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차장이 꽉 찼으니 다른 곳에 주차하셔야 합니다.”(50대 초반 남자)
“의장님, 한 대만 들어갈 수 있도록 신경 좀 써 주세요.”(운전자)
허겁지겁 주차장 안쪽으로 달려간 이 남자는 호루라기를 불면서 차량을 안내했다. 그러기를 한 시간, 그의 이마에서는 구슬땀이 쉴 새 없이 흘러내렸다. 13년째 일요일 오전 교회 봉사활동을 계속해온 대전시의회 이상태(53) 의장이 그 주인공이다.
그는 지난해 11월 말 느닷없이 청주공항으로 가 제주행 비행기에 올랐다. 예고 없던 행보였다. 시의회 의장실 비서진이 “갑자기 어디를 가시느냐”고 묻자 그는 “대전이 살길을 찾기 위해서”라고만 말한 뒤 홀로 제주도로 향했다.
자유선진당 소속인 그가 제주에서 만난 사람은 다름 아닌 국회 예결특별위원회 위원이자 북제주가 지역구인 민주당 김우남 의원. 김 의원과는 과거 광역의원을 함께 하며 두터운 인연을 맺은 터였다. 지금은 김 의원이 국회의원의 신분으로 ‘격(格)’이 높아진 터라 이 의장이 제주까지 직접 찾아갔다는 것.
이 의장 제주에서 김 의원을 만나 “대전시가 요청한 국비 예산을 최대한 살려달라”고 ‘애원’했다. 이 의장의 노력과 간청 덕분일까. 대전시는 대전엑스포과학공원에 조성하려는 HD(Hi-Definition)드라마타운 기본계획예산 10억원과 유성구 화암사거리 입체화 건설에 필요한 예산 40억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
현역 유일한 최다선 5선 의원
지방자치제가 부활된 지 20년 가까이 되지만 지방의원에게 꼬리표처럼 붙어 다니는 말, 즉 ‘자질론’‘이권 개입’ 등은 이 의장에게 좀처럼 어울리지 않는 표현이다.
그는 진기록을 하나 갖고 있다. 전국의 광역의원 중 최다선인 5선 의원이란 기록이다. 1991년 지방자치제가 부활해 지방의원 선거가 실시된 이후 6선을 지낸 기초의원은 있지만 광역의원은 없다. 이기순 강원 인제군수가 5선을 했으나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군수가 됐으니 이 의장이 유일한 현역 최다선 광역의원인 셈이다.
이 의장도 지방의원이 되기 직전 흔한 명함을 가진 적이 있다. 대전에서 청년회의소(JC) 간부를 오래 지낸 것. 그러다 서른여섯 살 때인 1995년 처음 대전시의원이 됐다. 그리고 한 번도 거르지 않고 시의원에 계속 당선돼 지난해 7월 대전시의회 의장이 됐다. 누구나 이 정도 경력이면 자치단체장이나 국회의원 등 더 높고 ‘끗발’이 있는 다른 선출직에 관심을 가질 만하다. 하지만 이 의장은 그런 길을 선택하지 않았다.
“다니는 교회에서 13년째 주차봉사활동을 한 것은 ‘생활 의정’을 펼쳐보겠다는 생각에서였지요. 광역의회를 책임지는 사람으로서 집행부를 견제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지만 지역현안을 제대로 챙겨 지역민들을 위하는 것도 보람 있는 일입니다. 제주도에 갔던 것도 이런 지방의원의 역할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였죠.”