사장에서 활쏘기를 하고 밤엔 소나무 밭 위로 덩실 떠오른 모양의 정자에 올라 달을 농하며 시를 읊었다는 곳이다. 떠오르던 달이 정자의 팔작지붕에 걸려 밤새 씨름하다가 새벽에야 겨우 바다로 돌아가곤 했다고도 한다.
숙종 임금은 월송정에 올랐다가 그만 그 절경에 질리고 말았던 것 같다. 흥분한 기운을 감추지 않고 시를 지어 정자에 바쳤다.
‘화랑이 놀던 자취 이제 어디서 찾을 건고/ 일만 그루 푸른 솔이 빽빽한 숲 이룬 곳에/ 눈앞 가득한 모래밭은 백설마냥 희구나/ 정자에 올라 바라보니 흥겨웁기 짝이 없네.’
임금의 어제(御製) 시는 월송정의 자랑으로 남았다. 그리고 그로부터 260여 년이 지난 1980년, 대대적 복원공사를 통해 옛 모습을 되찾은 월송정에 당시 대통령 최규하씨는 붓으로 쓴 ‘越松亭’ 현판을 내려보냈다. 임금과 대통령이 보낸 글자의 수에서 그들의 멋과 정취, 그리고 재임기간까지 상정해보는 것은 월송정을 찾는 또 다른 재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