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표정은 다소 초췌했다. 심한 감기로 고생하고 있다고 했다. 그럼에도 목소리엔 생기가 넘쳤다. 앞머리가 기운차게 위로 빗겨 올려져 있다. 자신감이 가득 찬 그는 여전히 날선 지식인이었다.
▼ 책을 내고 나서 자괴감이 들지는 않았습니까.
“책이라는 것은 내고 나서 늘 불만스럽기 때문에 또 내는 거예요. 내가 많은 책을 냈다고 하지만 사실은 한 권의 책도 못 낸 거지요.”
지적 호기심의 막다른 골목
▼ 이 책은 이전에 이 선생께서 냈던 다른 책들과는 성격이 완연히 다르지요.
“비교적 자괴감이 없었던 것은, 신앙심을 얘기한 게 아니라 문지방에 이른 과정을 썼기 때문이에요. 무신론자가 신을 영접하기까지의 과정. 남녀관계로 치면 아직 약혼도 안 한 단계의 얘기지요. 결혼해 애를 낳는 게 진짜 신앙생활이라면. 자랑도 아니고 깊은 참회도 아니고 프로세스를 얘기한 거지.”
▼ ‘어머니를 위한 여섯 가지 은유’와 ‘무신론자의 기도’를 잇달아 낸 데는 출판사의 상업적 의도가 보입니다.
“물론 출판사는 다 상업적이지요. 내가 (신문에) 광고를 자주 내지는 말라고 했어요. 저자가 출판사한테 광고 내달라고 부탁하는 게 정상인데.”
▼ 광고, 엄청 하던데요.
“엄청나게 때리고 있어요. 그분(출판사 대표)이 크리스천이에요. 돈도 돈이지만 이 기회에 자기 사역을 하겠다는 거지. 그 사람 열성이 아니면 그 책 못나왔어요. 아마도 출판하면서 광고를 몇 개 내겠다고 신문사와 계약을 한 것 같아요.”
▼ 기독교는 흔히 각(覺)의 종교가 아니라 신(信)의 종교라 하지요. 기독교로 귀의했지만 여전히 지성과 영성이 양립하는 게 아닙니까.
“양립하는 게 아니라 넘어서는 거지요. 지성의 궁극에는 영성이 있다는 거지요. 지적 호기심이라는 게 뭡니까. 돈 벌려고 지적 호기심을 갖나요? 내가 하나님을 믿는다, 영성을 믿는다는 것은 지극히 순수하다는 점에서 지적 호기심과 같아요.”
▼ 지적 호기심의 연장이라고 볼 수 있나요?
“지적 호기심의 막다른 골목에서 맞닥뜨린 거죠. 내가 교토에 머물며 혼자 밥 지어 먹으면서 연구소 생활한 것 자체가 이미 종교적인 행위였던 거예요. 기사, 비서, 가정, 직장 다 버리고 떠난 것 아닙니까. 일흔이 넘어 내 인생을 바라보면서 내 삶이란 게 뭔지 되돌아본 거죠. ‘무신론자의 기도’를 쓴 것도 그때예요.”
▼ 그때만 해도 종교적 차원이 아니라….
“하나의 미학이었죠. 믿음 얘기가 아니지요. 당신의 능력을 빌려줘서 무지한 사람들의 심금을 울리게 하는 한 줄의 아름다운 시를 쓰게 하소서, 했지. 그러니까 심미주의자의 기도지. 혼자 살면서 고민한 주제는 평범한 사랑이었어요. 나 아닌 사람을 진정 사랑한 적이 있는가. 물론 나는 사랑한다고 생각했지요. 에로스든 아가페든 필리아든 누군가를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없어요. 그런데 알고 보면 이기주의적인 나르시스적인 사랑이지. 자기를 사랑한 거지. 딸이나 아내나 이웃을 사랑한 게 아니라. 더군다나 나는 필리아가 없는 사람이거든요. 부모나 자식에 대한 사랑은 좀 있었는지 몰라도 이웃에 대한 사랑, 동료에 대한 사랑, 이른바 횡적인 사랑은 평생 안 했던 사람이에요. 릴케가 뮈조트의 성 안에서 시를 썼듯이 밀실 속에 나를 가두었지. 남과의 단절 속에 상상력도 생기고 지적 호기심도 생기는 거지. 남하고 섞이면서 나오는 문학은 4·19 이후 끊었거든요.”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